|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1. 서울시 지하철 9호선 개요'''
| | = 서울시 지하철 9호선 공영화 논쟁 = |
|
| |
|
| • 개통 배경 및 역사
| | == '''서울시 지하철 9호선 개요''' == |
| | |
| 2000년 9월 서울시는 건설교통부로부터 지하철 9호선의 건설기본계획을 승인받았고, 2005년 5월 서울시메트로구호선주식회사(이하 메트로구호선)와 지하철 9호선의 관리 운영에 관한 실시협약을 체결하였다(홍순만, 2014). 이로써 메트로구호선이 서울9호선운영주식회사와 관리운영위탁계약을 통해 지하철 9호선의 운영을 위탁하고 그 대가로 수수료를 지급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 |
| | |
| • 민간투자사업(BTO) 방식 도입
| |
| | |
| 참고로 서울시 지하철 9호선 민간투자사업은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메트로구호선이9호선을건설(build)하여 완공 직후 9호선 시설의 소유권을 서울 시에 이전(transfer)한 후, 해당시설을 30년간 운영(operate)하며 건설비와 기본 수익을 회수할 수 있도록 다시 서울시로부터 관리운영권을 부여받는 형식이다(홍순만, 2014).
| |
| | |
| • 현재 운영사 소개
| |
| | |
| | |
| '''2. 서울시 지하철 9호선 논의 배경''' | |
| | |
| 서울시 지하철 9호선의 민간투자사업은, 지하철을 운영하는 기존 공기업들(서울메트로 및 도시철도공사)의 경영이 부실하다는 비판에 따라 시작되었다(서울시의회 2012). 즉, 9호선을 민간에 위탁하여 예산 감축을 통해 정부 제정의 안정을 도모하고, 운영서비스의 효율성을 제고하려는 목적이었다.
| |
| | |
| 서울시 지하철 9호선 민간투자사업을 통해 정부 제정의 안정을 도모하고 운영서비스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는데, 실제 결과도 그러하였는가?
| |
| | |
| 서울시 지하철 9호선 공영화 논쟁은 민영화를 통한 지하철 운영 과정을 통해 민간투자사업의 문제점과 병리현상이 드러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
| | |
| 그리하여 공영화 논쟁의 첫 번째 쟁점은 ‘민간투자를 통한 지하철 9호선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하였는가’이고, 두 번째 쟁점은 ‘정부 제정의 안정을 도모하였는가’로 귀결되었다.
| |
| | |
| | |
| '''3. 진행 과정에서 드러난 논쟁 사항'''
| |
| | |
| | |
| '''4. 공영화 찬성vs반대 입장'''
| |
| | |
| '''- 찬성 측 입장'''
| |
| | |
| '''- 반대 측 입장'''
| |
| | |
| | |
| '''5. 해외 사례'''
| |
| | |
| | |
| '''6. 논쟁의 주요 쟁점'''
| |
| | |
| | |
| '''7. 서울시의 대응과 논의 현황'''
| |
| | |
| | |
| '''9. 참고 자료'''
| |
| | |
| * 관련 기사, 연구 보고서 및 정부 문서 등
| |
2024년 11월 14일 (목) 17:04 기준 최신판
서울시 지하철 9호선 공영화 논쟁
서울시 지하철 9호선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