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역발전: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DB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DB (토론 | 기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big>행정안전부 정책 현황</big> ==
== <big>행정안전부 정책 현황</big> ==


=== <big>1. 기능별 예산 현황</big> ===
=== <big>1. 개요</big> ===
1''') 일반회계/특별회계'''
행정안전부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디지털정부혁신, 지방분권·균형발전, 국민안전 구현'을 임무로 하고 있으며 '디지털플랫폼정부, 골고루 잘사는 지역, 모두가 안전한 나라'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전략 목표는 총 6가지가 있다.
 
1. 일 잘하고 신뢰받는세계 최고의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구현한다.
 
2. 지자체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사회통합과 공동체 발전을 증진한다.
 
3. 지역특화 발전을 통해 주민행복 향상에 기여한다.
 
4. 정부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과학수사의 신뢰를 제고한다.
 
5. 국민안전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전한 사회를 구현한다.
 
6.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한다.
 
제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은 전략 목표 3에 해당한다. 전략 목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총 2개가 있으며, 이 중 3-1 '지역발전'만을 다루려고 한다.
 
=== '''<big>2. 목표 및 과제 현황</big>''' ===
{| class="wikitable"
|+(단위: 개수)
! rowspan="2" |전략목표
! rowspan="2" |프로그램 목표
! colspan="2" |
|-
!단위사업
!세부사업
|-
|6
|16
|94
|199
|}
 
=== <big>3. 재정 현황</big> ===
{| class="wikitable"
|+(단위: 백만원)
! colspan="2" |구분
!'24
!'25
|-
| rowspan="2" |재정사업 합계
|총지출
|72,447,356
|72,087,193
|-
|총계
|72,447,356
|72,087,193
|-
| rowspan="3" |총지출 구분
|인건비
|360,874
|369,519
|-
|기본경비
|38,379
|39,778
|-
|주요사업비
|72,048,103
|71,677,896
|-
| rowspan="2" |예산
|총지출
|72,447,356
|72,087,193
|-
|총계
|72,447,356
|72,087,193
|}
 
=== <big>4. 2025년 전략목표·프로그램별 재원배분 계획</big> ===
{| class="wikitable"
|+(단위: 백만원, %)
!구분
!예산액
!비중
|-
|'''전략목표Ⅰ : 일 잘하고 신뢰받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구현한다.'''
|792,598
|17.4
|-
|'''전략목표Ⅱ : 지자체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사회통합과 공동체 발전을 증진한다.'''
|405,679
|8.9
|-
|'''전략목표Ⅲ : 지역특화 발전을 통해 주민행복 향상에 기여한다'''
|1,408,009
|30.8
|-
|'''전략목표Ⅳ : 정부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과학수사의 신뢰를 제고한다.'''
|297,767
|6.5
|-
|'''전략목표Ⅴ : 국민안전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전한 사회를 구현한다.'''
|1,075,094
|23.5
|-
|'''전략목표Ⅵ :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 한다'''
|586,285
|12.8
|-
|'''계'''
|4,565,432
|100.0
|}
''<small>* ('''예산안 편성방향''') 국정과제, 연두업무보고, 행정전산망 개선, 안전시스템 개편, 민생·협업과제 등 주요 정책과 역점·현안사업에 중점 투자</small>''
 
== <big>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big> ==
 
=== <big>1. 프로그램 목표</big> ===
'''1) 지역균형발전 추진'''
 
- 인구감소지역의 자율성·인구활력을 높여 지자체의 경쟁력 강화, 지역자립형 발전체계 구축
 
- 접경·섬 지역, 주한미군 주변지역 등 특수지역에 맞춤형 지원 통해 균형발전·주민 삶의 질 향상 도모
 
'''2) 주민환경 개선'''
 
- 자전거 이용 기반 조성·공중화장실 개선으로 국민 편의 증진
 
- 옥외광고산업 육성·불법광고물 정비로 도시미관 개선
 
- 온천산업 경쟁력 강화 통해 국민 건강 증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 인구감소 대응체계 구축으로 지방소멸 대응,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 및 지자체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기업의 지방 투자 촉진
 
'''3) 주소체계 고도화'''
 
- 이동경로·접점을 주소정보로 구축해 드론·자율주행로봇 배송 등 신산업 육성
 
- 도로명주소 기반 생활·행정서비스 혁신, 입체주소·내부도로 등 신주소 부여 기능 마련해 첨단기술과 융합된 주소기반 산업 육성
 
=== <big>2. 프로그램 추진배경 및 의의</big> ===
1) 균형발전 정책 필요
 
- 통계자료를 보면 수도권 지역인 서울과 경기에 인구수가 몰려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음
 
-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 심화 및 지방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균형발전 정책 추진 필요
[[파일:지역별인구.png|왼쪽|섬네일|600x600픽셀|출처: e-나라지표,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국토교통부 「지적통계」[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07]<ref name=":0">e-나라지표</ref>]]
 
 
[[파일:지역별인구 표.png|없음|섬네일|900x900픽셀|출처: e-나라지표,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국토교통부 「지적통계」<ref name=":0" />]]
2) 특수지역 지원 필요
 
- 접경지역, 섬, 민군복합항, 주한미군 주변 등 개발이 제한된 특수지역에 대한 정부의 맞춤형 지원 필요
 
3) 생활공간의 안전과 편의 개선
 
- 공중화장실 내 범죄와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대응해 안전 확보와 이용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제도 정비 필요
 
- 2023년도 공중화장실 내 범죄 횟수 현황, 최근 5년 간 공중화장실 내 범죄는 약 2만 건에 육박(성범죄, 스토킹, 불법 촬영, 마약, 보이스피싱, 절도, 폭력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음)[https://www.mk.co.kr/news/politics/10863421]<ref>권오균(2023). “요즘 외출할 때 이곳 조심하세요”...최근 5년간 범죄 2만건 육박. MK위클리연재.</ref>
{| class="wikitable"
! rowspan="3" |죄종별(1)
! rowspan="3" |죄종별(2)
! colspan="3" |2023
|-
! colspan="3" |공중화장실
|-
! colspan="1" |원데이터
! colspan="1" |전년 대비 증감
! colspan="1" |증감률
|-
|강력범죄
|소계
|150
|
|
|-
|강력범죄
|살인기수
| -
| -
| -
|-
|강력범죄
|살인미수등
| -
| -
| -
|-
|강력범죄
|강도
|3
|
|
|-
|강력범죄
|강간
|59
|
|
|-
|강력범죄
|유사강간
|15
|
|
|-
|강력범죄
|강제추행
|63
|
|
|-
|강력범죄
|기타 강간/강제추행등
|3
|
|
|-
|강력범죄
|방화
|7
|
|
|-
|계
|소계
|2,890
|
|
|-
|교통범죄
|소계
| -
| -
| -
|-
|기타범죄
|소계
|151
|
|
|-
|노동범죄
|소계
| -
| -
| -
|-
|마약범죄
|소계
|21
|
|
|-
|병역범죄
|소계
| -
| -
| -
|-
|보건범죄
|소계
|1
|
|
|-
|선거범죄
|소계
| -
| -
| -
|-
|안보범죄
|소계
| -
| -
| -
|-
|절도범죄
|소계
|468
|
|
|-
|지능범죄
|소계
|836
|
|
|-
|지능범죄
|직무유기
| -
| -
| -
|-
|지능범죄
|직권남용
| -
| -
| -
|-
|지능범죄
|증수뢰
| -
| -
| -
|-
|지능범죄
|통화
|1
|
|
|-
|지능범죄
|문서/인장
|1
|
|
|-
|지능범죄
|유가증권인지
| -
| -
| -
|-
|지능범죄
|사기
|5
|
|
|-
|지능범죄
|횡령
|829
|
|
|-
|지능범죄
|배임
| -
| -
| -
|-
|특별경제범죄
|소계
|4
|
|
|-
|폭력범죄
|소계
|301
|
|
|-
|폭력범죄
|상해
|31
|
|
|-
|폭력범죄
|폭행
|125
|
|
|-
|폭력범죄
|체포/감금
|2
|
|
|-
|폭력범죄
|협박
|7
|
|
|-
|폭력범죄
|약취/유인
|1
|
|
|-
|폭력범죄
|폭력행위등
|20
|
|
|-
|폭력범죄
|공갈
|3
|
|
|-
|폭력범죄
|손괴
|112
|
|
|-
|풍속범죄
|소계
|958
|
|
|-
|풍속범죄
|성풍속범죄
|958
|
|
|-
|풍속범죄
|도박범죄
| -
| -
| -
|-
|환경범죄
|소계
| -
| -
| -
|}
<nowiki>*</nowiki> 출처: KOSIS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32&tblId=DT_132004_A031&vw_cd=MT_ZTITLE&list_id=132_13204_2023_003_001&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25EB%25B2%2594%25EC%25A3%2584%25E3%2586%258D%25EC%2595%2588%25EC%25A0%2584%2520%253E%2520%25EA%25B2%25BD%25EC%25B0%25B0%25EC%25B2%25AD%25EB%25B2%2594%25EC%25A3%2584%25ED%2586%25B5%25EA%25B3%2584%2520%253E%25202023%25EB%2585%2584%2520%25EC%259D%25B4%25ED%259B%2584%2520%253E%2520%25EB%25B2%2594%25EC%25A3%2584%25EB%25B0%259C%25EC%2583%259D%2520%25EC%2583%2581%25ED%2599%25A9%2520%25EA%25B4%2580%25EB%25A0%25A8%2520%25ED%258A%25B9%25EC%2584%25B1%2520%253E%2520%25EB%25B2%2594%25EC%25A3%2584%25EB%25B0%259C%25EC%2583%259D%25EC%258B%259C%25EA%25B0%2584%2520%25EB%25B0%258F%2520%25EC%259E%25A5%25EC%2586%258C%25EB%25B2%2594%25EC%25A3%2584%25EB%25B0%259C%25EC%2583%259D%25EC%259E%25A5%25EC%2586%258C]<ref>KOSIS</ref>
 
4) 주소체계 고도화 필요
 
- 복잡한 도시구조 변화에 맞춰 입체도로와 실내이동경로를 구축하고, 건물 중심의 주소체계를 사물까지 확대 필요
 
=== <big>3. 주요 추진전략</big> ===
1) 주한미군 공여구역 지원
 
- 반환공여구역 개발과 주변지역의 공원·산업단지 조성, 도로·문화시설 건립 지원
 
2) 특수상황지역 개발
 
- 섬·접경지역의 특화 개발과 관광자원 활용으로 주민소득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3) 도로명주소사업 추진
 
- 입체주소 구축, 사물주소 부여 등 주소체계 고도화 및 주소정보산업 창출 지원
 
4) 광역경제권 및 지역발전 활성화
 
- 생활환경 개선, 온천산업 활성화, 인구감소 대응,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기업 유치로 지역 활력 제고
 
5) 접경권 발전 지원
 
- 교통축 확충과 관광 활성화로 DMZ·접경지역 자원 DB화 및 체계적 정보제공 추진
 
6) 지역공동체 활성화
 
- 지역공동체 회복과 자립기반 조성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 및 역량 강화
 
7) 서해5도 발전 지원
 
- 서해5도 주민에게 생활지원금, 해상운송비, 노후주택 개량사업 등 정주 여건 개선 지원
 
8)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 LPG 시설 구축과 '섬의 날' 행사로 섬의 가치 제고 및 관광 활성화 추진
 
9) 제주 민군복합항 발전 지원
 
- 강정마을 연결도로사업 추진 및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주변지역 발전과 주민 생활환경 개선 지원
 
=== <big>4. 전략목표와의 부합성</big> ===
'''1) 인구감소지역 및 특수상황지역에 지역발전기반 구축'''
 
- 낙후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낙후지역 주민을 포용하여 함께 성장하자는 공감대가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접경·섬지역의 생산·소득 기반을 정비하고 확충함으로써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균형발전을 도모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 지속적 공중화장실 안전 대책에도 불구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 공중화장실법 개정으로 지자체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를 의무화하여 법을 시행(‘23.7.21.)했지만 열악한 지방재정으로 인해 설치율이 미흡했다. 또한 산지 등 전력 공급이 어렵거나 경찰 출동이 어려운 곳 역시 조례로 설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인적이 드물고 경찰 출동이 어려울수록 범죄의 위험성과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셈이다.[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096524]<ref>서정윤(2024).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 1년…30% ‘안전 사각’. KBS뉴스</ref> 그리고 설치만큼 설치 후 사후관리도 매우 중요한데, 경광등 이상, 음질 불량, 전기시설 불량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운영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비상벨은 말 그대로 비상시에 사용되는 것이기에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130]<ref>울산매일(2024).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는 사후 관리가 더 중요하다. 울산매일.[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130]</ref>
 
'''3) 청년층 인구유출에 따른 지역인구감소 위기 심화 및 수도권 인구 집중'''
 
- 막대그래프에 따르면 청년층의 비율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비수도권 지역 인구를 다 합쳐도 수도권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파일:청년인구.png|가운데|섬네일|600x600픽셀|출처: 주민등록 인구통계[https://jumin.mois.go.kr/etcStatChYouthGraph.do]<ref>주민등록 인구통계</ref>]]
'''4)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속·체계적인 지원정책 및 사업추진 필요'''
 
- 읍면동 중심의 지역공동체 참여를 통해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지역 간 연계와 협력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
 
=== <big>5. 성과목표 체계별 예산현황</big>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 rowspan="2" |
! colspan="2" |재산수입
!성과계획
! colspan="2" |경상이전수입
! colspan="4" |대상사업
! colspan="2" |재화및용역판매수입
! rowspan="2" |예산안 합계
!수입대체경비수입
|-
! colspan="2" rowspan="2" |세입합계
!단위사업명
! rowspan="2" |소관합계
!회계구분
!사업코드
!사업구분
!'25예산안
|-
| rowspan="16" |지역발전
|특수상황지역개발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1
|
|194,260
| rowspan="16" |'''1,383,470'''
|-
|접경권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2
|
|0
|-
|생활공감정책추진
|일반회계
|1200-1234
|
|260
|-
|광역경제권추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1
|
|5,528
|-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강화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5
|
|9,818
|-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6
|
|8,540
|-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47
|
|5,250
|-
|한국 섬 진흥원 지원
|일반회계
|1200-1242
|
|4,863
|-
|지방소멸대응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61
|
|1,000,000
|-
|지역경관개선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2
|
|10,000
|-
|접경권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3
|
|45,627
|-
|-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3
|
|
|관유물대여료
|61,797
|기타이자수입및재산수입
|변상금및위약금
|기타경상이전수입
|면허료및수수료
|잡수입
|잡수입
|-
|-
| rowspan="2" |일반회계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3,400,000,000
|일반회계
|15,538,000,000
|1200-1233
|945,000,000
|
|114,134,000,000
|0
|38,000,000
|1,259,000,000
|8,078,000,000
| colspan="2" rowspan="2" |143,392,000,000
| rowspan="4" |163,077,000,000
|-
|-
| colspan="2" |18,938,000,000
|도로명주소사업추진
| colspan="2" |115,079,000,000
|일반회계
| colspan="2" |1,297,000,000
|1200-1237
|8,078,000,000
|
|21,023
|-
|-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자율계정
|1200-1241
|x
|
|483,000,000
|11,478
|x
|5,283,000,000
|x
|x
|x
|5,766,000,000
| rowspan="2" |19,685,000,000
|-
|-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자원계정
|1200-1231
|x
|
|1,010,000,000
|5,026
|x
|12,909,000,000
|x
|x
|x
|13,919,000,000
|}
|}


=== '''<big>2. 정책 방향 및 주요 사업</big>''' ===
=== <big>6. 프로그램 내 사업 우선순위 조정</big> ===
{| class="wikitable"
|+(단위: 백만원, %)
!
!
!'24예산(A)
!'''<nowiki/>'25예산안(B)'''
!'''증감(B-A)'''
|-
| rowspan="2" |광역경제권추진지원(1231)
|금액
|10,128
|5,528
|△4,600
|-
|(비중)
|0.7
|0.4
|△0.3
|-
| rowspan="2" |특수상황지역개발(1231)
|금액
|210,498
|194,260
|△16,238
|-
|(비중)
|14.6
|14.0
|△0.6
|-
| rowspan="2"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1231)
|금액
|3,078
|5,026
|1,948
|-
|(비중)
|0.2
|0.4
|0.2
|-
| rowspan="2" |접경권발전지원(1232)
|금액
|49,849
|0
|△49,849
|-
|(비중)
|3.5
|0.0
|△3.5
|-
| rowspan="2" |지역경관개선지원(1232)
|금액
|0
|10,000
|10,000
|-
|(비중)
|0.0
|0.7
|0.7
|-
| rowspan="2" |접경권발전지원(1233)
|금액
|0
|45,627
|45,627
|-
|(비중)
|0.0
|3.3
|3.3
|-
| rowspan="4"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1233)
|금액
|110,101
|0
|△110,101
|-
|금액
|0
|61,797
|61,797
|-
|(비중)
|7.7
|0.0
|△7.7
|-
|(비중)
|0.0
|4.5
|4.5
|-
| rowspan="2" |생활공감정책추진(1234)
|금액
|261
|260
|△1
|-
|(비중)
|0.0
|0.0
|0.0
|-
| rowspan="2"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강화(1235)
|금액
|400
|9,818
|9,418
|-
|(비중)
|0.0
|0.7
|0.7
|-
| rowspan="2"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 ◎ 핵심 목표 ===
(1236)
|금액
|8,820
|8,540
|△280
|-
|(비중)
|0.6
|0.6
|0.0
|-
| rowspan="2" |도로명주소사업추진(1237)
|금액
|22,726
|21,023
|△1,703
|-
|(비중)
|1.6
|1.5
|△0.1
|-
| rowspan="2"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 '''디지털 정부'''를 통한 국민 편의 증진.
(1241)
# '''지방자치'''와 균형발전 실현.
|금액
# '''지역특화 개발'''로 주민 삶의 질 향상.
|10,883
# '''재난관리 체계''' 강화로 국민 안전 확보.
|11,478
# '''공공 자원 효율화'''로 지속가능한 행정 기반 마련.
|595
|-
|(비중)
|0.8
|0.8
|0.1
|-
| rowspan="2" |한국 섬 진흥원 지원(1242)
|금액
|5,058
|4,863
|△195
|-
|(비중)
|0.4
|0.4
|0.0
|-
| rowspan="2"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발전지원(1247)
|금액
|7,925
|5,250
|△2,675
|-
|(비중)
|0.6
|0.4
|△0.2
|-
| rowspan="2" |지방소멸대응(1261)
|금액
|1,000,000
|1,000,000
|0
|-
|(비중)
|69.5
|72.3
|2.8
|}
'''* 주요 우선순위 조정 사유'''


=== ◎ 프로그램 방향 ===
'''1) 주한미군 공여구역 지원'''


====== 1.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 ======
* 반환공여구역의 개발을 위해 토지 매입비를 지원하고, 주변지역에 공원·산업단지를 조성하며 도로·문화시설을 건립한다.


* 정부혁신:
'''2) 특수상황지역 개발'''
** 정부혁신미래전략위원회 운영, 공공부문 업무 효율성 강화, 국민소통플랫폼 활성화.
** QR코드 활용 간편 행정서식 도입, 청원24 안정적 운영, 맞춤형 국민 서비스 확대.
** 디지털플랫폼 기반 AI·빅데이터 활용 및 초거대 AI 공통기반 마련.
** OECD 공공데이터 평가 1위, 전자증명서·모바일 신분증 확대.
** 스마트워크센터 및 AI 행정지원 서비스 도입으로 업무 효율화.


----
* 섬·접경지역의 부존자원과 관광자원을 발굴해 특화 개발을 추진하고, 주민소득을 증대시키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


====== 2. 지자체 경쟁력 강화 및 사회통합 ======
=== <big>7. 단위사업</big> ===
====== 7-1. 특수상황지역개발 ======


* 지방분권:
* 사업목적: 접경 및 섬 등 지리적 여건 등으로 지역발전에서 소외된 특수상황지역 주민의 복리를 증진하고 균형발전을 도모한다.
** 지방자치법 개정, 주민참여 강화, 자원봉사 활성화.
* 사업내용: 낙후된 특수상황지역의 지역균형발전을 지원한다.
** 지방재정 건전성 제고, 보통교부세 산정방식 개선.
* 사업기간: 계속
** 지방세제 개선, 체납징수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 지원.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코로나19 대응:
* 지방비매칭: 485억
** 착한가격업소 지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으로 지역 내수 진작.
**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구축, 지방세 시스템 통합.
* 교육 및 청년정착:
** 현장 중심 교육, 개도국 맞춤형 교육 지원.
** 청년마을·지역 활력 프로젝트 통해 지방 정착 유도.


----
<small>''* (접경지역) 15개 시·군, (섬) 21개 시·군·구 188개 개발대상섬(성장촉진지역 제외)''</small>
{| class="wikitable"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특수상황지역개발(123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216,488
|210,498
|194,260
|
|
|
|-
|특수상황지역개발(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216,488
|210,498
|194,260
|
|
|
|}
''<small>* 재정사업 자율평가(자율), 재난안전사업평가(재난), 중소기업지원사업평가(중소), 지역균형발전평가(균형), 복권기금평가(복권), R&D평가(RnD) 등 6개 성과평가를 대상으로 작성</small>''
 
====== 7-2. 접경권발전지원 ======
 
* 사업목적: 국가 안보상 중첩된 규제로 발전이 정체된 접경지역에 새로운 성장기반을 조성해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한다.
 
{| class="wikitable"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접경권발전지원(1232)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50,908
|50,908
|0
|
|
|
|-
|접경권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50,908
|50,908
|0
|균형
|우수
|}
 
====== '''7-3.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
* 사업목적: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부지 매입비, 도로·복지시설 건립을 지원하고, 규제 완화와 민간투자 활성화로 산업·경제발전을 촉진한다.
* 이관사업이기에 '25년도 예산안은 0으로 표시되었다.
 
{| class="wikitable"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 지역등지원(1233)
|일반회계
|110,049
|110,101
|
|
|
|
|-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 지역등지원(300)
|일반회계
|110,049
|110,101
|0
|자율
|보통
|
|}


====== 3. 지역특화 발전 및 주민행복 증진 ======
====== 7-4. 도로명주소사업추진 ======


* 지역발전:
* 사업목적: 주소정보 생활화로 국민 편의와 안전을 높이고, 입체도시 대응 주소체계를 구축해 자율주행로봇·드론 배송 등 미래산업을 창출한다. 차세대 주소관리시스템과 자동화 기술로 고품질 데이터 생태계와 고령자 이동환경 개선을 지원한다.
** 접경지역·서해 5도 개발, 섬 지역 관광 활성화, 주한미군 주변지역 지원.
* 사업내용: 도로명주소의 안정적인 활용을 지원하고, 주소체계 고도화를 통해 자율주행차, 드론택배 등 주소를 기반으로 한 혁신성장산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온천산업 육성, 자전거 이용 기반 강화, 안전한 공중 화장실 조성.
* 사업기간: 계속
** 인구감소 대응 컨설팅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원.
* 지원형태: 직접수행
* 균형발전:
{| class="wikitable"
** 비수도권 중심 재원 배분, 마을 기업 창업 활성화.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도로명주소사업추진(1237)
|일반회계
|24,754
|24,754
|21,023
|
|
|
|-
|도로명및건물번호활용
(300)
|일반회계
|18,053
|19,861
|18,665
|자율
|우수
|
|-
|클라우드기반의 통합주소 체계 구축(정보화)(501)
|일반회계
|6,701
|2,865
|2,358
|자율
|우수
|정보화
|}


----
====== 7-5.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


====== 4. 국민안전 및 재난관리 역량 강화 ======
* 사업목적: 섬 주민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LPG 시설, 식수원, 도선, 쓰레기처리시설을 구축하고 공도방지를 지원한다.
* 사업내용: 섬 마을단위로 LPG 시설을 구축하고 섬의 날 행사를 하는 등 섬 발전을 추진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직접수행,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59억 원


* 재난관리:
{| class="wikitable"
** 취약지역 안전점검 강화, 안전체험시설 확충, 비상대비 훈련 실시.
|+(단위: 백만원)
** 자연재해저감계획, 지진방재 대책 마련 및 내진보강 지원.
! rowspan="2" |
** 풍수해보험 가입 확대, 재난복구 기준 상향.
! rowspan="2" |회계구분
* 과학기술 기반:
! rowspan="2" |'23결산
** AI 및 데이터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 재난안전 연구개발 확대.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124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0,519
|10,883
|11,478
|
|
|
|-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0,519
|10,883
|11,478
|균형
|보통
|
|}


----
====== 7-6.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


====== 5. 정부자원 및 공공기록물 관리 ======
* 사업목적: 섬 지역의 소외를 해소하고 주민 복리 증진 및 지역발전을 도모한다.
* 사업내용: 낙후된 특수상황지역의 지역균형발전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12.56억 원


* 중요 기록물 디지털화, 대통령 기록물 정리·공개.
{| class="wikitable"
* 스마트 청사 관리 시스템 구축, 탄소중립 인프라 확충.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123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3,030
|3,078
|5,026
|
|
|
|-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30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3,030
|3,078
|5,026
|
|
|
|}


----
====== 7-7. 생활공감정책추진 ======


====== 6. 사회재난 예방 및 대응 강화 ======
* 사업목적: 경제·복지·교육·안전 등 분야별 정책 아이디어 발굴·실행으로 생활불편을 해소하고 편익을 높인다.
* 사업내용: 생활공감정책참여단 운영을 통해 생활밀착 정책 제안을 발군하고 지역별로 나눔봉사활동 등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직접수행,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1.35억 원


* 재난 원인 조사, 법·제도 개선.
{| class="wikitable"
* 다중이용시설 컨설팅, 민·관 협력 재난대응 체계 확립.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생활공감정책추진(1234)
|일반회계
|260
|261
|260
|
|
|
|-
|생활공감정책추진(300)
|일반회계
|260
|261
|260
|
|
|
|}


== <big>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big> ==
====== 7-8. 광역경제권추진지원 ======


=== <big>1. 개요</big> ===
* 사업목적: 지역균형발전 사업관리, 생활공간 개선, 온천산업 강화, 인구감소 대응, 기업 이전 지원으로 지역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추진한다.
'''<big>◎ 전략 목표</big>'''
* 자업내용: 아름다운 화장실 조성, 자전거 인프라 구축 등 주민생활환경 개선 및 지역균형 발전 도모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직접수행
* 지방비매칭: 25억


지역특화 발전을 통해 주민행복 향상에 기여한다.
{| class="wikitable"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광역경제권추진지원(123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5,198
|10,128
|5,528
|
|
|
|-
|지역균형발전추진지원
(302)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55
|200
|200
|
|
|
|-
|지역발전활성화(303)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5,043
|9,928
|5,328
|균형
|보통
|
|}


====== <big>◎ 프로그램 목표</big> ======
====== 7-9.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강화 ======
맞춤형 지역개발을 추진하고 주민 생활환경을 개선한다.


==== <big>◎ 프로그램 추진배경 의의</big> ====
* 사업목적: 지역공동체 회복과 발전을 위해 역량 강화·자립기반 조성과 포항지진·세월호 거점공간 건립을 추진한다.
* 사업내용: 안산 포항공동체 복합시설 건립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42.1억 원


* '''균형발전 필요성''':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 심화, 지방 인구감소 문제 해결을 위한 균형발전 정책 필요.
{| class="wikitable"
* '''특수지역 지원''': 접경지역, , 주한미군 주변 등 안보·역사적 이유로 개발되지 못한 지역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 필요.
|+(단위: 백만원)
* '''신산업 및 안전문제 대응''': 국민 요구와 도시 변화에 맞춘 신산업 육성, 안전 문제 해결, 입체주소와 사물주소 등 첨단 주소체계 구축 필요.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 강화(1235)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400
|9,818
|
|
|
|-
|활력 복합시설 건립 지원(30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400
|9,818
|
|
|
|}


==== <big>◎ 주요내용</big> ====
====== 7-10.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


# '''지역특화 개발 및 생활환경 개선'''
* 사업목적: 서해 5도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지원금·운송비·주택개량을 지원한다.
#* 접경지역, 섬, 주한미군 공여구역 등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
* 사업내용: 서해5도 주민생활 안정 지역 경제 활성화 등 도모
#* '''지방소멸 대응''': 지자체 지원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로 지역경제 활성화.
* 사업기간: '11~'25
#* 공중화장실 정비, 불법광고물 정리, 온천산업 활성화를 통한 주민 편의 증진.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역일자리 창출 및 경제 활성화'''
* 지방비매칭: 22억 원
#* 청년실업 해소와 지역 정착 유도, 청년일자리 창출로 지역 활력 제고.
#* 지역 주민 주도의 마을기업 육성으로 일자리 및 소득 창출.


==== <big>◎ 전략목표와 프로그램목표의 연계성</big> ====
{| class="wikitable"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서해5도종합발전지원(1236)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7,484
|8,820
|8,540
|
|
|
|-
|서해5도종합발전지원(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7,484
|8,820
|8,540
|균형
|보통
|
|}


* '''지역특화 개발'''과 생활환경 개선으로 지역 발전과 주민 행복 증진.
====== 7-11.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발전지원 ======
* '''맞춤형 개발과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 정주환경 개선에 기여.


=== <big>2. 주요 단위사업</big> ===
* 사업목적: 강정마을 연결도로로 지역발전과 주민 편의를 지원한다.
* 사업내용: 제주 강정마을 주변지역의 연결도로 사업을 추진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 22.5억 원


====== 1) 지방소멸대응 : 1,000,000 (백만원) ======
{| class="wikitable"
□ '''사업목적'''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 발전지원(1247)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8,385
|7,925
|5,250
|
|
|
|-
|강정마을 주변지역 연결도로(30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8,385
|7,925
|5,250
|균형
|우수
|
|}


ㅇ 지방소멸대응기금 도입('22년),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시행('23년) 등 인구감소지역 지원 정책 본격 추진
====== 7-12. 한국 섬 진흥원 지원 ======


ㅇ 안정적인 지방소멸대응기금 지원을 통해 지역의 지방소멸대응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 및 지역 주도의 지방소멸 대응 추진 지원
* 사업목적: 한국섬진흥원을 통해 섬 조사·연구를 수행해 정책 효율성을 제고한다.
* 사업내용: 「섬 발전 촉진법」에 따라 한국섬진흥원에 인건비, 사업비 등 출연금을 지급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출연


□ '''예산사업 내역'''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단위: 백만원)
|+(단위: 백만원)
| rowspan="2" |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한국 섬 진흥원 지원(1242)
|일반회계
|5,620
|5,058
|4,863
|
|
|
|-
|한국섬진흥원 지원(300)
|일반회계
|5,620
|5,058
|4,863
|
|
|
|}
 
====== 7-13. 지방소멸대응 ======
 
* 사업목적: 지방소멸대응기금 도입과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시행을 통해 인구감소지역 지원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안정적인 기금 지원으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지역 주도의 지방소멸 대응을 지원한다.
* 사업내용: 지방소멸 대응과 관련한 기반시설 등을 조성한다.
* 사업기간: '22~'31
* 지원형태: 출연
* 시행주체: 지역상생발전기금조합
 
{| class="wikitable"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분야, 협업과제)
|-
|-
|평가명
!평가명
|결과
!결과
|-
|-
|(1) 지방소멸대응(1261)
|(1) 지방소멸대응(1261)
207번째 줄: 1,335번째 줄:
|
|
|}
|}
<small>* 재정사업 자율평가(자율), 재난안전사업평가(재난), 중소기업지원사업평가(중소), 지역균형발전평가(균형), 복권기금평가(복권), R&D평가(RnD) 등 6개 성과평가를 대상으로 작성</small>


<small>(일자리사업평가는 내역사업 단위로 평가받는 점을 고려하여 제외)</small>
====== 7-14. 지역경관개선지원 ======


====== 2) 특수상황지역개발 : 194,260 (백만원) ======
* 사업목적: 빈집 정비로 정착 환경을 조성하고, 지자체 협력으로 지방소멸에 대응한다.
□ '''사업목적'''
* 사업내용: 빈집정비 등 경관개선사업
* 사업기간: '25년 단년도
* 사업규모: 100억 원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43억


ㅇ 접경 및 섬 등 지리적 여건 등으로 지역발전에서 소외된 특수상황지역 주민의 복리증진 및 균형발전 도모
<small>* (접경지역) 15개 시·군, (섬) 21개 시·군·구 188개 개발대상섬(성장촉진지역 제외)</small>
□ '''예산사업 내역'''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rowspan="2" |
|+(단위: 백만원)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5예산안
! rowspan="2" |'24예산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25예산안
| rowspan="2" |비고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분야, 협업과제)
|-
|-
|평가명
!평가명
|결과
!결과
|-
|-
|(1) 특수상황지역개발(1231)
|(1) 지역경관개선지원(1232)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216,488
|0
|210,498
|0
|194,260
|10,000
|
|
|
|
|
|
|-
|-
|특수상황지역개발(300)
|지자체 빈집정비 지원(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216,488
|0
|210,498
|0
|194,260
|10,000
|
|
|
|
|
|
|}
|}
'''3)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 61,797 (백만원)'''


□ '''사업목적'''
====== 7-15. 접경권발전지역 ======


ㅇ 낙후된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의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간 불균형 해소 및 주민들의 복리증진과 지역발전 촉진 도모
* 사업목적: 접경지역 성장기반을 조성해 균형발전을 추진한다.
* 사업내용: 접경지역 성장기반 조성 등 지원
* 사업기간: '11~'30
* 사업규모: 1,419억 원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196억


- (반환공여구역 토지매입비 지원) 미군 이전에 따른 지역경제 공동화를 예방하고자 부지의 체계적 개발 추진을 위한 부지매입비 지원
{| class="wikitable"
|+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
!평가명
!결과
|-
|(1) 접경권발전지원(1233)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45,627
|
|
|
|-
|접경권발전지원(자율)(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45,627
|
|
|
|}


- (공여구역주변지역) 주변 교통여건 개선을 위한 도로사업과 주민 복리증진을 위한 문화·복지시설 등 사업비 지원
====== 7-16.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


규제 완화, 민간투자 활성화 지원 등을 통하여 산업·경제발전 기틀 마련
* 사업목적: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반환공여구역의 부지 매입비를 지원하고, 도로·문화·복지시설을 구축해 주민 복리를 증진한다. 규제 완화와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해 산업·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한다.
* 사업내용: 반환공여구역 토지매입비를 지원하고 주변지역 도로사업 및 문화와 복지시설 등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08~'26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617억 원


□ '''예산사업 내역'''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rowspan="2" |
! rowspan="2" |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회계구분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3결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4예산
| rowspan="2" |'25예산안
! rowspan="2" |'25예산안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colspan="2" |재정사업 성과평가
| rowspan="2" |비고
! rowspan="2" |비고
(분야, 협업과제)
(분야, 협업과제)
|-
|-
|평가명
!평가명
|결과
!결과
|-
|-
|(10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1233)
|(1)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1233)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295번째 줄: 1,460번째 줄:
|}
|}


=== <big>3. 예산</big>  ===
== 성과평가 ==


=== <big>4. 성과지표</big> ===
=== <big>1. 성과지표</big> ===


====== <big>◎ 성과지표의 개념 및 의미</big> ======
====== <big>1-1. 개념 및 의미</big> ======
(지표명)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개)
- 지표: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개)


* (정의) 당해연도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사업 완료 건수
''<small>* 정의: 당해연도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사업 완료 건수</small>''


* (의미) 수혜지역인 특수상황지역에 주민 생활환경 개선 사업의 완료건수를 조사해 지리적 여건 등으로 지역발전에서 소외된 특수상황지역에 대한 지역개발 사업 추진성과 측정
- 의미: 수혜지역인 특수상황지역에 주민 생활환경 개선 사업의 완료건수를 조사해 지리적 여건 등으로 지역발전에서 소외된 특수상황지역에 대한 지역개발 사업 추진성과를 측정한다.


====== <big>측정방법 및 목표치</big> ======
====== <big>1-2. 측정방법 및 목표치</big>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337번째 줄: 1,502번째 줄:
| -
| -
| -
| -
| rowspan="2" |성과지표명: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
| rowspan="2" |성과지표명: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
- 측정산식: 2025년에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개)
- 측정산식: 2025년에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개)
| rowspan="2" |'25년 사업완료 후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조사('26년1월)
| rowspan="2" |'25년 사업완료 후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조사('26년1월)
350번째 줄: 1,515번째 줄:
| -
| -
|}
|}
'''* 목표치 설정 근거'''
'''<small>* 측정방법 및 목표치 설정 근거</small>'''
 
<small>(측정방법)</small>
 
<small>- ‘25년 사업완료 후 ’25.1~12.까지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조사(’26년1월)</small>
 
<small>- 측정대상기간 : ‘25.1.1.~’25.12.31.</small>
 
<small>-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 2026.1월 말 예정</small>
 
<small>- 측정수행기관 : 행정안전부 및 특수상황지역 지자체</small>
 
<small>-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small>
 
<small>(목표치 설정근거)</small>
 
<small>- 신규지표임을 고려하여 ’23년도 실적치를 기준으로 10% 이상 상향된 ’25년도 목표치 설정</small>
 
<small>- ’23년에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 18개 → ’25년 목표 : 20개</small>
 
====== 1-3. 성과지표 현황 ======
1) 총괄현황
{| class="wikitable"
|+(단위: 개)
! rowspan="2" |전략목표
! rowspan="2" |프로그램 목표
! rowspan="2" |프로그램 목표의 성과지표수
! colspan="4" |성과지표 성격
! rowspan="2" |정량지표수
(비중)
|-
|투입
|과정
|산출
|결과
|-
| rowspan="2" |6
| rowspan="2" |16
|17
| -
| -
|1
|16
| rowspan="2" |11 (64.7%)
|-
|100%
| -
| -
|5.9%
|94.1%
|}
2) 세부현황
{| class="wikitable"
|+
! rowspan="2" |프로그램 목표
! colspan="3" |성과지표
! rowspan="2" |'25년 목표치
! colspan="2" |지표 종류
! rowspan="2" |비고
|-
!지표명
!가중치
!성과분야
!정량/정성
!성격
|-
|지역발전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개)
|1.0
|일반재정
|20(개)
|정량
|결과
|
|}
 
=== <big>2. 성과관리</big> ===
 
====== 2-1. 성과관리 결과 ======
{| class="wikitable"
|+
!성과지표명
!달성여부
!목표치
!실적치
!달성률(%)
|-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 주민만족도'''
|달성
|83.7
|83.8
|100.1
|-
|'''접경지역 지원사업 정책만족도'''
|달성
|79.8
|82.2
|103.0
|}
 
====== 2-2. 성과관리 현황 ======
'''<일반회계>'''
{| class="wikitable"
|+
!회계
!계정
!분야
!부문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단위사업수
!단위사업
!단위사업명
!세부사업수
!세부사업
!세부사업명
!'24예산
!'25예산안
!프로그램 목표번호
!재정사업 평가명
!비고
|-
| rowspan="4" |11
| rowspan="4" |0
| rowspan="4" |010
| rowspan="4" |013
| rowspan="4" |1200
| rowspan="4" |지역발전
| rowspan="4" |3
|1234
|생활공감정책추진
|1
|300
|생활공감정책추진
|261
|260
| rowspan="4" |Ⅲ-1
|
|
|-
| rowspan="2" |1237
| rowspan="2" |도로명주소사업추진
| rowspan="2" |2
|300
|도로명및건물번호활용
|19,861
|18,665
| rowspan="2" |①
|
|-
|501
|클라우드기반의 통합주소체계 구축(정보화)
|2,865
|2,358
|
|-
|1242
|한국 섬 진흥원 지원
|1
|300
|한국섬진흥원 지원
|5,058
|4,863
|
|
|}
<small>''* 재정사업평가명: ①재정사업 자율평가, ②재난안전사업평가, ③일자리사업평가, ④중소기업지원사업평가, ⑤지역균형발전평가, ⑥복권기금평가, ⑦R&D평가''</small>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 class="wikitable"
|+
!회계
!계정
!분야
!부문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단위사업수
!단위사업
!단위사업명
!세부사업수
!세부사업
!세부사업명
!'24예산
!'25예산안
!프로그램 목표번호
!재정사업 평가명
!비고
|-
| rowspan="12" |39
| rowspan="3" |1
| rowspan="12" |010
| rowspan="12" |013
| rowspan="12" |1200
| rowspan="12" |지역발전
| rowspan="12" |11
|1231
|특수상황지역개발
|1
| rowspan="3" |300
|특수상황지역개발
|210,498
|210,498
| rowspan="12" |Ⅲ-1
|
|
|-
|1232
|지역경관개선지원
|1
|지자체 빈집정비 지원
|0
|10,000
|
|
|-
|1233
|접경권발전지원
|1
|접경권발전지원(자율)
|0
|45,627
|
|
|-
| rowspan="7" |2
| rowspan="2" |1231
| rowspan="2" |광역경제권추진지원
| rowspan="2" |2
|302
|지역균형발전추진지원
|200
|200
|
|
|-
|303
|지역발전활성화
|9,928
|5,328
|⑤
|
|-
|1233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1
| rowspan="2" |301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0
|61,797
|
|
|-
|1235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강화
|1
|활력 복합시설 건립 지원
|400
|9,818
|
|
|-
|1236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1
| rowspan="3" |300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8,820
|8,820
| rowspan="2" |⑤
|
|-
|1241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1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10,883
|11,478
|
|-
|1261
|지방소멸대응
|1
|지방소멸대응기금 출연금
|1,000,000
|1,000,000
|
|
|-
| rowspan="2" |3
|1231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1
| rowspan="2" |301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3,078
|5,026
|
|
|-
|1247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발전지원
|1
|강정마을 주변지역 연결도로
|7,925
|5,250
|⑤
|
|}
<small>''* 재정사업평가명: ①재정사업 자율평가, ②재난안전사업평가, ③일자리사업평가, ④중소기업지원사업평가, ⑤지역균형발전평가, ⑥복권기금평가, ⑦R&D평가''</small>
 
== <big>문제점 및 개선방안</big> ==
 
=== <big>1. 성과지표의 부적합성</big> ===
 
====== 1-1. 문제점 ======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개선 건수’를 지역발전이나 지방소멸 대응의 성과지표로 사용하는 것은 여러 한계가 있다.
 
1) 성과의 양적 평가에 치중 및 질적 성과 반영 부족
 
* 생활환경 개선 건수는 단순히 사업의 수량만을 반영할 뿐, 실질적인 효과나 지역발전 기여도는 평가하지 못한다.
''<small>* 예: 도로 하나를 건설하는 것과 공공복지시설 확충은 같은 건수로 집계, 그러나실제 주민 삶의 질 개선이나 지방소멸 대응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다를 수 있음.</small>''
* 생활환경 개선 사업이 주민들의 만족도, 정주여건 향상, 인구 유입 효과 등과 연결되었는지 평가하지 않고 단순히 특수상황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생활환경이 개선된 건수만 판단하기 때문에 성과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 단순 개선 건수만으로는 지역발전의 실질적 성과를 확인하기 어렵다.
 
* 지방소멸 문제는 인구 감소, 청년층 유출, 고령화 등이 주요 원인이다. 생활환경 개선 건수는 물리적 인프라 중심의 지표로서 인구 유출 방지나 청년층 유입과 같은 핵심 과제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 지역별 특성 미반영
 
* 모든 지역의 특성과 문제를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면, 실제 각 지역의 발전 상황이나 필요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small>* 예: 일부 지역은 교통망 개선이 시급하고 다른 지역은 일자리 창출이 더 중요한 상황일 수 있음.</small>''
 
====== 1-2. 개선방안 ======
1) 정량·정성 성과지표 병행 도입
 
* 양적 평가(개선 건수)뿐만 아니라 질적 평가를 함께 도입해 실질적인 성과를 측정한다. 정성적인 평가를 측정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나, 정성적인 평가를 통해 지역발전이 개선되고 지방소멸의 정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이는 사회적인 비용보다 편익이 더 큰 것이기 때문에 시행에 있어 문제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small>''- 예시 정성지표''</small>'''
# <small>''주민 만족도 조사(정주여건 개선 체감도)''</small>
# <small>''생활환경 개선 이후 인구 유입률''</small>
# <small>''청년층 정착률 및 일자리 창출 효과''</small>2) 인구 및 경제 효과 반영 및 지역 맞춤형 지표 도입
 
* 지방소멸 대응의 핵심은 인구 유지 및 유입이므로 인구지표를 성과지표로 설정해야 한다.
'''''<small>- 예시 성과지표</small>'''''
# ''<small>인구 유입 및 정착률</small>''
# ''<small>청년층·가임기 여성의 인구 비중 변화</small>''
# ''<small>지역 일자리 창출률</small>''
 
*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성과지표를 설정해야 한다.
 
''<small>* 예: 농어촌 지역 - 농산업 활성화 성과, 산업단지 중심 지역 - 기업유치 성과</small>''
 
'''* 개선 예시'''
 
기존 ‘생활환경개선 건수’ 대신 다음과 같은 복합적 지표를 활용한다:
 
* '''정주여건 성과''': 주민 만족도, 생활편의시설 접근성 개선율
* '''인구유입 효과''': 귀촌·정착률, 청년층 유입 비율
* '''경제활성화 성과''': 신규 일자리 창출 수, 지역 기업유치 실적
* '''장기적 영향''': 출생률 증가, 고령화 속도 완화
 
예시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지방소멸 대응 및 지역발전의 현황을 더욱 명확히 나타내고 이에 따른 정책의 실효성을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 <big>2. 예산 집행의 문제</big> ===
 
====== 2-1. 문제점 ======
지역소멸을 극복하고 지방발전을 이끌기 위해 예산이 전략목표 중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된 것은 나라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문제는 예산을 배정받은 후 집행에 있다. 우리나라는 2022년부터 인구감소 위기를 해소하기위해 약 7천여억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등급에 따라 시군에 배부했다. 그러나 어렵게 예산을 확보한 시군은 상당수의 사업을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인구 감소 지역으로 분류된 전북은 10개의 시군이 지방소멸에 대응하여 제출한 사업은 43개였으나 50%의 진행률도 보이지 못했다. 심한 것은 집행률이 아예 0%인 것도 있었다.[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64203]<ref>박웅(2024). 지방소멸대응기금…“예산만 받아 놓고, 한 푼도 안 쓰기도”. KBS뉴스. 지방소멸대응기금…“예산만 받아 놓고, 한 푼도 안 쓰기도” | KBS 뉴스.</ref>
 
이에 따른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인데, 먼저 비현실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했기 때문일 것이다. 실행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서둘러 투자계획서를 제출하여 구체적인 추진계획과 준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사업이 지연되거나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지자체의 전문 인력 부족과 행정 역량 한계로 인해 확보된 예산을 적기에 집행하지 못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업을 진행하는 중 진척 상황과 예산 집행 실적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시스템이 부족했던 것도 있을 것이다. 과정평가나 형성평가가 중간중간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즉각적인 피드백과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효과도 미미하거나 불분명해졌다.
 
실제 2022년 지방소멸대응기금사업은 총 509개, 기금 배분액은 7,477억 원이고, 전체 집행률은 26.1%로 나타났다. 특히 기초지원계정 집행률은 5.7%로 매우 낮았다. 광주, 울산, 제주 지역의 지방소멸대응기금사업 전체 집행률이 0%로 저조한 집행률을 보여주고 있다.[https://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1672]<ref>서정민(2023). 지방소멸대응기금, ‘계륵’이 되지 않으려면. 한국농어민신문. 지방소멸대응기금, ‘계륵’이 되지 않으려면 < 농업마당-서정민 < 농업마당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한국농어민신문.</ref>
 
====== 2-2. 개선방안 ======
1)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사업계획 수립
 
* 지자체는 사업 추진의 실현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한 후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 단기성과와 장기성과를 분리하여, 즉시 집행이 가능한 사업''<small>(예: 생활인프라 개선, 주민 지원사업)과 시간이 필요한 사업(예: 건축·개발사업)</small>''을 균형 있게 구성해야 한다.
* 행정안전부의 사전심사를 강화한다. 투자계획서를 제출할 때 구체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일정별 집행계획을 명확히 설정하도록 의무화한다.2) 모니터링과 성과평가 시스템 도입
 
*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에 대한 주기적인 집행 점검과 실적 평가를 강화해야 한다.
* 예산 집행률과 사업 성과를 공개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주민 참여를 통해 감시·평가를 병행한다.
* 성과가 미진한 사업에 대해 패널티를 도입하여 집행률이 낮거나 성과가 부진한 사업은 기금 지원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도록 한다. 반대로 성과가 높은 지역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실제로 행정안전부에서 기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지역에 더 많은 기금이 배분될 수 있도록 집행실적과 전년도 성과평가 반영 비중을 확대했다. 이에 따라 우수한 8곳은 72억 원을 기본 배분하고, 이후 88억 원을 추가하여 각 160억 원을 지원한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예산 집행의 효과성을 높이고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35880&pWise=sub&pWiseSub=C1]<ref>행정안전부 균형발전지원국(2024). 내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기금 잘 활용한 지역에 더 많이”.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내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기금 잘 활용한 지역에 더 많이”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ref>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bbgAeferhIWLewO9lgs4TvXu.node50?bbsId=BBSMSTR_000000000009&nttId=103905]<ref>행정안전부 보도자료(2024). 지방소멸대응기금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운용방안 개선. D2404470.pdf.</ref>
 
=== <big>3. 온천 관광 산업 전반적 침체</big> ===
 
====== 3-1. 문제점 ======
* [[파일:온천 현황.png|가운데|섬네일|905x905픽셀|출처: 행정안전부 「2023 전국 온천 현황」[https://hotspring.or.kr/board_data/data/1693440276_9360.pdf]<ref>행정안전부(2023). 2023 전국 온천 현황. 대한민국 정부</ref>]]코로나19로 인해 온천 산업의 전반적인 부분이 침체되었다. 활성화 단계에서는 큰 폭으로 상승해 높은 잠재력을 증명했으나 우리나라 온천의 특성 상 다른 산업이나 콘텐츠 등과 결합하기 어려워 재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지속적인 쇠퇴 현상을 보였다. 해외여행 보편화와 시설 노후화로 인해 관광객이 감소하고 있어 주변 지역 상권까지 함께 침체되고 있으며 온천의 획일화된 이미지로 인해 정체성마저 사라지고 있다.
* 실제 충남 대표 온천 도시인 아산의 온천지구는 코로나 직격탄을 피하지 못해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https://www.sedaily.com/NewsView/22QCNPV38Z 있다.]<ref>이지윤. 서울경제. <1년만에 방문객 70% 하락... 코로나 직격탄 온천 살리기 나선 지자체>. 2021. 09. 01.</ref>
 
====== 3-2. 개선방안 ======
1) 의료 관광과의 연계


<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 >
* 기존 온천 시설을 리모델링하여 치료 프로그램 등 의료적인 부분과 연계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리모델링하여 의료적 부분과 연계한다면 초기에 많은 예산이 소요될 수 있으나 사업의 효과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독일의 바덴바덴의 경우 온천과 관련한 의학의 전문화와 역사성을 부각시킨 스토리텔링을 통해 온천의 복합화를 추진하고 지역의 고유한 역사성과 정체성을 보존하고 있다. 이처럼 온천자원은 단순히 입욕탕뿐만 아니라 의학, 미용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하므로 시민들에게 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지역사회의 경제를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ㅇ 목표치 설정근거
''<small>- 예: 디톡스, 의료 마사지[https://www.krihs.re.kr/gallery.es?mid=a10103050000&bid=0022&list_no=27486&act=view]</small>''<ref>이승욱(2020). 온천관광지구의 활력증진을 통한 도시경쟁력 확보 방안. 국토정책 Brief. </ref>


▪ 신규지표임을 고려하여 ’23년도 실적치를 기준으로 10% 이상 상향된 ’25년도 목표치 설정 * ’23년에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 18개 → ’25년 목표 : 20개
2) 친환경 에너지 설비(태양광, 지열 등) 도입


ㅇ 측정방법
* 에너지 설비를 통한 효율화로 인해 온천의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실제 일본의 이와테현은 발전출력 8만kW의 지열발전소나 코이와이 농장에서 나오는 가축 분뇨나 식품 공장, 학교급식 등에서 나오는 식품 찌꺼기 등을 유효하게 이용한 바이오매스 발전시설이 입지하고 있고, 휴경논에 심어진 유채꽃밭을 유효하게 이용한 BDF의 실증 시험 등, 이산화탄소의 삭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 에너지와 함께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98]<ref>Solar Today. 일본 이와테현, 자연과 하나 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도입. 인더스트리 뉴스. 일본 이와테현, 자연과 하나 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도입 - 인더스트리뉴스.</ref> 우리나라 역시 다른 나라의 바람직한 방안을 도입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 ESG 이미지 제고로 인해 관광객의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현지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온천산업의 수익성을 높일 수도 있다.


▪ ‘25년 사업완료 후 ’25.1~12.까지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조사(’26년1월)
=== <big>4. 건설경기 악화로 인한 반환공여구역 개발사업 민간투자 감소</big> ===


ㅇ 측정대상기간 : ‘25.1.1.~’25.12.31.
====== 4-1. 문제점 ======
* 기재부에 따르면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는 수출 중심으로 회복세가 확대되었으나 소비 둔화로 인해 건설경기 부진이 전망된다는 관측이 담기었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2.2%로 파악되며 건설투자 전망치는 오히려 역성장(-1.2%)할 것으로 내다 보았다.
* 건설 경기 부진의 원인으로 고물가, 고금리의 장기화가 꼽힌다. 고금리 상황에서 건설사와 수요자 모두 자금조달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공급과 수요를 모두 주저하게 하는 고물가의 경우 특히 건설사 입장에서는 자재비의 상승 등에 따라 공사원가를 끌어올리게 되며 이는 분양가 등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수요 위축시키기 때문에 경기가 부진해지는 것이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20489]<ref>김민중. 중앙일보. <건설업 올해 한국 경제 발목 잡나... 건설투자 주요 지표 부진>. 2024. 01. 08.</ref>


ㅇ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 2026.1월 말 예정
====== 4-2. 개선방안 ======
1) 반환공여구역 개발사업의 상업적 가치 제고


ㅇ 측정수행기관 : 행정안전부 특수상황지역 지자체
* 반환공여구역을 특정 산업''<small>(예: 디지털 혁신, 바이오 등)</small>''을 중심으로 한 클러스터로 개발하여 기업의 입주와 관련된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이러한 프로젝트를 소규모로 분할하여 투자의 리스크를 낮추고 다양한 규모의 민간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민간 기업의 투자 가능성이 조금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도로, 전기, 상하수도 등의 기초적인 공공 인프라를 우선 조성하여 개발 실패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고 투자의 안정성을 높여 상업적인 가치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 미국의 경우, 제 2차 세계대전 때 일본 진주만을 공격한 이후 1941년 12월 로크번 마을 인근에 'Lockbourne Army Air Base'라는 명칭으로 공사가 시작되었다. 1974년 지금의 명칭인 '리켄배커 공군기지'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냉전 시기 동안에는 미국 전략 공군 본부로 사용되었다. 1964년 활주로가 변경되면서 공군기지로의 기능이 축소되어 현재 국제공항 글로벌 복합물류 센터로 활용되고 있다. 1985년 공항 화물 허브와 물류 시설을 건립하면서 대규모 개발이 처음 시행되었고, 1987년 외국(자유) 무역지대 NO. 138 지정하여 1993년 미국 교역 운송 허브 사업 등의 노력에 의해 리켄배커 공군기지는 국제 물류 허브로 도약하게 되었다. 2008년에는 철도 물류 영역으로의 확장이 이루어져 현재에도 활발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 <big>프로그램의 문제점과 대안</big> ==
== <big>참고문헌</big> ==


=== <big>1. 문제점 및 대안 1</big> ===
* 행정안전부 (2021). '''2022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2). '''2023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3). '''2024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3). '''2024년도 예산안 개요.'''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4). '''2023년도 국가결산보고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4). '''2025년도 예산안.'''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4). '''2025년도 예산안 첨부서류.''' 대한민국 정부


=== <big>2. 문제점 및 대안 2</big> ===
* 행정안전부 (2024). '''2025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5). '''2025년도 세입세출예산안사업별 설명서.''' 대한민국 정부

2024년 12월 15일 (일) 21:27 기준 최신판

행정안전부 정책 현황

1. 개요

행정안전부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디지털정부혁신, 지방분권·균형발전, 국민안전 구현'을 임무로 하고 있으며 '디지털플랫폼정부, 골고루 잘사는 지역, 모두가 안전한 나라'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전략 목표는 총 6가지가 있다.

1. 일 잘하고 신뢰받는세계 최고의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구현한다.

2. 지자체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사회통합과 공동체 발전을 증진한다.

3. 지역특화 발전을 통해 주민행복 향상에 기여한다.

4. 정부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과학수사의 신뢰를 제고한다.

5. 국민안전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전한 사회를 구현한다.

6.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한다.

제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은 전략 목표 3에 해당한다. 전략 목표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총 2개가 있으며, 이 중 3-1 '지역발전'만을 다루려고 한다.

2. 목표 및 과제 현황

(단위: 개수)
전략목표 프로그램 목표
단위사업 세부사업
6 16 94 199

3. 재정 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24 '25
재정사업 합계 총지출 72,447,356 72,087,193
총계 72,447,356 72,087,193
총지출 구분 인건비 360,874 369,519
기본경비 38,379 39,778
주요사업비 72,048,103 71,677,896
예산 총지출 72,447,356 72,087,193
총계 72,447,356 72,087,193

4. 2025년 전략목표·프로그램별 재원배분 계획

(단위: 백만원, %)
구분 예산액 비중
전략목표Ⅰ : 일 잘하고 신뢰받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구현한다. 792,598 17.4
전략목표Ⅱ : 지자체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사회통합과 공동체 발전을 증진한다. 405,679 8.9
전략목표Ⅲ : 지역특화 발전을 통해 주민행복 향상에 기여한다 1,408,009 30.8
전략목표Ⅳ : 정부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과학수사의 신뢰를 제고한다. 297,767 6.5
전략목표Ⅴ : 국민안전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전한 사회를 구현한다. 1,075,094 23.5
전략목표Ⅵ :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 한다 586,285 12.8
4,565,432 100.0

* (예산안 편성방향) 국정과제, 연두업무보고, 행정전산망 개선, 안전시스템 개편, 민생·협업과제 등 주요 정책과 역점·현안사업에 중점 투자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1. 프로그램 목표

1) 지역균형발전 추진

- 인구감소지역의 자율성·인구활력을 높여 지자체의 경쟁력 강화, 지역자립형 발전체계 구축

- 접경·섬 지역, 주한미군 주변지역 등 특수지역에 맞춤형 지원 통해 균형발전·주민 삶의 질 향상 도모

2) 주민환경 개선

- 자전거 이용 기반 조성·공중화장실 개선으로 국민 편의 증진

- 옥외광고산업 육성·불법광고물 정비로 도시미관 개선

- 온천산업 경쟁력 강화 통해 국민 건강 증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 인구감소 대응체계 구축으로 지방소멸 대응,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 및 지자체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기업의 지방 투자 촉진

3) 주소체계 고도화

- 이동경로·접점을 주소정보로 구축해 드론·자율주행로봇 배송 등 신산업 육성

- 도로명주소 기반 생활·행정서비스 혁신, 입체주소·내부도로 등 신주소 부여 기능 마련해 첨단기술과 융합된 주소기반 산업 육성

2. 프로그램 추진배경 및 의의

1) 균형발전 정책 필요

- 통계자료를 보면 수도권 지역인 서울과 경기에 인구수가 몰려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음

-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 심화 및 지방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균형발전 정책 추진 필요

출처: e-나라지표,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국토교통부 「지적통계」[1][1]


출처: e-나라지표,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국토교통부 「지적통계」[1]

2) 특수지역 지원 필요

- 접경지역, 섬, 민군복합항, 주한미군 주변 등 개발이 제한된 특수지역에 대한 정부의 맞춤형 지원 필요

3) 생활공간의 안전과 편의 개선

- 공중화장실 내 범죄와 안전사고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대응해 안전 확보와 이용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제도 정비 필요

- 2023년도 공중화장실 내 범죄 횟수 현황, 최근 5년 간 공중화장실 내 범죄는 약 2만 건에 육박(성범죄, 스토킹, 불법 촬영, 마약, 보이스피싱, 절도, 폭력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음)[4][2]

죄종별(1) 죄종별(2) 2023
공중화장실
원데이터 전년 대비 증감 증감률
강력범죄 소계 150
강력범죄 살인기수 - - -
강력범죄 살인미수등 - - -
강력범죄 강도 3
강력범죄 강간 59
강력범죄 유사강간 15
강력범죄 강제추행 63
강력범죄 기타 강간/강제추행등 3
강력범죄 방화 7
소계 2,890
교통범죄 소계 - - -
기타범죄 소계 151
노동범죄 소계 - - -
마약범죄 소계 21
병역범죄 소계 - - -
보건범죄 소계 1
선거범죄 소계 - - -
안보범죄 소계 - - -
절도범죄 소계 468
지능범죄 소계 836
지능범죄 직무유기 - - -
지능범죄 직권남용 - - -
지능범죄 증수뢰 - - -
지능범죄 통화 1
지능범죄 문서/인장 1
지능범죄 유가증권인지 - - -
지능범죄 사기 5
지능범죄 횡령 829
지능범죄 배임 - - -
특별경제범죄 소계 4
폭력범죄 소계 301
폭력범죄 상해 31
폭력범죄 폭행 125
폭력범죄 체포/감금 2
폭력범죄 협박 7
폭력범죄 약취/유인 1
폭력범죄 폭력행위등 20
폭력범죄 공갈 3
폭력범죄 손괴 112
풍속범죄 소계 958
풍속범죄 성풍속범죄 958
풍속범죄 도박범죄 - - -
환경범죄 소계 - - -

* 출처: KOSIS 국가통계포털[5][3]

4) 주소체계 고도화 필요

- 복잡한 도시구조 변화에 맞춰 입체도로와 실내이동경로를 구축하고, 건물 중심의 주소체계를 사물까지 확대 필요

3. 주요 추진전략

1) 주한미군 공여구역 지원

- 반환공여구역 개발과 주변지역의 공원·산업단지 조성, 도로·문화시설 건립 지원

2) 특수상황지역 개발

- 섬·접경지역의 특화 개발과 관광자원 활용으로 주민소득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

3) 도로명주소사업 추진

- 입체주소 구축, 사물주소 부여 등 주소체계 고도화 및 주소정보산업 창출 지원

4) 광역경제권 및 지역발전 활성화

- 생활환경 개선, 온천산업 활성화, 인구감소 대응,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기업 유치로 지역 활력 제고

5) 접경권 발전 지원

- 교통축 확충과 관광 활성화로 DMZ·접경지역 자원 DB화 및 체계적 정보제공 추진

6) 지역공동체 활성화

- 지역공동체 회복과 자립기반 조성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 및 역량 강화

7) 서해5도 발전 지원

- 서해5도 주민에게 생활지원금, 해상운송비, 노후주택 개량사업 등 정주 여건 개선 지원

8)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 LPG 시설 구축과 '섬의 날' 행사로 섬의 가치 제고 및 관광 활성화 추진

9) 제주 민군복합항 발전 지원

- 강정마을 연결도로사업 추진 및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주변지역 발전과 주민 생활환경 개선 지원

4. 전략목표와의 부합성

1) 인구감소지역 및 특수상황지역에 지역발전기반 구축

- 낙후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낙후지역 주민을 포용하여 함께 성장하자는 공감대가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접경·섬지역의 생산·소득 기반을 정비하고 확충함으로써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균형발전을 도모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 지속적 공중화장실 안전 대책에도 불구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 공중화장실법 개정으로 지자체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를 의무화하여 법을 시행(‘23.7.21.)했지만 열악한 지방재정으로 인해 설치율이 미흡했다. 또한 산지 등 전력 공급이 어렵거나 경찰 출동이 어려운 곳 역시 조례로 설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인적이 드물고 경찰 출동이 어려울수록 범죄의 위험성과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셈이다.[6][4] 그리고 설치만큼 설치 후 사후관리도 매우 중요한데, 경광등 이상, 음질 불량, 전기시설 불량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운영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비상벨은 말 그대로 비상시에 사용되는 것이기에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7][5]

3) 청년층 인구유출에 따른 지역인구감소 위기 심화 및 수도권 인구 집중

- 막대그래프에 따르면 청년층의 비율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비수도권 지역 인구를 다 합쳐도 수도권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출처: 주민등록 인구통계[2][6]

4)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속·체계적인 지원정책 및 사업추진 필요

- 읍면동 중심의 지역공동체 참여를 통해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지역 간 연계와 협력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

5. 성과목표 체계별 예산현황

성과계획 대상사업 예산안 합계
단위사업명 회계구분 사업코드 사업구분 '25예산안
지역발전 특수상황지역개발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1 194,260 1,383,470
접경권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2 0
생활공감정책추진 일반회계 1200-1234 260
광역경제권추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1 5,528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강화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5 9,818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6 8,540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47 5,250
한국 섬 진흥원 지원 일반회계 1200-1242 4,863
지방소멸대응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61 1,000,000
지역경관개선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2 10,000
접경권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3 45,627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3 61,797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일반회계 1200-1233 0
도로명주소사업추진 일반회계 1200-1237 21,023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41 11,478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200-1231 5,026

6. 프로그램 내 사업 우선순위 조정

(단위: 백만원, %)
'24예산(A) '25예산안(B) 증감(B-A)
광역경제권추진지원(1231) 금액 10,128 5,528 △4,600
(비중) 0.7 0.4 △0.3
특수상황지역개발(1231) 금액 210,498 194,260 △16,238
(비중) 14.6 14.0 △0.6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1231) 금액 3,078 5,026 1,948
(비중) 0.2 0.4 0.2
접경권발전지원(1232) 금액 49,849 0 △49,849
(비중) 3.5 0.0 △3.5
지역경관개선지원(1232) 금액 0 10,000 10,000
(비중) 0.0 0.7 0.7
접경권발전지원(1233) 금액 0 45,627 45,627
(비중) 0.0 3.3 3.3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1233) 금액 110,101 0 △110,101
금액 0 61,797 61,797
(비중) 7.7 0.0 △7.7
(비중) 0.0 4.5 4.5
생활공감정책추진(1234) 금액 261 260 △1
(비중) 0.0 0.0 0.0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강화(1235) 금액 400 9,818 9,418
(비중) 0.0 0.7 0.7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1236)

금액 8,820 8,540 △280
(비중) 0.6 0.6 0.0
도로명주소사업추진(1237) 금액 22,726 21,023 △1,703
(비중) 1.6 1.5 △0.1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1241)

금액 10,883 11,478 595
(비중) 0.8 0.8 0.1
한국 섬 진흥원 지원(1242) 금액 5,058 4,863 △195
(비중) 0.4 0.4 0.0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발전지원(1247) 금액 7,925 5,250 △2,675
(비중) 0.6 0.4 △0.2
지방소멸대응(1261) 금액 1,000,000 1,000,000 0
(비중) 69.5 72.3 2.8

* 주요 우선순위 조정 사유

1) 주한미군 공여구역 지원

  • 반환공여구역의 개발을 위해 토지 매입비를 지원하고, 주변지역에 공원·산업단지를 조성하며 도로·문화시설을 건립한다.

2) 특수상황지역 개발

  • 섬·접경지역의 부존자원과 관광자원을 발굴해 특화 개발을 추진하고, 주민소득을 증대시키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

7. 단위사업

7-1. 특수상황지역개발
  • 사업목적: 접경 및 섬 등 지리적 여건 등으로 지역발전에서 소외된 특수상황지역 주민의 복리를 증진하고 균형발전을 도모한다.
  • 사업내용: 낙후된 특수상황지역의 지역균형발전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485억

* (접경지역) 15개 시·군, (섬) 21개 시·군·구 188개 개발대상섬(성장촉진지역 제외)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특수상황지역개발(123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216,488 210,498 194,260
특수상황지역개발(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216,488 210,498 194,260

* 재정사업 자율평가(자율), 재난안전사업평가(재난), 중소기업지원사업평가(중소), 지역균형발전평가(균형), 복권기금평가(복권), R&D평가(RnD) 등 6개 성과평가를 대상으로 작성

7-2. 접경권발전지원
  • 사업목적: 국가 안보상 중첩된 규제로 발전이 정체된 접경지역에 새로운 성장기반을 조성해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한다.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접경권발전지원(1232)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50,908 50,908 0
접경권발전지원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50,908 50,908 0 균형 우수
7-3.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 사업목적: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부지 매입비, 도로·복지시설 건립을 지원하고, 규제 완화와 민간투자 활성화로 산업·경제발전을 촉진한다.
  • 이관사업이기에 '25년도 예산안은 0으로 표시되었다.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 지역등지원(1233) 일반회계 110,049 110,101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 지역등지원(300) 일반회계 110,049 110,101 0 자율 보통
7-4. 도로명주소사업추진
  • 사업목적: 주소정보 생활화로 국민 편의와 안전을 높이고, 입체도시 대응 주소체계를 구축해 자율주행로봇·드론 배송 등 미래산업을 창출한다. 차세대 주소관리시스템과 자동화 기술로 고품질 데이터 생태계와 고령자 이동환경 개선을 지원한다.
  • 사업내용: 도로명주소의 안정적인 활용을 지원하고, 주소체계 고도화를 통해 자율주행차, 드론택배 등 주소를 기반으로 한 혁신성장산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직접수행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도로명주소사업추진(1237) 일반회계 24,754 24,754 21,023
도로명및건물번호활용

(300)

일반회계 18,053 19,861 18,665 자율 우수
클라우드기반의 통합주소 체계 구축(정보화)(501) 일반회계 6,701 2,865 2,358 자율 우수 정보화
7-5.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 사업목적: 섬 주민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LPG 시설, 식수원, 도선, 쓰레기처리시설을 구축하고 공도방지를 지원한다.
  • 사업내용: 섬 마을단위로 LPG 시설을 구축하고 섬의 날 행사를 하는 등 섬 발전을 추진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직접수행,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59억 원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124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0,519 10,883 11,478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0,519 10,883 11,478 균형 보통
7-6.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 사업목적: 섬 지역의 소외를 해소하고 주민 복리 증진 및 지역발전을 도모한다.
  • 사업내용: 낙후된 특수상황지역의 지역균형발전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12.56억 원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123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3,030 3,078 5,026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30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3,030 3,078 5,026
7-7. 생활공감정책추진
  • 사업목적: 경제·복지·교육·안전 등 분야별 정책 아이디어 발굴·실행으로 생활불편을 해소하고 편익을 높인다.
  • 사업내용: 생활공감정책참여단 운영을 통해 생활밀착 정책 제안을 발군하고 지역별로 나눔봉사활동 등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직접수행,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1.35억 원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생활공감정책추진(1234) 일반회계 260 261 260
생활공감정책추진(300) 일반회계 260 261 260
7-8. 광역경제권추진지원
  • 사업목적: 지역균형발전 사업관리, 생활공간 개선, 온천산업 강화, 인구감소 대응, 기업 이전 지원으로 지역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추진한다.
  • 자업내용: 아름다운 화장실 조성, 자전거 인프라 구축 등 주민생활환경 개선 및 지역균형 발전 도모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직접수행
  • 지방비매칭: 25억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광역경제권추진지원(123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5,198 10,128 5,528
지역균형발전추진지원

(302)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155 200 200
지역발전활성화(303)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5,043 9,928 5,328 균형 보통
7-9.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강화
  • 사업목적: 지역공동체 회복과 발전을 위해 역량 강화·자립기반 조성과 포항지진·세월호 거점공간 건립을 추진한다.
  • 사업내용: 안산 및 포항공동체 복합시설 건립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42.1억 원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 강화(1235)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400 9,818
활력 복합시설 건립 지원(30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400 9,818
7-10.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 사업목적: 서해 5도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지원금·운송비·주택개량을 지원한다.
  • 사업내용: 서해5도 주민생활 안정 및 지역 경제 활성화 등 도모
  • 사업기간: '11~'25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22억 원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서해5도종합발전지원(1236)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7,484 8,820 8,540
서해5도종합발전지원(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7,484 8,820 8,540 균형 보통
7-11.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발전지원
  • 사업목적: 강정마을 연결도로로 지역발전과 주민 편의를 지원한다.
  • 사업내용: 제주 강정마을 주변지역의 연결도로 사업을 추진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 22.5억 원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 발전지원(1247)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8,385 7,925 5,250
강정마을 주변지역 연결도로(30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8,385 7,925 5,250 균형 우수
7-12. 한국 섬 진흥원 지원
  • 사업목적: 한국섬진흥원을 통해 섬 조사·연구를 수행해 정책 효율성을 제고한다.
  • 사업내용: 「섬 발전 촉진법」에 따라 한국섬진흥원에 인건비, 사업비 등 출연금을 지급한다.
  • 사업기간: 계속
  • 지원형태: 출연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한국 섬 진흥원 지원(1242) 일반회계 5,620 5,058 4,863
한국섬진흥원 지원(300) 일반회계 5,620 5,058 4,863
7-13. 지방소멸대응
  • 사업목적: 지방소멸대응기금 도입과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시행을 통해 인구감소지역 지원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안정적인 기금 지원으로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지역 주도의 지방소멸 대응을 지원한다.
  • 사업내용: 지방소멸 대응과 관련한 기반시설 등을 조성한다.
  • 사업기간: '22~'31
  • 지원형태: 출연
  • 시행주체: 지역상생발전기금조합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지방소멸대응(126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1,000,000 1,000,000
지방소멸대응기금 출연금(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1,000,000 1,000,000
7-14. 지역경관개선지원
  • 사업목적: 빈집 정비로 정착 환경을 조성하고, 지자체 협력으로 지방소멸에 대응한다.
  • 사업내용: 빈집정비 등 경관개선사업
  • 사업기간: '25년 단년도
  • 사업규모: 100억 원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43억
(단위: 백만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지역경관개선지원(1232)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10,000
지자체 빈집정비 지원(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10,000
7-15. 접경권발전지역
  • 사업목적: 접경지역 성장기반을 조성해 균형발전을 추진한다.
  • 사업내용: 접경지역 성장기반 조성 등 지원
  • 사업기간: '11~'30
  • 사업규모: 1,419억 원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196억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 접경권발전지원(1233)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45,627
접경권발전지원(자율)(300)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45,627
7-16.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 사업목적: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반환공여구역의 부지 매입비를 지원하고, 도로·문화·복지시설을 구축해 주민 복리를 증진한다. 규제 완화와 민간투자 활성화를 통해 산업·경제발전의 기틀을 마련한다.
  • 사업내용: 반환공여구역 토지매입비를 지원하고 주변지역 도로사업 및 문화와 복지시설 등을 지원한다.
  • 사업기간: '08~'26
  • 지원형태: 지자체보조
  • 지방비매칭: 617억 원
회계구분 '23결산 '24예산 '25예산안 재정사업 성과평가 비고

(분야, 협업과제)

평가명 결과
(1)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1233)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61,797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301)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0 0 61,797

성과평가

1. 성과지표

1-1. 개념 및 의미

- 지표: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개)

* 정의: 당해연도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사업 완료 건수

- 의미: 수혜지역인 특수상황지역에 주민 생활환경 개선 사업의 완료건수를 조사해 지리적 여건 등으로 지역발전에서 소외된 특수상황지역에 대한 지역개발 사업 추진성과를 측정한다.

1-2. 측정방법 및 목표치
성과지표 가중치 성과분야 성적 및 목표치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자료수집 방법/출처
구분 '21 '22 '23 '24 '25 '26 '27
  1.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개선 건수(개)(개)
1 일반재정 목표 0 0 - - 20 - - 성과지표명: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

- 측정산식: 2025년에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개)

'25년 사업완료 후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조사('26년1월)
실적 0 0 18 - - - -

* 측정방법 및 목표치 설정 근거

(측정방법)

- ‘25년 사업완료 후 ’25.1~12.까지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조사(’26년1월)

- 측정대상기간 : ‘25.1.1.~’25.12.31.

-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 2026.1월 말 예정

- 측정수행기관 : 행정안전부 및 특수상황지역 지자체

-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

(목표치 설정근거)

- 신규지표임을 고려하여 ’23년도 실적치를 기준으로 10% 이상 상향된 ’25년도 목표치 설정

- ’23년에 완료된 생활환경 개선사업 건수 : 18개 → ’25년 목표 : 20개

1-3. 성과지표 현황

1) 총괄현황

(단위: 개)
전략목표 프로그램 목표 프로그램 목표의 성과지표수 성과지표 성격 정량지표수

(비중)

투입 과정 산출 결과
6 16 17 - - 1 16 11 (64.7%)
100% - - 5.9% 94.1%

2) 세부현황

프로그램 목표 성과지표 '25년 목표치 지표 종류 비고
지표명 가중치 성과분야 정량/정성 성격
지역발전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 개선 건수(개) 1.0 일반재정 20(개) 정량 결과

2. 성과관리

2-1. 성과관리 결과
성과지표명 달성여부 목표치 실적치 달성률(%)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 주민만족도 달성 83.7 83.8 100.1
접경지역 지원사업 정책만족도 달성 79.8 82.2 103.0
2-2. 성과관리 현황

<일반회계>

회계 계정 분야 부문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단위사업수 단위사업 단위사업명 세부사업수 세부사업 세부사업명 '24예산 '25예산안 프로그램 목표번호 재정사업 평가명 비고
11 0 010 013 1200 지역발전 3 1234 생활공감정책추진 1 300 생활공감정책추진 261 260 Ⅲ-1
1237 도로명주소사업추진 2 300 도로명및건물번호활용 19,861 18,665
501 클라우드기반의 통합주소체계 구축(정보화) 2,865 2,358
1242 한국 섬 진흥원 지원 1 300 한국섬진흥원 지원 5,058 4,863

* 재정사업평가명: ①재정사업 자율평가, ②재난안전사업평가, ③일자리사업평가, ④중소기업지원사업평가, ⑤지역균형발전평가, ⑥복권기금평가, ⑦R&D평가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회계 계정 분야 부문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단위사업수 단위사업 단위사업명 세부사업수 세부사업 세부사업명 '24예산 '25예산안 프로그램 목표번호 재정사업 평가명 비고
39 1 010 013 1200 지역발전 11 1231 특수상황지역개발 1 300 특수상황지역개발 210,498 210,498 Ⅲ-1
1232 지역경관개선지원 1 지자체 빈집정비 지원 0 10,000
1233 접경권발전지원 1 접경권발전지원(자율) 0 45,627
2 1231 광역경제권추진지원 2 302 지역균형발전추진지원 200 200
303 지역발전활성화 9,928 5,328
1233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1 301 주한미군공여구역주변지역등지원 0 61,797
1235 지역공동체기반조성및역량강화 1 활력 복합시설 건립 지원 400 9,818
1236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1 300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8,820 8,820
1241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1 섬 발전 협력사업 추진 10,883 11,478
1261 지방소멸대응 1 지방소멸대응기금 출연금 1,000,000 1,000,000
3 1231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1 301 특수상황지역개발(제주) 3,078 5,026
1247 제주민군복합항주변지역발전지원 1 강정마을 주변지역 연결도로 7,925 5,250

* 재정사업평가명: ①재정사업 자율평가, ②재난안전사업평가, ③일자리사업평가, ④중소기업지원사업평가, ⑤지역균형발전평가, ⑥복권기금평가, ⑦R&D평가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성과지표의 부적합성

1-1. 문제점

‘특수상황지역 주민 생활환경개선 건수’를 지역발전이나 지방소멸 대응의 성과지표로 사용하는 것은 여러 한계가 있다.

1) 성과의 양적 평가에 치중 및 질적 성과 반영 부족

  • 생활환경 개선 건수는 단순히 사업의 수량만을 반영할 뿐, 실질적인 효과나 지역발전 기여도는 평가하지 못한다.

* 예: 도로 하나를 건설하는 것과 공공복지시설 확충은 같은 건수로 집계, 그러나실제 주민 삶의 질 개선이나 지방소멸 대응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다를 수 있음.

  • 생활환경 개선 사업이 주민들의 만족도, 정주여건 향상, 인구 유입 효과 등과 연결되었는지 평가하지 않고 단순히 특수상황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생활환경이 개선된 건수만 판단하기 때문에 성과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 단순 개선 건수만으로는 지역발전의 실질적 성과를 확인하기 어렵다.
  • 지방소멸 문제는 인구 감소, 청년층 유출, 고령화 등이 주요 원인이다. 생활환경 개선 건수는 물리적 인프라 중심의 지표로서 인구 유출 방지나 청년층 유입과 같은 핵심 과제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 지역별 특성 미반영

  • 모든 지역의 특성과 문제를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하면, 실제 각 지역의 발전 상황이나 필요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 예: 일부 지역은 교통망 개선이 시급하고 다른 지역은 일자리 창출이 더 중요한 상황일 수 있음.

1-2. 개선방안

1) 정량·정성 성과지표 병행 도입

  • 양적 평가(개선 건수)뿐만 아니라 질적 평가를 함께 도입해 실질적인 성과를 측정한다. 정성적인 평가를 측정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나, 정성적인 평가를 통해 지역발전이 개선되고 지방소멸의 정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이는 사회적인 비용보다 편익이 더 큰 것이기 때문에 시행에 있어 문제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 예시 정성지표

  1. 주민 만족도 조사(정주여건 개선 체감도)
  2. 생활환경 개선 이후 인구 유입률
  3. 청년층 정착률 및 일자리 창출 효과2) 인구 및 경제 효과 반영 및 지역 맞춤형 지표 도입
  • 지방소멸 대응의 핵심은 인구 유지 및 유입이므로 인구지표를 성과지표로 설정해야 한다.

- 예시 성과지표

  1. 인구 유입 및 정착률
  2. 청년층·가임기 여성의 인구 비중 변화
  3. 지역 일자리 창출률
  •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성과지표를 설정해야 한다.

* 예: 농어촌 지역 - 농산업 활성화 성과, 산업단지 중심 지역 - 기업유치 성과

* 개선 예시

기존 ‘생활환경개선 건수’ 대신 다음과 같은 복합적 지표를 활용한다:

  • 정주여건 성과: 주민 만족도, 생활편의시설 접근성 개선율
  • 인구유입 효과: 귀촌·정착률, 청년층 유입 비율
  • 경제활성화 성과: 신규 일자리 창출 수, 지역 기업유치 실적
  • 장기적 영향: 출생률 증가, 고령화 속도 완화

예시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지방소멸 대응 및 지역발전의 현황을 더욱 명확히 나타내고 이에 따른 정책의 실효성을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2. 예산 집행의 문제

2-1. 문제점

지역소멸을 극복하고 지방발전을 이끌기 위해 예산이 전략목표 중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된 것은 나라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문제는 예산을 배정받은 후 집행에 있다. 우리나라는 2022년부터 인구감소 위기를 해소하기위해 약 7천여억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등급에 따라 시군에 배부했다. 그러나 어렵게 예산을 확보한 시군은 상당수의 사업을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인구 감소 지역으로 분류된 전북은 10개의 시군이 지방소멸에 대응하여 제출한 사업은 43개였으나 50%의 진행률도 보이지 못했다. 심한 것은 집행률이 아예 0%인 것도 있었다.[8][7]

이에 따른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인데, 먼저 비현실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했기 때문일 것이다. 실행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예산 확보를 위해 서둘러 투자계획서를 제출하여 구체적인 추진계획과 준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사업이 지연되거나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지자체의 전문 인력 부족과 행정 역량 한계로 인해 확보된 예산을 적기에 집행하지 못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업을 진행하는 중 진척 상황과 예산 집행 실적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시스템이 부족했던 것도 있을 것이다. 과정평가나 형성평가가 중간중간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즉각적인 피드백과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해 효과도 미미하거나 불분명해졌다.

실제 2022년 지방소멸대응기금사업은 총 509개, 기금 배분액은 7,477억 원이고, 전체 집행률은 26.1%로 나타났다. 특히 기초지원계정 집행률은 5.7%로 매우 낮았다. 광주, 울산, 제주 지역의 지방소멸대응기금사업 전체 집행률이 0%로 저조한 집행률을 보여주고 있다.[9][8]

2-2. 개선방안

1)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사업계획 수립

  • 지자체는 사업 추진의 실현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한 후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 단기성과와 장기성과를 분리하여, 즉시 집행이 가능한 사업(예: 생활인프라 개선, 주민 지원사업)과 시간이 필요한 사업(예: 건축·개발사업)을 균형 있게 구성해야 한다.
  • 행정안전부의 사전심사를 강화한다. 투자계획서를 제출할 때 구체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일정별 집행계획을 명확히 설정하도록 의무화한다.2) 모니터링과 성과평가 시스템 도입
  •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에 대한 주기적인 집행 점검과 실적 평가를 강화해야 한다.
  • 예산 집행률과 사업 성과를 공개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주민 참여를 통해 감시·평가를 병행한다.
  • 성과가 미진한 사업에 대해 패널티를 도입하여 집행률이 낮거나 성과가 부진한 사업은 기금 지원을 축소하거나 중단하도록 한다. 반대로 성과가 높은 지역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실제로 행정안전부에서 기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지역에 더 많은 기금이 배분될 수 있도록 집행실적과 전년도 성과평가 반영 비중을 확대했다. 이에 따라 우수한 8곳은 72억 원을 기본 배분하고, 이후 88억 원을 추가하여 각 160억 원을 지원한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예산 집행의 효과성을 높이고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10][9] [11][10]

3. 온천 관광 산업 전반적 침체

3-1. 문제점
  • 출처: 행정안전부 「2023 전국 온천 현황」[3][11]
    코로나19로 인해 온천 산업의 전반적인 부분이 침체되었다. 활성화 단계에서는 큰 폭으로 상승해 높은 잠재력을 증명했으나 우리나라 온천의 특성 상 다른 산업이나 콘텐츠 등과 결합하기 어려워 재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지속적인 쇠퇴 현상을 보였다. 해외여행 보편화와 시설 노후화로 인해 관광객이 감소하고 있어 주변 지역 상권까지 함께 침체되고 있으며 온천의 획일화된 이미지로 인해 정체성마저 사라지고 있다.
  • 실제 충남 대표 온천 도시인 아산의 온천지구는 코로나 직격탄을 피하지 못해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12]
3-2. 개선방안

1) 의료 관광과의 연계

  • 기존 온천 시설을 리모델링하여 치료 프로그램 등 의료적인 부분과 연계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리모델링하여 의료적 부분과 연계한다면 초기에 많은 예산이 소요될 수 있으나 사업의 효과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독일의 바덴바덴의 경우 온천과 관련한 의학의 전문화와 역사성을 부각시킨 스토리텔링을 통해 온천의 복합화를 추진하고 지역의 고유한 역사성과 정체성을 보존하고 있다. 이처럼 온천자원은 단순히 입욕탕뿐만 아니라 의학, 미용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하므로 시민들에게 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지역사회의 경제를 살리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예: 디톡스, 의료 마사지[12][13]

2) 친환경 에너지 설비(태양광, 지열 등) 도입

  • 에너지 설비를 통한 효율화로 인해 온천의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실제 일본의 이와테현은 발전출력 8만kW의 지열발전소나 코이와이 농장에서 나오는 가축 분뇨나 식품 공장, 학교급식 등에서 나오는 식품 찌꺼기 등을 유효하게 이용한 바이오매스 발전시설이 입지하고 있고, 휴경논에 심어진 유채꽃밭을 유효하게 이용한 BDF의 실증 시험 등, 이산화탄소의 삭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 에너지와 함께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13][14] 우리나라 역시 다른 나라의 바람직한 방안을 도입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 ESG 이미지 제고로 인해 관광객의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현지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온천산업의 수익성을 높일 수도 있다.

4. 건설경기 악화로 인한 반환공여구역 개발사업 민간투자 감소

4-1. 문제점
  • 기재부에 따르면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는 수출 중심으로 회복세가 확대되었으나 소비 둔화로 인해 건설경기 부진이 전망된다는 관측이 담기었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2.2%로 파악되며 건설투자 전망치는 오히려 역성장(-1.2%)할 것으로 내다 보았다.
  • 건설 경기 부진의 원인으로 고물가, 고금리의 장기화가 꼽힌다. 고금리 상황에서 건설사와 수요자 모두 자금조달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공급과 수요를 모두 주저하게 하는 고물가의 경우 특히 건설사 입장에서는 자재비의 상승 등에 따라 공사원가를 끌어올리게 되며 이는 분양가 등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수요 위축시키기 때문에 경기가 부진해지는 것이다.[14][15]
4-2. 개선방안

1) 반환공여구역 개발사업의 상업적 가치 제고

  • 반환공여구역을 특정 산업(예: 디지털 혁신, 바이오 등)을 중심으로 한 클러스터로 개발하여 기업의 입주와 관련된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이러한 프로젝트를 소규모로 분할하여 투자의 리스크를 낮추고 다양한 규모의 민간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민간 기업의 투자 가능성이 조금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도로, 전기, 상하수도 등의 기초적인 공공 인프라를 우선 조성하여 개발 실패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고 투자의 안정성을 높여 상업적인 가치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 미국의 경우, 제 2차 세계대전 때 일본 진주만을 공격한 이후 1941년 12월 로크번 마을 인근에 'Lockbourne Army Air Base'라는 명칭으로 공사가 시작되었다. 1974년 지금의 명칭인 '리켄배커 공군기지'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냉전 시기 동안에는 미국 전략 공군 본부로 사용되었다. 1964년 활주로가 변경되면서 공군기지로의 기능이 축소되어 현재 국제공항 및 글로벌 복합물류 센터로 활용되고 있다. 1985년 공항 화물 허브와 물류 시설을 건립하면서 대규모 개발이 처음 시행되었고, 1987년 외국(자유) 무역지대 NO. 138 지정하여 1993년 미국 교역 운송 허브 사업 등의 노력에 의해 리켄배커 공군기지는 국제 물류 허브로 도약하게 되었다. 2008년에는 철도 물류 영역으로의 확장이 이루어져 현재에도 활발한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 행정안전부 (2021). 2022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2). 2023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3). 2024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3). 2024년도 예산안 개요.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4). 2023년도 국가결산보고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4). 2025년도 예산안.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4). 2025년도 예산안 첨부서류.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4). 2025년도 성과계획서. 대한민국 정부
  • 행정안전부 (2025). 2025년도 세입세출예산안사업별 설명서. 대한민국 정부
  1. 1.0 1.1 e-나라지표
  2. 권오균(2023). “요즘 외출할 때 이곳 조심하세요”...최근 5년간 범죄 2만건 육박. MK위클리연재.
  3. KOSIS
  4. 서정윤(2024).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 1년…30% ‘안전 사각’. KBS뉴스
  5. 울산매일(2024). 공중화장실 비상벨 설치는 사후 관리가 더 중요하다. 울산매일.[15]
  6. 주민등록 인구통계
  7. 박웅(2024). 지방소멸대응기금…“예산만 받아 놓고, 한 푼도 안 쓰기도”. KBS뉴스. 지방소멸대응기금…“예산만 받아 놓고, 한 푼도 안 쓰기도” | KBS 뉴스.
  8. 서정민(2023). 지방소멸대응기금, ‘계륵’이 되지 않으려면. 한국농어민신문. 지방소멸대응기금, ‘계륵’이 되지 않으려면 < 농업마당-서정민 < 농업마당 < 오피니언 < 기사본문 - 한국농어민신문.
  9.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지원국(2024). 내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기금 잘 활용한 지역에 더 많이”.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내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기금 잘 활용한 지역에 더 많이”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10. 행정안전부 보도자료(2024). 지방소멸대응기금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운용방안 개선. D2404470.pdf.
  11. 행정안전부(2023). 2023 전국 온천 현황. 대한민국 정부
  12. 이지윤. 서울경제. <1년만에 방문객 70% 하락... 코로나 직격탄 온천 살리기 나선 지자체>. 2021. 09. 01.
  13. 이승욱(2020). 온천관광지구의 활력증진을 통한 도시경쟁력 확보 방안. 국토정책 Brief.
  14. Solar Today. 일본 이와테현, 자연과 하나 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도입. 인더스트리 뉴스. 일본 이와테현, 자연과 하나 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도입 - 인더스트리뉴스.
  15. 김민중. 중앙일보. <건설업 올해 한국 경제 발목 잡나... 건설투자 주요 지표 부진>. 2024. 01.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