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N2A3X0Y9A0G1Y1T0U3J9C5Z3I8P7I3 의안정보시스템 2024년도 예산안]
| | 잘못된 문서입니다. |
|
| |
|
| | | [전략목표 IV-9, 인공지능/데이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 문서로 이동 바랍니다. |
|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현황'''
| |
| | |
|
| |
| '''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 |
| '''1) 비전'''
| |
| | |
| ''':'''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
| |
| | |
| '''2) 목표'''
| |
| | |
| '''가) '''연구 확성화 및 우수인재를 육성하여 미래성장기반 확충
| |
| | |
| '''나) '''SW강국/ICT르네상스로 4차 산업혁명 선도기반을 구축
| |
| | |
| '''다)''' 안전한 유/무선 네트워크로 미래성장을 이끄는 방송통신 생태계를 조성
| |
| | |
| '''라)'''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여 국가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
| |
| | |
| '''3) 주요기능'''
| |
| | |
| - 과학기술 연구 활성화 및 우수인재를 육성하여 미래성장기반을 확충
| |
| | |
| - 디지털 역량 확보와 디지털 신산업 육성을 통해 디지털 혁신 전면화
| |
| | |
| - 디지털 인프라 고도화로 디지털 격차 해소 및 안정성 제고
| |
| | |
| -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여 국가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
| |
| | |
| '''나. 재정 현황''' (단위 : 억원)
| |
| {| class="wikitable"
| |
| |'''구분'''
| |
| |'''‘23'''
| |
| |'''‘24'''
| |
| |'''‘25'''
| |
| |'''‘26'''
| |
| |'''‘27'''
| |
| |-
| |
| |'''재정사업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총지출'''
| |
| |190,585
| |
| |185,625
| |
| |218,924
| |
| |238,476
| |
| |237,649
| |
| |-
| |
| |'''총계'''
| |
| |234,410
| |
| |253,499
| |
| |273,118
| |
| |298,855
| |
| |295,599
| |
| |-
| |
| |'''총지출 구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건비(기금인건비)'''
| |
| |19,846
| |
| |21,397
| |
| |22,893
| |
| |24,495
| |
| |26,210
| |
| |-
| |
| |'''기본경비(경상운영비)'''
| |
| |1,046
| |
| |1,113
| |
| |1,146
| |
| |1,181
| |
| |1,217
| |
| |-
| |
| |'''주요사업비(기금사업비)'''
| |
| |169,693
| |
| |163,115
| |
| |194,885
| |
| |212,800
| |
| |210,223
| |
| |-
| |
| |'''예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총지출'''
| |
| |162,005
| |
| |163,443
| |
| |198,247
| |
| |215,026
| |
| |214,727
| |
| |-
| |
| |'''총계'''
| |
| |203,531
| |
| |222,492
| |
| |247,088
| |
| |269,725
| |
| |256,603
| |
| |}
| |
| | |
| ''':''' 총지출 / 총계 차이점 설명 필요
| |
| | |
|
| |
| '''다. 정책방향 및 주요 사업'''
| |
| | |
| '''1) 정책 목표'''
| |
| | |
| <nowiki>:</nowiki> 민관협력에 기반으로 국가혁신 체제를 새롭게 구축하고, 선도형 기술혁신 및 디지털 혁신 확산으로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 |
| | |
| 미래기술과 디지털 혁신으로 글로벌 기술강국 실현 '''2) 전략 목표'''
| |
| | |
| '''I.''' 초격차 전략기술 육성 및 지원 생태계를 조성하고 원자력 등 기반이 되는 기초 연구를 지원한다.
| |
| | |
| '''II.''' 청년부터 중장년까지 과학기술인재를 체계적으로 지원학, 과학기술문화를 전국으로 확산한다.
| |
| | |
| '''III.''' 국가과학기술 역량 제고를 위해 연구성과 확산, 신학연 협력, 지역 혁신 및 전략적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 |
| | |
| '''IV.''' 디지털경제 패권국 도약을 위해 AI/데이터/클라우드/SW/메타버스/디지털 플랫폼 등 디지털 신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육성한다.
| |
| | |
| '''V.''' 세계 최고의 네트워크 구축과 국가 사회의 디지털 혁신 전면화, 사이버안보 대응역량을 강화한다.
| |
| | |
| '''VI.''' 보편적 서비스 제공과 공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사업의 건전한 성장과 디지털 혁신을 도모한다.
| |
| | |
| | |
| | |
| '''2. 프로그램사업: 인공지능데이터진흥'''
| |
| | |
|
| |
| '''가. 개요'''
| |
| | |
| <nowiki>:</nowiki> 전략목표 IV-9, 인공지능/데이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
| |
| | |
| '''1) 추진배경 및 의의'''
| |
| | |
| '''가) '''우리나라의 글로벌 AI 혁신강국 도약을 위한 AI 핵심기술/산업 육성 및 전 국민 AI 일상화 추진
| |
| | |
| '''나)''' 전 분야/산업에서 데이터 기반의 혁신을 촉진하여 신산업/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도록 생성/개방/공유를 고도화
| |
| | |
| '''다)'''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및 인공지능 기술 경쟁력을 제고하고 인공지능 융합 확대 및 지역 확산 추진
| |
| | |
| '''라)''' 민간/공공의 데이터/서비스가 자유롭게 연계/활용되어 핵심적인 서비스를 창출하는 기반인 디플정 핵심 인프라 구현
| |
| | |
| '''2) 법/정책/외부요인'''
| |
| | |
| '''가)''' 독자적 초거대 AI를 보유 중이나, 아직 전산업에 도입률은 미비. 현재 6위권 수준으로, AI 최고 선도국과의 상당한 격차 존재.
| |
| | |
| '''나)''' 데이터 활용의 증가로, 관련 제도적 이슈 및 분쟁 발생 가능성 증가.
| |
| | |
| '''다)''' 생성형 AI 등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빅데이터 분석 등에 필수적인 컴퓨팅 자원의 유연한 할당이 가능한 클라우드의 중요성 확대.
| |
| | |
| 이를 위한 지원의 지속 필요성 증대.
| |
| | |
| '''나. 프로그램 주요 내용'''
| |
| | |
| '''1) 목표'''
| |
| | |
| <nowiki>:</nowiki> 수요자 중심의 인공지능/데이터/클라우드 정책. 기술경쟁력 확보 및 인프라 지원으로 시장의 성장과 디지털 신산업을 육성하여 디지털 경제패권국가 기반 마련.
| |
| | |
| '''2) 전략목표와의 부합'''
| |
| | |
| '''가)''' 우리나라의 글로벌 AI 혁신강국 도약을 위한 AI 핵심기술/산업 육성 및 전 국민 AI 일상화를 추진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민/관 합동 AI 거버넌스 구축/운영
| |
| | |
| '''나)'''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 운영과 데이터 산업 활성화, 데이터산업 진흥 기본계획 시행계획 마련, 데이터 품질 및 가치평가,
| |
| | |
| 데이터MBA 운영 등을 통한 데이터 활용 생태계 강화.
| |
| | |
| '''다)''' 서비스 자체구축 및 구매에서 SaaS[1] 활용으로 변화하는 SW이용 패러다임 변화에 부합하도록 SaaS 중심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 |
| | |
| '''라)''' 국민 누구나 일상 속 AI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공공/민간 분야의 선제적 AI 서비스 개발/활용 지원 확대
| |
| | |
| '''마)''' 국민이 단기에 개선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민-관 협력 선도과제 추진을 통해 디플정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추진동력 확보
| |
| | |
| '''다. 단위 사업 및 세부 사업'''
| |
| | |
| '''1) AI기술개발(일반)'''
| |
| | |
| <nowiki>:</nowiki> 국민이 단기에 개선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민-관 협력 선도과제 추진을 통해 디플정[2]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추진 동력 확보
| |
| | |
| 1. 사람중심인공지능핵심원천기술개발(R&D)
| |
| | |
| 2. 한국어대형언어모델기술개발(R&D)
| |
| | |
| 3. 인공지능산업융합기술개발(R&D)
| |
| | |
| 4. 인공지능첨단유망기술개발(R&D)
| |
| | |
| 5. 디지털플랫폼정부국민체감 선도프로젝트
| |
| | |
| 6. 디지털 혁신 기술 K-CareNetworK
| |
| | |
| 7. 차세대생성AI기술개발(R&D)
| |
| | |
| 8. 국방인공지능핵심기술개발(R&D)
| |
| | |
| 9. AI기반 맞춤형 케어 서비스 융합선도(R&D)
| |
| | |
| 10. 인간지향적차세대도전형AI기술개발(R&D)
| |
| | |
| 11. AI연구용컴퓨팅지원프로젝트(R&D)
| |
| | |
| 12. 공존가능한 신뢰AI를 위한 AI Safety 기술개발(R&D) '''2) AI반도체경쟁력강화(일반)'''
| |
| | |
| <nowiki>:</nowiki>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인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을 통한 글로벌 수준의 기술경쟁력 확보 및 팹리스 운영
| |
| | |
| 1.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R&D)
| |
| | |
| 2. AI 반도체 실증 지원
| |
| | |
| 3. PIM인공지능반도체핵심기술개발(R&D)
| |
| | |
| 4. 자율주행용인공지능반도체핵심기술개발(R&D)
| |
| | |
| 5. 인공지능반도체SW통합플랫폼기술개발(R&D)
| |
| | |
| 6. 거대인공지능신경망인공지능반도체SW기술개발(R&D)
| |
| | |
| 7. AI반도체 가반 대이터센터 고도화 선도기술개발(R&D)
| |
| | |
| 8.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R&D)
| |
| | |
| 9. 칩렛 기반 저전력온디바이스 AI반도체기술개발(R&D)
| |
| | |
| 10. AI 반도체 지원플랫폼
| |
| | |
| 11. 한국산업은행출자(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 |
| | |
| '''3) AI경쟁력강화(일반)'''
| |
| | |
| <nowiki>:</nowiki> 사회현안, 국민 체감 등을 고려, 소아/청소년과 대민/의료진 보조 AI 서비스 개발/실증
| |
| | |
| 1. 의료AI혁신생태계조성(닥터앤서3.0)
| |
| | |
| 2. AI일상화확산
| |
| | |
| '''4) AI기술개발(균특)'''
| |
| | |
| <nowiki>:</nowiki> 민간 전문영역에 생성형AI를 선제적으로 적용/확산하여 초거대 AI기반 산업혁신 생태계를 육성하고 AI일상화 가속화 '''5) AI기술개발(정진)'''
| |
| | |
| '''6) AI경쟁력강화(정진)'''
| |
| | |
| <nowiki>:</nowiki> 국민 체감도가 높고, 사회적 파급효과가 뛰어난 인공지능 서비스를 부처협력을 통해 도입/확산하여 공공부문 AI융햡 가속화하고
| |
| | |
| 혁신적인 SaaS 유니콘 기업 등 육성을 위한 펀드 조성 추진 '''7) 데이터산업경쟁력강화(방발)'''
| |
| | |
| <nowiki>:</nowiki> 데이터 수집/가공/활용 기반을 강화하고, 인공지능/데이터 경제 가속화 및 디지털플랫폼 기반 마련
| |
| | |
| '''라. 성과 지표'''
| |
| | |
| '''1) 단위사업별 예산사업 내역''' (단위 : 백만원)
| |
| {| class="wikitable"
| |
| |'''단위사업'''
| |
| |'''회계구분'''
| |
| |'''’23결산'''
| |
| |'''‘24예산'''
| |
| |'''‘25예산안'''
| |
| |-
| |
| |AI기술개발
| |
| |일반
| |
| |77,862
| |
| |82,135
| |
| |104,120
| |
| |-
| |
| |AI반도체경쟁력강화
| |
| |일반
| |
| |122,271
| |
| |115,405
| |
| |181,237
| |
| |-
| |
| |AI기술개발
| |
| |지특
| |
| |75,524
| |
| |88,120
| |
| |42,100
| |
| |-
| |
| |AI경쟁력강화
| |
| |정진
| |
| |104,473
| |
| |107,823
| |
| |131,164
| |
| |-
| |
| |AI경쟁력강화
| |
| |방발
| |
| |85,847
| |
| |89,366
| |
| |45,376
| |
| |-
| |
| |데이터산업경쟁력강화
| |
| |방발
| |
| |106,335
| |
| |61,390
| |
| |41,815
| |
| |-
| |
| |디지털플랫폼정부
| |
| | |
| 인프라 활용
| |
| |정보통신
| |
| | |
| 진흥기금
| |
| |8,500
| |
| |34,400
| |
| |27,096
| |
| |-
| |
| |AI경쟁력강화
| |
| |일반
| |
| |0
| |
| |38,300
| |
| |36,770
| |
| |-
| |
| |AI기술개발
| |
| |정진
| |
| |850
| |
| |2,850
| |
| |3,150
| |
| |-
| |
| |데이터산업경쟁력강화
| |
| |정진
| |
| |37,472
| |
| |84,615
| |
| |48,620
| |
| |-
| |
| |'''총계'''
| |
| |
| |
| |'''619,134'''
| |
| |'''704,404'''
| |
| |'''661,448'''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
| {| class="wikitable"
| |
| |'''23’결산(A)'''
| |
| |'''24’예산(B)'''
| |
| |'''증감(B-A)'''
| |
| |
| |
| |-
| |
| |619,134
| |
| |704,404
| |
| |85,270
| |
| |'''증가'''
| |
| |-
| |
| |'''24’예산(A)'''
| |
| |'''25’예산안(B)'''
| |
| |'''증감(B-A)'''
| |
| |
| |
| |-
| |
| |704,404
| |
| |661,448
| |
| |<nowiki>- 42,956</nowiki>
| |
| |'''감소'''
| |
| |}
| |
| | |
| '''2) 예산사업별 성과관리 현황''' (단위 : 백만원)
| |
| {| class="wikitable"
| |
| |'''단위사업'''
| |
| |'''세부사업수'''
| |
| |'''세부사업명'''
| |
| |'''’22 예산안'''
| |
| |'''’23 예산안'''
| |
| |'''’24 예산안'''
| |
| |'''’25 예산안'''
| |
| |-
| |
| | rowspan="12" |'''AI기술개발(일반)'''
| |
| | rowspan="12" |'''12'''
| |
| |사람중심인공지능핵심원천기술개발(R&D)
| |
| |37,125
| |
| |49,850
| |
| |45,075
| |
| |42,860
| |
| |-
| |
| |한국어대형언어모델개발(R&D)
| |
| |0
| |
| |0
| |
| |480
| |
| |480
| |
| |-
| |
| |인공지능산업융합기술개발(R&D)
| |
| |0
| |
| |2,625
| |
| |1,180
| |
| |480
| |
| |-
| |
| |인공지능첨단유망기술개발(R&D)
| |
| |0
| |
| |4,500
| |
| |7,000
| |
| |6,300
| |
| |-
| |
| |디지털플랫폼정부국민체감선도 프로젝트(R&D)
| |
| |0
| |
| |10,350
| |
| |19,000
| |
| |17,000
| |
| |-
| |
| |디지털 혁신 기술 기반 K-CareNetwork
| |
| |0
| |
| |0
| |
| |4,000
| |
| |6,000
| |
| |-
| |
| |차세대생성AI기술개발(R&D)
| |
| |0
| |
| |0
| |
| |4,000
| |
| |4,000
| |
| |-
| |
| |국방인공지능핵심기술개발(R&D)
| |
| |0
| |
| |0
| |
| |0
| |
| |1,000
| |
| |-
| |
| |AI기반 맞춤형 케어서비스 융합선도(R&D)
| |
| |0
| |
| |0
| |
| |0
| |
| |3,000
| |
| |-
| |
| |인간지향적차세대도전형AI기술개발(R&D)
| |
| |0
| |
| |0
| |
| |0
| |
| |6,050
| |
| |-
| |
| |AI연구용컴퓨팅지원프로젝트(R&D)
| |
| |0
| |
| |0
| |
| |0
| |
| |9,000
| |
| |-
| |
| |공존가능한 신뢰AI를 위한 AI Safety 기술개발(R&D)
| |
| |0
| |
| |0
| |
| |0
| |
| |7,950
| |
| |-
| |
| | rowspan="2" |'''AI경쟁력강화(일반)'''
| |
| | rowspan="2" |'''2'''
| |
| |의료AI혁신생태계조성(닥터앤서3.0)
| |
| |0
| |
| |0
| |
| |0
| |
| |2,300
| |
| |-
| |
| |AI일상화확산
| |
| |<nowiki>-</nowiki>
| |
| |<nowiki>-</nowiki>
| |
| |38,300
| |
| |34,470
| |
| |-
| |
| | rowspan="11" |'''AI반도체경쟁력강화(일반)'''
| |
| | rowspan="11" |'''11'''
| |
|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 (R&D)
| |
| |29,833
| |
| |32,261
| |
| |27,927
| |
| |19,328
| |
| |-
| |
| |AI 반도체 실증 지원
| |
| |4,127
| |
| |12,504
| |
| |15,813
| |
| |24,370
| |
| |-
| |
| |PIM인공지능반도체핵심기술개발(R&D)
| |
| |20,994
| |
| |27,000
| |
| |27,767
| |
| |41,458
| |
| |-
| |
| |자율주행용인공지능반도체핵심기술개발(R&D)
| |
| |7,800
| |
| |10,400
| |
| |9,360
| |
| |7,500
| |
| |-
| |
| |인공지능반도체SW통합플랫폼기술개발(R&D)
| |
| |0
| |
| |5,100
| |
| |7,733
| |
| |7,733
| |
| |-
| |
| |거대인공지능신경망인공지능반도체SW기술개발(R&D)
| |
| |0
| |
| |4,000
| |
| |5,330
| |
| |5,330
| |
| |-
| |
| |AI반도체 기반 데이터센터 고도화 선도기술개발(R&D)
| |
| |<nowiki>-</nowiki>
| |
| |<nowiki>-</nowiki>
| |
| |7,500
| |
| |10,000
| |
| |-
| |
|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R&D)
| |
| |0
| |
| |0
| |
| |0
| |
| |37,018
| |
| |-
| |
| |칩렛 기반 저전력온디바이스 AI반도체기술개발(R&D)
| |
| |0
| |
| |0
| |
| |0
| |
| |4,000
| |
| |-
| |
| |AI 반도체 지원플랫폼
| |
| |0
| |
| |0
| |
| |3,000
| |
| |3,500
| |
| |-
| |
| |한국산업은행출자(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 |
| |0
| |
| |0
| |
| |0
| |
| |21,000
| |
| |}
| |
| | |
| '''3) 25’ 예산안 신규사업'''
| |
| | |
| <nowiki>:</nowiki> 국방인공지능핵심기술개발(R&D) / AI기반 맞춤형 케어서비스 융합선도(R&D) / 인간지향적차세대도전형AI기술개발(R&D)
| |
| | |
| AI연구용컴퓨팅지원프로젝트(R&D) / 공존가능한 신뢰AI를 위한 AI Safety 기술개발(R&D) / 의료AI혁신생태계조성(닥터앤서3.0)
| |
| | |
|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R&D) / 칩렛 기반 저전력온디바이스 AI반도체기술개발(R&D) / 한국산업은행출자(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 |
| | |
| | |
| '''3. 문제점 및 대안'''
| |
| | |
| '''가. ISP 수립 완료전 예산안 제출 문제'''
| |
| | |
| '''1) 현황'''
| |
| | |
| <nowiki>:</nowiki> [2025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세부지침],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재구축하는 정보화 사업은 정정보화전략계(ISP) 수립 완료 이후에
| |
| | |
| 시스템 구축 예산을 요구해야 한다” 명시함. 그러나 범정부 인공지능 공통기반 구현 사업은 ISP 수립 완료 이전에 2025년도 예산안을 제출.
| |
| | |
| '''2) 분석'''
| |
| | |
| <nowiki>:</nowiki> 해당 문제의 영향으로 구체적 사업내용 및 소요예산에 대한 정보가 부실하여 충실한 예산안 심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1. 신규 정보화사업으로서 예산안편성지침상 ISP 수립 완료 후 예산을 요구하도록 규정
| |
| | |
| 2. 사업의 범위가 다부처에 걸쳐 있어 사업구조상 복잡성이 큼
| |
| | |
| 3. 행정안전부와 공동 추진 사업으로, 부처간 사전 역할조율이 필수적
| |
| | |
| 4. 5개년간 약 470억원 가량의 대규모 재정이 투입
| |
| | |
| '''3) 대안'''
| |
| | |
| <nowiki>:</nowiki>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는 현재 행정안전부가 수행중인 ISP 결과가 도출되는 대로
| |
| | |
| 해당 사업과 관련한 자료를 국회에 적기 제공하여 내년도 예산안 심사를 충실히 지원해야 한다.
| |
| | |
| (견해) 해당 문제의 여파로 예산안 심사와 판단기준 성립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 |
| | |
| 다만 전세계적인 AI관련 산업의 성장과 그 중요도가 상승함이 계속됨에 따라 범정부 인공지능 공통기반 구현 사업의 필요성을 망각할 수는 없다.
| |
| | |
| 따라서 해당 사업의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는 본 사업의 중요도를 반영한 국회 수정안의 필요성과 그 역할의 중요성이 존재함을 판단할 수 있다.
| |
| | |
| '''나. R&D 예산 축소 문제'''
| |
| | |
| '''1) 현황'''
| |
| | |
| '''2) 분석'''
| |
| | |
| '''3) 대안'''
| |
| | |
| | |
| | |
| '''4. 참고자료'''
| |
|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국회예산정책처
| |
|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국회예산정책처
| |
|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국회예산정책처
| |
|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국회예산정책서
| |
|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도 성과계획서
| |
|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년도 성과계획서
| |
| | |
| - IBM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란?” <nowiki>https://www.ibm.com/kr-ko/topics/saas</nowiki>
| |
| | |
|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nowiki>https://www.dpg.go.kr/DPG/main/index.do</nowiki>
| |
|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관소개, 소관업무, <nowiki>https://www.msit.go.kr/contents/cont.do?sCode=user&mPid=131&mId=198</nowiki>
| |
| | |
| ----[1]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Software as a Service)
| |
| | |
| [2] 디지털플랫폼정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정부 부처 간 데이터를 연결시켜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을 추구. 민관협력.)
| |
잘못된 문서입니다.
[전략목표 IV-9, 인공지능/데이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 문서로 이동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