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산업단지 캠퍼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산업단지 캠퍼스의 개념과 특징 == 산업단지 캠퍼스는 산업단지 내 또는 산업집적지에 대학·대학원의 일부를 이전하여 교육-R&D-고용이 연계된 대학-기업이 물리적·화학적으로 일체화된 캠퍼스를 의미한다. 산업단지캠퍼스는 산학융합연구실, 장비지원센터, Business Lab 등 필수시설과 대학과 기업의 여건 및 산업단지 특색을 고려한 선택시설로 구성하여 운영할... |
편집 요약 없음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의 협력을 통해 인재 육성의 질과 고용 연계를 제고하고, 나아가 일자리 창출을 가속화할 수 있는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이다. 산업단지 캠퍼스의 발전을 통해 우리나라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의 협력을 통해 인재 육성의 질과 고용 연계를 제고하고, 나아가 일자리 창출을 가속화할 수 있는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이다. 산업단지 캠퍼스의 발전을 통해 우리나라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연구동향 == | |||
박성진, 염대봉 & 이계만(2014)<ref>박성진, 염대봉, & 이계만. (2014). 국내 산업단지캠퍼스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 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1''(1), 275-302.</ref>은 국내 산업단지캠퍼스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 분석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산업단지캠퍼스 유형인 캠퍼스형과 단위건물형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캠퍼스형이 일부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밝혔다. 학생 집단의 경우 전체 만족도와 학습활동, 입주기업체 구성원들의 경우 상징성과 교류성의 평가에서 캠퍼스형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 |||
채민수&이종호(2017)<ref>채민수, & 이종호. (2017).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사업으로써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 창원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228-244.</ref>는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사업으로써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 창원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을 사례로 연구하였다.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은 국가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사업대상 지역의 불균등 분포, 규정 및 관리감독의 부실, 타 정부사업과의 프로그램 중복, 연구 성과의 생산성 부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서는 산업단지캠퍼스 신규 선정 시 지역적 안배를 적절하게 고려하고, 정부재정지원이 종료된 산업단지캠퍼스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관리 방안과 사업성과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관련 규정 및 관리감독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
정성훈(2017)<ref>정성훈. (2017). 캠퍼스 산학협력단지의 경제지리적 조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3), 450-458.</ref>은 캠퍼스 산학협력단지의 경제지리적 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캠퍼스 산학협력단지는 대학과 기업이 연계하여 연구개발, 생산, 기업지원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경제지리적 협력 공간이다. 캠퍼스 산학협력단지의 조성과 운영은 공급 측면 경제와 수요 측면 경제를 결합하여 산학협력이 지닌 사회경제의 공간적 선순환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점진적 개발 방식, 대학-입주 기업 간 산학협력, 산업적 접근 방식, 인력 양성과 일자리 창출, 도심 지향형 입지, 통합적 추진체계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려 사항들은 궁극적으로 캠퍼스 산학협력단지의 입지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 |||
염대봉(2021)<ref>염대봉. (2021). 대학캠퍼스와 산학연협력단지의 지리· 공간적 결합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양대 ERICA 캠퍼스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5''(4), 91-109.</ref>은 대학캠퍼스와 산학연협력단지의 지리· 공간적 결합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양대 ERICA 캠퍼스를 중심으로 연구한 바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캠퍼스 산학연협력단지사업에 선정된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를 대상으로 학생과 입주기업(연구소)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은 교육환경과 단지 편리성, 전공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입주기업(연구소) 근로자는 입지성과 혁신성에 대한 만족도가 입주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캠퍼스 산학연협력단지가 대학캠퍼스 내에서 실무교육과 현장교육이 병행되는 새로운 산학협력 교육 패러다임에 부응할 수 있는 이상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
== 외부링크 == | == 외부링크 == |
2023년 11월 20일 (월) 16:21 판
산업단지 캠퍼스의 개념과 특징
산업단지 캠퍼스는 산업단지 내 또는 산업집적지에 대학·대학원의 일부를 이전하여 교육-R&D-고용이 연계된 대학-기업이 물리적·화학적으로 일체화된 캠퍼스를 의미한다. 산업단지캠퍼스는 산학융합연구실, 장비지원센터, Business Lab 등 필수시설과 대학과 기업의 여건 및 산업단지 특색을 고려한 선택시설로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1] 산업단지 캠퍼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물리적·화학적 일체화: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이 단일 부지에 위치하여 물리적으로 일체화된다. 또한, 대학과 기업의 연구 인프라와 인력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화학적으로 일체화된다.
- 교육-R&D-고용의 연계: 산업단지 캠퍼스는 교육, 연구개발, 고용이 연계되어 있다. 대학은 산업 현장의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기업은 대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신제품 개발 및 생산을 추진한다.
- 상시적·현장 밀착형 산학협력: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이 근접해 있기 때문에 상시적·현장 밀착형 산학협력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대학은 기업의 현장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기업은 대학의 인재와 기술을 활용하여 신제품 개발 및 생산혁신에 기여할 수 있다.
- 인재 육성의 질과 고용 연계의 제고: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의 협력을 통해 인재 육성의 질과 고용 연계를 제고한다. 대학은 기업의 요구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기업은 대학 졸업생을 채용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
산업단지 캠퍼스의 기대효과
산업단지 캠퍼스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인재 육성의 질 제고: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이 협력하여 산업 현장의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필요한 인재를 확보하고, 대학은 취업률을 제고할 수 있다.
- 고용 연계의 강화: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이 협력하여 학생과 기업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취업 기회를 확대하고, 기업은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다.
- 일자리 창출의 가속화: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의 협력으로 신제품 개발 및 생산을 촉진하여 일자리 창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
산업단지 캠퍼스의 향후 동향
- 대학과 기업의 협력 강화: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의 협력을 강화하여 상시적·현장 밀착형 산학협력을 실현을 위해 대학과 기업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협력에 필요한 인프라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 지역 특화 산업과의 연계 강화: 지역의 대학과 기업, 정부 기관이 협력하여 지역 특화산업에 필요한 인재와 기술을 육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산업단지 캠퍼스는 지역 특화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해야 한다.
- 국제적 연계 강화: 산업단지 캠퍼스는 국제적 연계를 강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해외 대학과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인재를 유치해야 한다.
산업단지 캠퍼스는 대학과 기업의 협력을 통해 인재 육성의 질과 고용 연계를 제고하고, 나아가 일자리 창출을 가속화할 수 있는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이다. 산업단지 캠퍼스의 발전을 통해 우리나라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동향
박성진, 염대봉 & 이계만(2014)[2]은 국내 산업단지캠퍼스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 분석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산업단지캠퍼스 유형인 캠퍼스형과 단위건물형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캠퍼스형이 일부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밝혔다. 학생 집단의 경우 전체 만족도와 학습활동, 입주기업체 구성원들의 경우 상징성과 교류성의 평가에서 캠퍼스형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채민수&이종호(2017)[3]는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사업으로써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 창원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을 사례로 연구하였다.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은 국가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사업대상 지역의 불균등 분포, 규정 및 관리감독의 부실, 타 정부사업과의 프로그램 중복, 연구 성과의 생산성 부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서는 산업단지캠퍼스 신규 선정 시 지역적 안배를 적절하게 고려하고, 정부재정지원이 종료된 산업단지캠퍼스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관리 방안과 사업성과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관련 규정 및 관리감독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정성훈(2017)[4]은 캠퍼스 산학협력단지의 경제지리적 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캠퍼스 산학협력단지는 대학과 기업이 연계하여 연구개발, 생산, 기업지원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경제지리적 협력 공간이다. 캠퍼스 산학협력단지의 조성과 운영은 공급 측면 경제와 수요 측면 경제를 결합하여 산학협력이 지닌 사회경제의 공간적 선순환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점진적 개발 방식, 대학-입주 기업 간 산학협력, 산업적 접근 방식, 인력 양성과 일자리 창출, 도심 지향형 입지, 통합적 추진체계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려 사항들은 궁극적으로 캠퍼스 산학협력단지의 입지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데 기여한다.
염대봉(2021)[5]은 대학캠퍼스와 산학연협력단지의 지리· 공간적 결합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양대 ERICA 캠퍼스를 중심으로 연구한 바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캠퍼스 산학연협력단지사업에 선정된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를 대상으로 학생과 입주기업(연구소)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은 교육환경과 단지 편리성, 전공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입주기업(연구소) 근로자는 입지성과 혁신성에 대한 만족도가 입주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캠퍼스 산학연협력단지가 대학캠퍼스 내에서 실무교육과 현장교육이 병행되는 새로운 산학협력 교육 패러다임에 부응할 수 있는 이상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외부링크
- 정부 웹사이트: 산업단지 캠퍼스
각주
- ↑ NABIS 정책용어사전
- ↑ 박성진, 염대봉, & 이계만. (2014). 국내 산업단지캠퍼스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만족도 및 선호도 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1(1), 275-302.
- ↑ 채민수, & 이종호. (2017).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 사업으로써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 창원 산업단지캠퍼스 사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228-244.
- ↑ 정성훈. (2017). 캠퍼스 산학협력단지의 경제지리적 조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3), 450-458.
- ↑ 염대봉. (2021). 대학캠퍼스와 산학연협력단지의 지리· 공간적 결합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양대 ERICA 캠퍼스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5(4), 9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