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관광두레: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JK (토론 | 기여)
새 문서: == 관광두레 사업의 개념 == 관광두레 사업은 주민 스스로 지역의 관광자원을 발굴하고 연계하여 먹거리, 기념품, 숙박, 체험 등 관광 상품을 개발·판매하는 관광사업 공동체를 육성하는 사업이다. 주민공동체는 과거 농촌사회의 공동 노동 조직과 같이 협력하여 관광객을 맞이하고, 지역주민에게 관광의 혜택이 돌아가도록 한다.<ref>[https://nabis.go.kr/termsDetailView.do?men...
 
수정스탈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15번째 줄:


관광두레 사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지역 관광의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광두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지역 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광두레 사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지역 관광의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광두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지역 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동향 ==
김현수・김철원(2018)<ref>김현수, & 김철원. (2018). 관광두레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관광두레 PD 역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2''(7), 35-50.</ref>은 관광두레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있다. 본 연구는 관광두레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요인을 분석한 결과, 제도적 지원과 네트워크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두레PD의 교류활성화가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역량강화가 제도적 지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희・강신겸(2020)<ref>김경희, & 강신겸. (2020).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지방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관광두레 주민사업체를 대상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6''(2), 1-23.</ref>은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주민사업체의 거버넌스 구축 과정을 분석한 결과, 자원의 불균형과 문제인식의 공유가 유인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지역 관광두레PD의 촉진적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지방정부는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행위자의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사업콘텐츠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남현・최정자・주재훈(2021)<ref>김남현, 최정자, & 주재훈. (2021). 사회혁신 관점에서의 지역 공동체기반 관광 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관광두레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9), 5-22.</ref>은 사회혁신 관점에서의 지역 공동체기반 관광 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두레사업이 지역 문제 해결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사회혁신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관광두레는 지역 문제 발굴 및 해법 모색, 다양한 행위자 네트워크 및 연결자, 공동창조를 위한 실험 및 확산 측면에서 사회혁신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제도적 유연성 차원에서는 사회혁신으로 발전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외부링크 ==
== 외부링크 ==

2023년 11월 4일 (토) 00:31 판

관광두레 사업의 개념

관광두레 사업은 주민 스스로 지역의 관광자원을 발굴하고 연계하여 먹거리, 기념품, 숙박, 체험 등 관광 상품을 개발·판매하는 관광사업 공동체를 육성하는 사업이다. 주민공동체는 과거 농촌사회의 공동 노동 조직과 같이 협력하여 관광객을 맞이하고, 지역주민에게 관광의 혜택이 돌아가도록 한다.[1]

관광두레 사업의 추진 과정

관광두레 사업은 시군구 단위로 추진되며, 관광두레 프로듀서(PD)가 주민공동체의 발굴, 사업계획 수립, 멘토링과 교육훈련, 파일럿 사업, 지역 내·외부의 네트워크 구축 등 안정 성장과 자립 경영을 위한 전 과정을 지원하고 육성한다.

관광두레 사업의 성과 및 의의

관광두레 사업은 소득과 일자리 창출 등 정량적 성과뿐 아니라, 주민 스스로 지역 관광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발성과 인식 전환 등 정성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관광두레 사업은 지역 관광의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민주도형 관광개발 사업이다. 관광두레 사업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 지역 관광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관광두레 사업은 기존의 정부 주도형 관광개발에서 벗어나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관광개발을 제시한다. 이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해 지역 관광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평가된다.
  •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관광두레 사업은 지역 주민의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지역 주민의 자긍심과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여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 지역 관광의 지속 가능성 확보: 관광두레 사업은 지역 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지역 관광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한다. 지역 주민이 직접 관광 사업을 운영하고 관리함으로써 지역 특색에 맞는 관광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지역 관광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관광두레 사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지역 관광의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요한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광두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지역 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동향

김현수・김철원(2018)[2]은 관광두레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있다. 본 연구는 관광두레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요인을 분석한 결과, 제도적 지원과 네트워크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두레PD의 교류활성화가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역량강화가 제도적 지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희・강신겸(2020)[3]은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주민사업체의 거버넌스 구축 과정을 분석한 결과, 자원의 불균형과 문제인식의 공유가 유인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지역 관광두레PD의 촉진적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지방정부는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행위자의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사업콘텐츠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남현・최정자・주재훈(2021)[4]은 사회혁신 관점에서의 지역 공동체기반 관광 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관광두레사업이 지역 문제 해결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사회혁신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관광두레는 지역 문제 발굴 및 해법 모색, 다양한 행위자 네트워크 및 연결자, 공동창조를 위한 실험 및 확산 측면에서 사회혁신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제도적 유연성 차원에서는 사회혁신으로 발전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김현수, & 김철원. (2018). 관광두레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관광두레 PD 역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2(7), 35-50.
  3. 김경희, & 강신겸. (2020).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지방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관광두레 주민사업체를 대상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6(2), 1-23.
  4. 김남현, 최정자, & 주재훈. (2021). 사회혁신 관점에서의 지역 공동체기반 관광 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관광두레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9),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