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첨단의료복합단지: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수정스탈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J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41번째 줄: 41번째 줄:


== 각주 ==
== 각주 ==
<references />
[[분류:정책사업]]
[[분류:보건의료정책]]
[[분류:보건복지부]]

2024년 2월 19일 (월) 07:31 기준 최신판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개념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아시아 최고의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의료R&D 허브를 목표로 하는 국가적 사업이다. 대구경북(신서)과 충북(오송)이 선정되었으며, 총 조성면적은 216만㎡(신서 103만㎡, 오송 113만㎡)에 달한다. [1]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구성 및 목적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주요 시설로는 핵심인프라(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첨단임상시험센터), 연구지원시설(실험동물센터,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편의 및 벤처연구시설(원스톱행정센터, 커뮤니케이션센터, 벤처연구센터)이 있다.

주요 시설은 크게 아래 3가지로 구분된다.

  • 의료연구개발지원기관은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첨단임상시험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설들은 첨단의료제품 개발에 필요한 연구개발 인프라를 제공한다.
  • 편의시설은 원스톱행정센터, 커뮤니케이션센터, 벤처연구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설들은 입주기업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주거 및 상업시설은 입주기업의 직원과 지역주민의 주거 및 생활을 위한 시설이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국가적인 의료 R&D 기반·기술의 거점 및 글로벌 R&D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되는 정책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각종 규제의 대폭적인 완화와 함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행정관리 및 재정지원 체계를 복지부로 일원화하여 효율성을 제고한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경과

2013년 확정된 첨단의료복합단지 제2차 종합계획에 따르면, 정부, 지자체, 민간이 합동으로 2016년까지 연구개발비 등 약 1조원을 투입하고 연구인력 확대, 핵심연구지원시설의 활용도 제고, 우수연구기관의 유치 및 산학연간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글로벌 첨단의료산업의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추진경과>

  • 2005년: 제1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 결정
  • 2007년: 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방안 확정
  • 2008년: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 구성
  • 2009년: 대구 신서지구, 충북 오송지구 2곳을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선정
  • 2010년: 단지별 조성계획 결정,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수립, 첨단의료복합단지 착공
  • 2012년: 의료연구개발지원기관, 편의시설 구역 등 단지조성 완료
  • 2013년: 각종 시설·장비 시험가동 및 운영, 제2차 종합계획 확정
  • 2016년: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1차 입주기업 모집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의의 및 향후 과제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아시아 최고의 역량을 갖춘 글로벌 의료R&D 허브를 육성하기 위한 국가적 사업으로, 의료산업의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첨단의료산업은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산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아직 조성 초기 단계에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첨단의료산업의 특성상 산학연간 협력과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동향

김태운(2012)[2]은 국책사업 유치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대구, 경북지역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구·경북 첨단 의료복합단지 유치 과정에서 Ansell & Gash의 협력 거버넌스 모형이 유용하게 적용되었으나, 국책사업 특성상 초기조건과 제도적 설계가 협력과정에서 변화·발전하고, 리더십이 초기조건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실무 조정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상이한 측면도 발견되었다.

정용일&김상태(2013)[3]는 첨단 의료산업분야 정책형성과정 연구: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정책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정책의 정책형성 과정을 분석한 결과, 정책의제가 정부의제로 공식화되는 법제화의 과정은 정책선도자와 이해관계자의 역동적인 역할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이 밝혀졌다.

한장협,윤상현&김채복(2014)[4]은 SWOT/AHP 분석을 이용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성공전략 연구: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을 위한 SWOT/AHP 분석을 통해, 강점 요인인 "지역 의료 인프라"와 "정부 지원"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 "기업 유치",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 성공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류경원& 박종선(2018)[5]은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첨단의료산업 클러스터 비교 연구: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오송·대구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실태분석 결과, 교육기반, 산업기반, 네트워크, 연구개발 등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개선방안으로는 수도권 우수인재 유입, 비공식 협력 지원, 지역 의료산업 제조업 단지 협력, 지역 교육기관 연계 연구, 민간부문 협력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김태운. (2012). 국책사업 유치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대구, 경북지역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4(4), 857-884.
  3. 정용일, & 김상태. (2013). 첨단 의료산업분야 정책형성과정 연구: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정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6(3), 839-860.
  4. 한장협, 윤상현, & 김채복. (2014). SWOT/AHP 분석을 이용한 첨단의료복합단지 성공전략 연구: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7(3), 465-483.
  5. 류경원, & 박종선. (2018).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첨단의료산업 클러스터 비교 연구: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2(2), 211-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