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KC인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KC 인증(Korea Certification)은 대한민국 정부가 도입한 국가 통합 인증제도로,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인증은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제조업체와 수입업체가 준수해야 할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한다. KC 인증제도는 2009년 7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이는 이전의 여러 개별 인증제도를 통...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KC 인증(Korea Certification)은 대한민국 정부가 도입한 국가 통합 인증제도로,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인증은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제조업체와 수입업체가 준수해야 할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한다. | [[파일:Kc마크.png|섬네일|KC인증마크의 모습]] | ||
'''KC 인증(Korea Certification)은''' 대한민국 정부가 도입한 국가 통합 인증제도로,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인증은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제조업체와 수입업체가 준수해야 할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한다. | |||
KC 인증제도는 2009년 | KC 인증제도는 2009년 시행되었다. 이는 이전의 여러 개별 인증제도를 통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된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중복된 인증 절차를 줄이고, 국내외 기업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했다. | ||
각 품목군에 따라 세부적으로 적용되는 KC 인증 기준이 다르며, 해당 기준을 충족한 제품만이 KC 마크를 부착하고 판매될 수 있다. | 각 품목군에 따라 세부적으로 적용되는 KC 인증 기준이 다르며, 해당 기준을 충족한 제품만이 KC 마크를 부착하고 판매될 수 있다. | ||
11번째 줄: | 12번째 줄: | ||
한국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은 KC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는 소비자 보호와 제품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제품이 KC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해당 제품이 안전성, 품질, 성능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하며, 이를 표시하기 위해 KC 마크를 부착해야 한다. | 한국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은 KC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는 소비자 보호와 제품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제품이 KC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해당 제품이 안전성, 품질, 성능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하며, 이를 표시하기 위해 KC 마크를 부착해야 한다. | ||
== '''KC 인증제도 이전''' == | |||
[[파일:KC인증마크통합.jpg|섬네일|558x558픽셀|출처: 대한민국정책브리핑 - 정책뉴스]] | |||
'''1. 전파인증 마크''' | |||
전파인증 마크는 무선 장비가 전자파 적합성을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 KC 인증 하에서는 전자파 적합성 인증으로 통합되어 전자파 방출이 법적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 |||
'''2. 전기안전 마크''' | |||
전기안전 마크는 전기 제품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증하는 인증이다. 이 마크는 KC 안전 인증으로 통합되어 전기 제품의 안전성을 보증한다. | |||
'''3. 정수기 검사필증''' | |||
정수기 검사필증은 정수기의 위생성과 안전성을 검사하여 인증하는 마크이다. KC 인증 체계 내에서는 생활용품 안전 인증으로 통합되어 정수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용품의 안전성을 검증한다. | |||
'''4. 공산품 안전인증, 공산품 자율안전확인, 어린이 안전보호포장 마크''' | |||
이 마크들은 공산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며, 어린이용 제품의 경우 안전 보호 포장 여부를 확인한다. KC 인증으로 통합되면서 공산품 안전 인증으로 재편되었으며, 어린이 제품의 경우 추가적으로 강화된 안전 기준이 적용된다. | |||
'''5. 고압가스용품 안전 마크, 계량기 검정마크''' | |||
고압가스용품과 계량기의 안전과 정확성을 보증하는 마크이다. KC 인증 체계에서는 고압가스 안전 인증과 계량기 정확성 인증으로 통합되어 안전성과 정확성을 보장한다. | |||
'''6. 소방용품 형식승인 마크''' | |||
소방용품의 성능과 안전성을 인증하는 마크이다. KC 인증 체계에서는 소방 안전 인증으로 통합되어 소방용품의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한다. | |||
'''7. 승강기 안전인증 마크''' | |||
승강기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마크로, KC 인증 체계 내에서는 승강기 안전 인증으로 통합되어 승강기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한다. | |||
'''8. 에너지소비 효율등급 표시 마크''' | |||
제품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등급으로 표시하여 에너지 절약을 장려하는 마크이다. KC 인증 체계에서는 에너지 소비 효율 인증으로 통합되어 제품의 에너지 효율성을 보증한다. | |||
== '''해외사례''' == | |||
=== '''인증마크통합사례''' === | |||
{| class="wikitable" | |||
|'''나라''' | |||
|'''이름''' | |||
|'''사례''' | |||
|'''마크''' | |||
|- | |||
|EU | |||
|CE | |||
|CE 마크는 1993년에 도입되었으며, 유럽 연합 내에서 제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촉진하고 소비자 보호와 환경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
|[[파일:Conformité Européenne.png|프레임없음|107x107픽셀]] | |||
|- | |||
|일본 | |||
|PSE | |||
|2003년부터 전기제품·공산품 등에 대해 PSE마크(제품안전마크)로 단일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 |||
|[[파일:Images.png|프레임없음|118x118픽셀]] | |||
|- | |||
|중국 | |||
|CCC | |||
|WTO 가입 이후 국내 제품(CCCE)과 수입 제품(CCIE)에 달리 적용하던 강제 인증제도를 2002년부터 CCC 제도로 통합해 사용하고 있다. | |||
|[[파일:C.C.C.-Logo.svg -300x250.png|프레임없음|118x118픽셀]] | |||
|} | |||
==== '''미국''' ==== | |||
==== 미국에는 다양한 인증마크가 있다. ==== | |||
'''UL (Underwriters Laboratories)''': 전기 및 전자 제품의 안전성 | |||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통신 기기 및 전자 제품의 전자파 적합성 | |||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안전성과 효능 | |||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환경 보호와 관련된 제품 | |||
'''Energy Star''':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 | |||
이 외에도 특정 산업 및 제품군에 따라 다양한 인증마크가 존재한다. | |||
===== '''캐나다''' ===== | |||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인증마크는 다음과 같다. | |||
'''CSA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전기 및 전자 제품, 기계류, 가전 제품 | |||
'''ULC (Underwriters Laboratories of Canada):''' 화재 안전, 보안 제품, 건축 자재 | |||
'''IC (Industry Canada):''' 무선 통신 기기, 방송 장비 | |||
'''cUL (Canadian Underwriters Laboratories):''' 다양한 전기 제품 | |||
====== '''유라시아''' ====== | |||
'''EAC (Eurasian Conformity)''' | |||
적용 국가: 유라시아 경제 연합(EAEU) 회원국(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 |||
목적: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 | |||
설명: EAC 마크는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기술 규정(TR CU)에 따라 제품이 모든 필수 요건을 충족했음을 나타낸다. 전기 제품, 기계류, 장난감 등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한다. | |||
'''GOST (Gosudarstvennyy Standart)''' | |||
적용 국가: 러시아 및 구소련 국가들 | |||
목적: 국가 표준에 따른 품질 및 안전성 보증 | |||
설명: GOST는 특정 제품군에 대한 기술 규격을 정의하며, 제품이 이 규격을 준수함을 확인한다. 이는 식품, 화학 제품,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된다. | |||
'''TR CU (Technical Regulations of the Customs Union)''' | |||
적용 국가: EAEU 회원국 | |||
목적: 관세 동맹의 기술 규정 준수 | |||
설명: TR CU는 관세 동맹 내에서 통용되는 기술 규정을 설정하며, 제품이 해당 규정을 준수함을 인증한다. EAC 마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EAC 인증을 받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 |||
== '''근거법령''' == | |||
'''1.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KC인증의 주요 법적 근거입니다. 이 법의 제3조에서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의 안전관리 대상 품목에 대해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5조에서는 안전인증 대상 제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자는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 |||
''제3조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의 안전인증 등)'' | |||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을 제조하거나 외국에서 제조하여 대한민국으로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안전인증기관으로부터 제품의 출고 전(국내제조) 또는 **통관 전(수입제품)**에 모델별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 |||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의 모델별 안전인증을 실시한다.'' | |||
''안전인증의 기준, 방법, 절차 및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한다.'' | |||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제5조'' | |||
''제5조 (안전인증의 신청 등)'' | |||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을 제조하거나 외국에서 제조하여 대한민국으로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안전인증기관에 안전인증을 신청하여야 한다.'' | |||
''안전인증기관은 신청서를 접수한 후 안전성 시험 및 공장심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 |||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성 시험 및 공장심사의 결과가 적합한 경우에는 안전인증서를 발급한다.'' | |||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이 계속하여 안전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정기검사를 실시한다.'' | |||
''정기검사의 기준, 방법, 절차 및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한다.'' | |||
[https://m.ktr.or.kr/certification/kc/contentsid/798/index.do 참고] | |||
'''2.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 어린이 제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으로, 어린이 제품에 대한 KC인증 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이 법의 제17조에서는 어린이제품에 대한 안전인증을 의무화하고 있다. | |||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 제17조'' | |||
''1. 안전인증의 의무:'' | |||
'' - 안전인증대상 어린이제품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출고 전 또는 통관 전에 안전인증기관으로부터 모델별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 |||
'' - 안전인증은 제품검사와 공장심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 |||
''2. 안전인증의 절차:'' | |||
'' -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안전인증을 신청하면, 안전인증기관은 제품검사와 공장심사를 실시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확인한다.'' | |||
'' - 일정 수량만 제조하거나 1회성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경우 제품검사만으로도 안전인증을 받을 수 있다.'' | |||
''3. 변경사항:'' | |||
'' - 이미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의 제조업자가 인증 받은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 변경 신청을 통해 다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 |||
''4. 정기검사와 자체검사:'' | |||
'' - 안전인증기관은 2년에 1회 정기검사를 실시하여 제품의 지속적인 안전성을 확인한다.'' | |||
'' - 제조업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체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 |||
''5. 서류 작성 및 보관:'' | |||
'' - 제조업자와 수입업자는 제품의 안전성을 증명하는 서류를 작성하고 보관해야 한다.'' | |||
''6. 국제협력:'' | |||
'' - 안전인증기관은 국제적인 상호인정을 통해 다른 국가의 검사기관과 협력할 수 있다.'' | |||
[https://standard.go.kr/KSCI/crtfcSystem/searchCrtfcSystemView.do?crtfcstId=0000000001&crtfcstReformNo=0000&viewPage=system 참고] | |||
'''3. 전파법''':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 평가와 관련된 법령으로, KC인증의 한 부분인 전자파 적합성 평가가 이 법에 근거하고 있다. 전파법 제58조의 2항에 따라 방송통신기자재는 적합성 인증을 받아야 힌다. | |||
''전파법 제58조의 2항'' | |||
''전파법 제58조의 2항은 방송통신기자재와 전자파장해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는 기자재(이하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 평가에 관한 규정을 다루고 있다.'' | |||
''1. 적합성 평가 의무:'' | |||
'' -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판매, 또는 수입하려는 자는 해당 기자재에 대해 적합성 평가를 받아야 한다. 이 평가는 적합인증, 적합등록, 그리고 잠정인증 3자지로 나뉜다.'' | |||
''2. 적합인증:'' | |||
'' -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자재에 대해 실시되며, 지정시험기관에서 적합성평가기준에 따라 시험을 거쳐 인증을 받는다. 주로 레이다, 무선설비 기기, 셋톱박스 등이 대상이다.'' | |||
''3. 적합등록:'' | |||
'' - 적합인증 대상이 아닌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판매, 또는 수입하려는 경우 적합성평가기준에 따른 시험을 거쳐 등록한다. 여기에는 컴퓨터, 가전제품, 조명기기 등이 포함된다.'' | |||
''4. 잠정인증:'' | |||
'' - 적합성평가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기자재에 대해 임시로 적합성을 평가하여 인증을 부여한다. 이 경우 기술설명서, 자체 시험결과 설명서 등의 서류가 필요하다.'' | |||
''5. 적합성 평가 절차:'' | |||
'' - 모든 적합성 평가의 신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자민원센터에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구비서류와 절차는 관련 법령에 따라 진행된다.'' | |||
''6. 면제대상 기자재:'' | |||
'' - 특정 조건 하에 적합성평가가 면제될 수 있는 기자재들도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험 및 연구 목적의 기자재는 적합성 평가가 면제될 수 있다.'' | |||
[https://www.consumer.go.kr/user/ftc/consumer/crtfc/73/selectCrtfcInfoList.do?crtfcCdS=03 참고] | |||
== '''연구동향''' == | |||
권진욱,황명환(2017)은 대한민국의 KC 인증제도와 다른 국가들의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를 비교하여 각 제도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했다. | |||
현재 KC 인증제도의 문제점 분석: KC 인증제도가 일본의 인증제도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전기 안전 기준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표준을 따르고 있어 운영 시스템과 기준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한다. | |||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인증 절차에서의 비효율성과 국제 경쟁력 저하를 초래한다 | |||
국내외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 비교: 대한민국의 KC 인증제도와 다른 국가들의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를 비교하여 각 제도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했고 | |||
주요 비교 대상은 유럽 연합의 CE 마크, 미국의 NRTL, 일본의 PSE 마크 등이다. | |||
운영 요령과 기술 기준의 부합화: KC 인증제도의 운영 요령과 기술 기준을 국제 표준과 일치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 KC-KS-IEC 기술 기준의 버전 일치화: KC, KS(한국산업표준), IEC 기술 기준의 버전을 통일하여 인증 절차의 효율성을 높임. | |||
강제 인증 제도 표준화 시스템 거버넌스 강화: 표준화 시스템의 거버넌스를 강화하여 국제적 신뢰도를 높임. | |||
남지영, 이재학(2018)은 대한민국의 인증제도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대한민국의 인증제도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 |||
의무인증제도는 국가에 의해 강제적으로 시행되는 인증제도로, KC 인증이 대표적이다. | |||
임의인증제도는 법률에 의해 시행되는 법정 임의인증제도와 법적 근거 없는 민간 인증으로 나뉜다. 법정 임의인증제도로는 KS 인증, 신기술인증(NET), 신제품인증(NEP) 등이 있다. | |||
이러한 다양한 인증제도로 인해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고 인증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 |||
따라서 KS 인증, 신기술 및 신제품 인증, 민간(단체표준) 인증의 체계적 개선을 제안하고, 인증 제도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
== '''관련보도''' == | |||
정부는 KC인증 없는 해외 제품의 직접구매(직구)를 금지하는 방안을 발표했으나, 사흘 만에 철회했다. KC인증 제도는 캐나다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와 상호 인증되지 않아 국제적인 표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KC인증 비용이 높아 저가 제품의 경우 인증을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규제는 소비자 권익을 침해하고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어, 제도의 개선과 국제표준 채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520515697 원문] | |||
KC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들이 실제로 안전한지에 대한 검증 결과,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거나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특히 어린이용 겨울 제품에서 납,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의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가 있었으며, 제조업체의 관리 소홀과 전통시장의 단속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KC인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보다 엄격한 관리와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3201864 원문] | |||
KC인증마크가 붙어있어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제품들이 발견되었다. 대표적으로 문제가 된 가습기 살균제도 KC마크를 통과했으며, 신발용 탈취제나 어린이용 물놀이 제품에서도 유해물질이 검출되었다. 이는 KC인증이 제품 출시 전의 검사에만 의존하고, 이후 제조사의 관리 소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지적되었다. 많은 제품이 KC마크를 받지만, 실제로는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신뢰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16/nwtoday/article/3974407_31361.html 원문] | |||
새로운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전안법) 시행으로 1만 원 이하의 저가 의류와 신발 등이 시장에서 사라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다. 전안법은 모든 의류와 신발에 KC인증을 받도록 요구하여, 특히 저가 제품을 다루는 소규모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저가 의류 시장 축소와 소비자 선택권 감소가 예상되며, 법 개정과 시행 연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80023.html 원문] | |||
== '''참고문헌''' == | |||
권진욱,황명환,Kwon Jin-Wook,and Hwang Myung-Whan.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KC)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9.3 (2017): 27-33. | |||
남지영,and 이재학. "국내 인증제도 발전방향을 위한 연구." 표준인증안전학회지 8.3 (2018): 1-10. |
2024년 6월 19일 (수) 09:22 판
개요
KC 인증(Korea Certification)은 대한민국 정부가 도입한 국가 통합 인증제도로,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인증은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제조업체와 수입업체가 준수해야 할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한다.
KC 인증제도는 2009년 시행되었다. 이는 이전의 여러 개별 인증제도를 통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된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중복된 인증 절차를 줄이고, 국내외 기업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했다.
각 품목군에 따라 세부적으로 적용되는 KC 인증 기준이 다르며, 해당 기준을 충족한 제품만이 KC 마크를 부착하고 판매될 수 있다.
KC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이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지 검토하는 시험과 평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은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인정받은 시험기관에서 이루어지며,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 환경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인증을 통과한 제품에는 KC 마크가 부여되며, 이는 제품이 법적 기준을 충족함을 의미한다.
KC 인증제도는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를 증대시키고, 제조업체에게는 제품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국제적인 인증과 조화를 이루어 국내 제품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KC 인증은 국민의 안전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제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은 KC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는 소비자 보호와 제품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제품이 KC 인증을 받았다는 것은 해당 제품이 안전성, 품질, 성능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하며, 이를 표시하기 위해 KC 마크를 부착해야 한다.
KC 인증제도 이전
1. 전파인증 마크
전파인증 마크는 무선 장비가 전자파 적합성을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 KC 인증 하에서는 전자파 적합성 인증으로 통합되어 전자파 방출이 법적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2. 전기안전 마크
전기안전 마크는 전기 제품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증하는 인증이다. 이 마크는 KC 안전 인증으로 통합되어 전기 제품의 안전성을 보증한다.
3. 정수기 검사필증
정수기 검사필증은 정수기의 위생성과 안전성을 검사하여 인증하는 마크이다. KC 인증 체계 내에서는 생활용품 안전 인증으로 통합되어 정수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용품의 안전성을 검증한다.
4. 공산품 안전인증, 공산품 자율안전확인, 어린이 안전보호포장 마크
이 마크들은 공산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며, 어린이용 제품의 경우 안전 보호 포장 여부를 확인한다. KC 인증으로 통합되면서 공산품 안전 인증으로 재편되었으며, 어린이 제품의 경우 추가적으로 강화된 안전 기준이 적용된다.
5. 고압가스용품 안전 마크, 계량기 검정마크
고압가스용품과 계량기의 안전과 정확성을 보증하는 마크이다. KC 인증 체계에서는 고압가스 안전 인증과 계량기 정확성 인증으로 통합되어 안전성과 정확성을 보장한다.
6. 소방용품 형식승인 마크
소방용품의 성능과 안전성을 인증하는 마크이다. KC 인증 체계에서는 소방 안전 인증으로 통합되어 소방용품의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한다.
7. 승강기 안전인증 마크
승강기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마크로, KC 인증 체계 내에서는 승강기 안전 인증으로 통합되어 승강기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한다.
8. 에너지소비 효율등급 표시 마크
제품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등급으로 표시하여 에너지 절약을 장려하는 마크이다. KC 인증 체계에서는 에너지 소비 효율 인증으로 통합되어 제품의 에너지 효율성을 보증한다.
해외사례
인증마크통합사례
미국
미국에는 다양한 인증마크가 있다.
UL (Underwriters Laboratories): 전기 및 전자 제품의 안전성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통신 기기 및 전자 제품의 전자파 적합성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안전성과 효능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환경 보호와 관련된 제품
Energy Star: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
이 외에도 특정 산업 및 제품군에 따라 다양한 인증마크가 존재한다.
캐나다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인증마크는 다음과 같다.
CSA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전기 및 전자 제품, 기계류, 가전 제품
ULC (Underwriters Laboratories of Canada): 화재 안전, 보안 제품, 건축 자재
IC (Industry Canada): 무선 통신 기기, 방송 장비
cUL (Canadian Underwriters Laboratories): 다양한 전기 제품
유라시아
EAC (Eurasian Conformity)
적용 국가: 유라시아 경제 연합(EAEU) 회원국(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목적: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
설명: EAC 마크는 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기술 규정(TR CU)에 따라 제품이 모든 필수 요건을 충족했음을 나타낸다. 전기 제품, 기계류, 장난감 등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한다.
GOST (Gosudarstvennyy Standart)
적용 국가: 러시아 및 구소련 국가들
목적: 국가 표준에 따른 품질 및 안전성 보증
설명: GOST는 특정 제품군에 대한 기술 규격을 정의하며, 제품이 이 규격을 준수함을 확인한다. 이는 식품, 화학 제품,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된다.
TR CU (Technical Regulations of the Customs Union)
적용 국가: EAEU 회원국
목적: 관세 동맹의 기술 규정 준수
설명: TR CU는 관세 동맹 내에서 통용되는 기술 규정을 설정하며, 제품이 해당 규정을 준수함을 인증한다. EAC 마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EAC 인증을 받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근거법령
1.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KC인증의 주요 법적 근거입니다. 이 법의 제3조에서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의 안전관리 대상 품목에 대해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5조에서는 안전인증 대상 제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자는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제3조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의 안전인증 등)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을 제조하거나 외국에서 제조하여 대한민국으로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안전인증기관으로부터 제품의 출고 전(국내제조) 또는 **통관 전(수입제품)**에 모델별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의 모델별 안전인증을 실시한다.
안전인증의 기준, 방법, 절차 및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한다.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제5조
제5조 (안전인증의 신청 등)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을 제조하거나 외국에서 제조하여 대한민국으로 수입하고자 하는 자는 안전인증기관에 안전인증을 신청하여야 한다.
안전인증기관은 신청서를 접수한 후 안전성 시험 및 공장심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성 시험 및 공장심사의 결과가 적합한 경우에는 안전인증서를 발급한다.
안전인증기관은 안전인증대상전기용품이 계속하여 안전성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정기검사를 실시한다.
정기검사의 기준, 방법, 절차 및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한다.
2.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 어린이 제품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으로, 어린이 제품에 대한 KC인증 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이 법의 제17조에서는 어린이제품에 대한 안전인증을 의무화하고 있다.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 제17조
1. 안전인증의 의무:
- 안전인증대상 어린이제품의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출고 전 또는 통관 전에 안전인증기관으로부터 모델별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 안전인증은 제품검사와 공장심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2. 안전인증의 절차:
-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가 안전인증을 신청하면, 안전인증기관은 제품검사와 공장심사를 실시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확인한다.
- 일정 수량만 제조하거나 1회성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경우 제품검사만으로도 안전인증을 받을 수 있다.
3. 변경사항:
- 이미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의 제조업자가 인증 받은 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 변경 신청을 통해 다시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4. 정기검사와 자체검사:
- 안전인증기관은 2년에 1회 정기검사를 실시하여 제품의 지속적인 안전성을 확인한다.
- 제조업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후에도 지속적으로 자체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5. 서류 작성 및 보관:
- 제조업자와 수입업자는 제품의 안전성을 증명하는 서류를 작성하고 보관해야 한다.
6. 국제협력:
- 안전인증기관은 국제적인 상호인정을 통해 다른 국가의 검사기관과 협력할 수 있다.
3. 전파법: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 평가와 관련된 법령으로, KC인증의 한 부분인 전자파 적합성 평가가 이 법에 근거하고 있다. 전파법 제58조의 2항에 따라 방송통신기자재는 적합성 인증을 받아야 힌다.
전파법 제58조의 2항
전파법 제58조의 2항은 방송통신기자재와 전자파장해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는 기자재(이하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 평가에 관한 규정을 다루고 있다.
1. 적합성 평가 의무:
-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판매, 또는 수입하려는 자는 해당 기자재에 대해 적합성 평가를 받아야 한다. 이 평가는 적합인증, 적합등록, 그리고 잠정인증 3자지로 나뉜다.
2. 적합인증:
-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자재에 대해 실시되며, 지정시험기관에서 적합성평가기준에 따라 시험을 거쳐 인증을 받는다. 주로 레이다, 무선설비 기기, 셋톱박스 등이 대상이다.
3. 적합등록:
- 적합인증 대상이 아닌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판매, 또는 수입하려는 경우 적합성평가기준에 따른 시험을 거쳐 등록한다. 여기에는 컴퓨터, 가전제품, 조명기기 등이 포함된다.
4. 잠정인증:
- 적합성평가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기자재에 대해 임시로 적합성을 평가하여 인증을 부여한다. 이 경우 기술설명서, 자체 시험결과 설명서 등의 서류가 필요하다.
5. 적합성 평가 절차:
- 모든 적합성 평가의 신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자민원센터에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구비서류와 절차는 관련 법령에 따라 진행된다.
6. 면제대상 기자재:
- 특정 조건 하에 적합성평가가 면제될 수 있는 기자재들도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험 및 연구 목적의 기자재는 적합성 평가가 면제될 수 있다.
연구동향
권진욱,황명환(2017)은 대한민국의 KC 인증제도와 다른 국가들의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를 비교하여 각 제도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했다.
현재 KC 인증제도의 문제점 분석: KC 인증제도가 일본의 인증제도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전기 안전 기준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표준을 따르고 있어 운영 시스템과 기준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인증 절차에서의 비효율성과 국제 경쟁력 저하를 초래한다
국내외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 비교: 대한민국의 KC 인증제도와 다른 국가들의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를 비교하여 각 제도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했고
주요 비교 대상은 유럽 연합의 CE 마크, 미국의 NRTL, 일본의 PSE 마크 등이다.
운영 요령과 기술 기준의 부합화: KC 인증제도의 운영 요령과 기술 기준을 국제 표준과 일치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 KC-KS-IEC 기술 기준의 버전 일치화: KC, KS(한국산업표준), IEC 기술 기준의 버전을 통일하여 인증 절차의 효율성을 높임.
강제 인증 제도 표준화 시스템 거버넌스 강화: 표준화 시스템의 거버넌스를 강화하여 국제적 신뢰도를 높임.
남지영, 이재학(2018)은 대한민국의 인증제도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대한민국의 인증제도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의무인증제도는 국가에 의해 강제적으로 시행되는 인증제도로, KC 인증이 대표적이다.
임의인증제도는 법률에 의해 시행되는 법정 임의인증제도와 법적 근거 없는 민간 인증으로 나뉜다. 법정 임의인증제도로는 KS 인증, 신기술인증(NET), 신제품인증(NEP)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인증제도로 인해 소비자들이 혼란을 겪고 인증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KS 인증, 신기술 및 신제품 인증, 민간(단체표준) 인증의 체계적 개선을 제안하고, 인증 제도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관련보도
정부는 KC인증 없는 해외 제품의 직접구매(직구)를 금지하는 방안을 발표했으나, 사흘 만에 철회했다. KC인증 제도는 캐나다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와 상호 인증되지 않아 국제적인 표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KC인증 비용이 높아 저가 제품의 경우 인증을 포기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규제는 소비자 권익을 침해하고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어, 제도의 개선과 국제표준 채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원문
KC인증마크가 부착된 제품들이 실제로 안전한지에 대한 검증 결과,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거나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특히 어린이용 겨울 제품에서 납,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의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가 있었으며, 제조업체의 관리 소홀과 전통시장의 단속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KC인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보다 엄격한 관리와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원문
KC인증마크가 붙어있어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제품들이 발견되었다. 대표적으로 문제가 된 가습기 살균제도 KC마크를 통과했으며, 신발용 탈취제나 어린이용 물놀이 제품에서도 유해물질이 검출되었다. 이는 KC인증이 제품 출시 전의 검사에만 의존하고, 이후 제조사의 관리 소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지적되었다. 많은 제품이 KC마크를 받지만, 실제로는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신뢰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원문
새로운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전안법) 시행으로 1만 원 이하의 저가 의류와 신발 등이 시장에서 사라질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다. 전안법은 모든 의류와 신발에 KC인증을 받도록 요구하여, 특히 저가 제품을 다루는 소규모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저가 의류 시장 축소와 소비자 선택권 감소가 예상되며, 법 개정과 시행 연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원문
참고문헌
권진욱,황명환,Kwon Jin-Wook,and Hwang Myung-Whan.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기용품 안전인증제도(KC)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9.3 (2017): 27-33.
남지영,and 이재학. "국내 인증제도 발전방향을 위한 연구." 표준인증안전학회지 8.3 (2018):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