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승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결원 보충의 한 방법으로, 하위 계급에 재직하고 있는 공무원 가운데 일정 요건을 갖춘 자를 상위 계급에 임용하는 것 == 승진 제도 == === 연공주의 === 인사관리 전반에서 연공서열을 기준으로 함. 승진에서도 조직에서 근무한 기간을 주요 기준으로 삼음. === 실적주의 === 인사관리 전반에서 개인의 능력과 실적을 기준으로 함. 승진에서도 개인의 능력과 실적을... |
편집 요약 없음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승진에서도 개인의 능력과 실적을 기준으로 삼음. | 승진에서도 개인의 능력과 실적을 기준으로 삼음. | ||
== 승진임용의 종류 == | |||
=== 근속승진 === | |||
해당 인원의 근속연수를 토대로 승진을 결정하는 제도. | |||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승진 유형. 즉, 가장 단순하고 명료한 제도이다. | |||
호봉제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급여 역시 호봉을 통하여 결정된다.연차와 직급의 비례적 관계. | |||
=== 공개경쟁승진 === | |||
직급을 높이는 과정에 있어서 기관 내부에 국한하지 않고 다른 기관의 응시자도 같이 경쟁할 수 있도록 한 제도. | |||
일정한 풀(pool)에서 내부 경쟁을 통하여 승진자가 결정되며 HR부서(인사혁신처)의 역할이 중요하다. | |||
대한민국에서는 5급에 한하여 해당 승진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 |||
=== 일반승진 === | |||
임용권자가 해당 순위 등이 작성되어 있는 승진후보자명부를 통하여 승진을 결정하는 제도이다. | |||
해당 승진제도는 시험,무시험,심사 등 다양한 요건을 토대로 수행될 수 있다. | |||
=== 특별승진 === | |||
특별승진은 말 그대로 특별한 공적이 있는 자에게 승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 |||
여기서 기회라는 것은 승진소요 최저연수의 감소, 승진시험 응시권 부여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
일반승진에서의 승진후보자명단 순위와 무관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특별승진과 일반승진은 대칭적 의미를 가진다. | |||
== 승진제도에서 유의하여야 할 점 == | |||
승진은 조직 내에서의 권한과 위상,그리고 책임의 증가를 뜻한다. 이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 |||
조직 전체의 효용성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렇기에 승진제도는 합리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해진다. | |||
즉, '객관성,투명성을 바탕으로 한 승진절차의 공정성 확보', | |||
'개인역량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율적 경력관리와 연계된 승진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2024년 10월 31일 (목) 18:46 기준 최신판
결원 보충의 한 방법으로, 하위 계급에 재직하고 있는 공무원 가운데 일정 요건을 갖춘 자를 상위 계급에 임용하는 것
승진 제도
연공주의
인사관리 전반에서 연공서열을 기준으로 함.
승진에서도 조직에서 근무한 기간을 주요 기준으로 삼음.
실적주의
인사관리 전반에서 개인의 능력과 실적을 기준으로 함.
승진에서도 개인의 능력과 실적을 기준으로 삼음.
승진임용의 종류
근속승진
해당 인원의 근속연수를 토대로 승진을 결정하는 제도.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승진 유형. 즉, 가장 단순하고 명료한 제도이다. 호봉제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급여 역시 호봉을 통하여 결정된다.연차와 직급의 비례적 관계.
공개경쟁승진
직급을 높이는 과정에 있어서 기관 내부에 국한하지 않고 다른 기관의 응시자도 같이 경쟁할 수 있도록 한 제도. 일정한 풀(pool)에서 내부 경쟁을 통하여 승진자가 결정되며 HR부서(인사혁신처)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한민국에서는 5급에 한하여 해당 승진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일반승진
임용권자가 해당 순위 등이 작성되어 있는 승진후보자명부를 통하여 승진을 결정하는 제도이다. 해당 승진제도는 시험,무시험,심사 등 다양한 요건을 토대로 수행될 수 있다.
특별승진
특별승진은 말 그대로 특별한 공적이 있는 자에게 승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기회라는 것은 승진소요 최저연수의 감소, 승진시험 응시권 부여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승진에서의 승진후보자명단 순위와 무관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특별승진과 일반승진은 대칭적 의미를 가진다.
승진제도에서 유의하여야 할 점
승진은 조직 내에서의 권한과 위상,그리고 책임의 증가를 뜻한다. 이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조직 전체의 효용성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렇기에 승진제도는 합리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해진다. 즉, '객관성,투명성을 바탕으로 한 승진절차의 공정성 확보', '개인역량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율적 경력관리와 연계된 승진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