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대기환경 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환경부 정책 현황 == | |||
환경부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의 환경권을 보장한다.'를 임무로, '국민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비전으로 삼는다. 이와 같은 임무와 비전을 완수하기 위해 기관 차원에서 중점을 두고 지향해야 할 정책방향으로서 6개의 전략목표를 제시한다. | |||
전략목표를 기초로 16개의 프로그램 목표를 설정하여, 각 단위사업들의 성과를 상위 수준에서 통합하고 극대화한다.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국민환경 생활환경 조성, 기후변화 대응 강화, 폐기물이 자원으로 순환되는 미래 환경 실현 등 국정과제, 지역공약 등 착실한 이행을 뒷받침한다. | |||
=== 기능별 예산 현황 === | |||
'''환경부의 최근 5년간(2021-2024) 예산 현황과 2025년도 예산안''' | |||
{| class="wikitable" | |||
|+환경부 예산 (단위: 억 원) | |||
!2021 | |||
!2022 | |||
!2023 | |||
!2024 | |||
!2025 | |||
|- | |||
|107,678 | |||
|120,638 | |||
|126,483 | |||
|135,534 | |||
|148,262 | |||
|} | |||
'''환경부 총지출(2024)''' 14조 3,493억 원 편성(‘23년 대비 6.5% 增) | |||
* (예산) 12조 5,059억 원 편성, ’23년 대비 7.9% 증가 | |||
* (기금) 1조 8,434억 원 편성, ‘23년 대비 2.0% 감소 | |||
{| class="wikitable" | |||
|+단위: 억 원 | |||
! rowspan="2" |구분 | |||
! rowspan="2" |'23년 | |||
본예산(A) | |||
! colspan="3" |'24년 본예산 | |||
|- | |||
!규모(B) | |||
!증감(B-A) | |||
!증가율(B/A) | |||
|- | |||
|◇ 총지출(①+②) | |||
|134,735 | |||
|143,493 | |||
|8,758 | |||
|6.5 | |||
|- | |||
|① 예산 | |||
|115,918 | |||
|125,059 | |||
|9,141 | |||
|7.9 | |||
|- | |||
|② 기금 | |||
|18,817 | |||
|18,434 | |||
|△383 | |||
|△2.0 | |||
|- | |||
| -기후기금(환경부 소관) | |||
-수계‧석면기금 | |||
|8,252 | |||
10,565 | |||
|7,959 | |||
10,475 | |||
|△293 | |||
△90 | |||
|△3.6 | |||
△0.9 | |||
|} | |||
=== 정책 방향 및 주요 사업 === | |||
==== 정책 방향 ==== | |||
'''1) 기본 방향''' | |||
* 기후위기에 따른 극한 홍수·가뭄으로부터 국민안전 최우선 확보 | |||
*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및 탄소중립에 지속 투자 | |||
'''2) 중점 투자 방향''' | |||
*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치수인프라 확충 | |||
*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육성 | |||
* 쾌적한 국민 생활을 위한 환경서비스 지속 | |||
==== 정책 주요 사업 ==== | |||
'''1)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치수인프라 확충''' | |||
# 하천 정비 | |||
#* 국가하천정비 (6,627억원, 46.9%↑) * 준설(3→19건) 지류‧지천(신규 20곳) 국가하천전환(신규 103억) | |||
#* 국가하천유지보수 (2,614억원, 4.2%↑) | |||
# 댐 건설 등 | |||
#* 신규댐 건설 등 (신규 10곳, 63억) | |||
#* 기존 소규모댐 건설 (155억원, 36.0%↑) | |||
# 도심 내 침수 예방 | |||
#* 하수관로 정비(도시침수 대응) (3,275억원, 112.5%↑) | |||
#* 강남역‧광화문‧도림천 방수로‧저류시설 (262억원, 208.2%↑) | |||
# AI 기반 홍수예보 | |||
#* AI 홍수예보체계 구축 (818억원, 384.0%↑) | |||
#* 댐-하천 디지털트윈 플랫폼 (179억원, 314.8%↑) | |||
'''2)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육성''' | |||
# 녹색산업 육성 | |||
#*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 (781억원, 12.5%↑) | |||
#* 미래환경산업 육성 융자 (3,299억원, 18.3%↑) | |||
# 녹색산업 해외진출 | |||
#* 환경산업 수출기반 육성지원 (323억원, 56.0%↑) | |||
#* 탄소중립·그린 ODA (301억원, 143.6%↑) | |||
#* 녹색인프라 수출 지원 펀드 (300억원, 신규) | |||
# 무공해차 보급 | |||
#* 무공해차 보급 (2조3,193억원, 9.6%↓) * 물량: 28.5만대 → 30.1만대 | |||
#* 무공해차 충전인프라 (7,344억원, 41.5%↑) | |||
# 탄소중립 전환 | |||
#* 온실가스 국제감축 (236억원, 126.9%↑) | |||
#* 친환경소비생활 지원 (311억원, 29.6%↑) | |||
'''3) 쾌적한 국민 생활을 위한 환경서비스 지속''' | |||
# 환경 취약계층 지원 | |||
#* 석면피해구제급여 (455억원, 64.3%↑) | |||
#*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지원 (90억원, 150.0%↑) | |||
# 물 공급 및 수질개선 | |||
#*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지원 (90억원, 150.0%↑) | |||
#* 4대강 보 활용 연구 (20억원, 신규) | |||
#* 녹조저감설비 (50억원, 87.4%↑) | |||
#* 하수처리장 확충 (1조241억원, 32.7%↑) | |||
# 자원순환 | |||
#* 재활용 및 업사이클 체계 구축 (44억원, 83.3%↑) | |||
#* 순환경제 규제 샌드박스 (15억원, 신규) | |||
# 자연 보존‧이용 | |||
#* 팔공산 국립공원 관리 (125억원, 신규) | |||
#* 국립공원 헬기 교체 (25억원, 신규) | |||
== 대기환경 보전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 | == 대기환경 보전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 | ||
2024년 12월 15일 (일) 22:28 판
환경부 정책 현황
환경부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의 환경권을 보장한다.'를 임무로, '국민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비전으로 삼는다. 이와 같은 임무와 비전을 완수하기 위해 기관 차원에서 중점을 두고 지향해야 할 정책방향으로서 6개의 전략목표를 제시한다.
전략목표를 기초로 16개의 프로그램 목표를 설정하여, 각 단위사업들의 성과를 상위 수준에서 통합하고 극대화한다.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국민환경 생활환경 조성, 기후변화 대응 강화, 폐기물이 자원으로 순환되는 미래 환경 실현 등 국정과제, 지역공약 등 착실한 이행을 뒷받침한다.
기능별 예산 현황
환경부의 최근 5년간(2021-2024) 예산 현황과 2025년도 예산안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107,678 | 120,638 | 126,483 | 135,534 | 148,262 |
환경부 총지출(2024) 14조 3,493억 원 편성(‘23년 대비 6.5% 增)
- (예산) 12조 5,059억 원 편성, ’23년 대비 7.9% 증가
- (기금) 1조 8,434억 원 편성, ‘23년 대비 2.0% 감소
구분 | '23년
본예산(A) |
'24년 본예산 | ||
---|---|---|---|---|
규모(B) | 증감(B-A) | 증가율(B/A) | ||
◇ 총지출(①+②) | 134,735 | 143,493 | 8,758 | 6.5 |
① 예산 | 115,918 | 125,059 | 9,141 | 7.9 |
② 기금 | 18,817 | 18,434 | △383 | △2.0 |
-기후기금(환경부 소관)
-수계‧석면기금 |
8,252
10,565 |
7,959
10,475 |
△293
△90 |
△3.6
△0.9 |
정책 방향 및 주요 사업
정책 방향
1) 기본 방향
- 기후위기에 따른 극한 홍수·가뭄으로부터 국민안전 최우선 확보
-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및 탄소중립에 지속 투자
2) 중점 투자 방향
-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치수인프라 확충
-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육성
- 쾌적한 국민 생활을 위한 환경서비스 지속
정책 주요 사업
1)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치수인프라 확충
- 하천 정비
- 국가하천정비 (6,627억원, 46.9%↑) * 준설(3→19건) 지류‧지천(신규 20곳) 국가하천전환(신규 103억)
- 국가하천유지보수 (2,614억원, 4.2%↑)
- 댐 건설 등
- 신규댐 건설 등 (신규 10곳, 63억)
- 기존 소규모댐 건설 (155억원, 36.0%↑)
- 도심 내 침수 예방
- 하수관로 정비(도시침수 대응) (3,275억원, 112.5%↑)
- 강남역‧광화문‧도림천 방수로‧저류시설 (262억원, 208.2%↑)
- AI 기반 홍수예보
- AI 홍수예보체계 구축 (818억원, 384.0%↑)
- 댐-하천 디지털트윈 플랫폼 (179억원, 314.8%↑)
2)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육성
- 녹색산업 육성
-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 (781억원, 12.5%↑)
- 미래환경산업 육성 융자 (3,299억원, 18.3%↑)
- 녹색산업 해외진출
- 환경산업 수출기반 육성지원 (323억원, 56.0%↑)
- 탄소중립·그린 ODA (301억원, 143.6%↑)
- 녹색인프라 수출 지원 펀드 (300억원, 신규)
- 무공해차 보급
- 무공해차 보급 (2조3,193억원, 9.6%↓) * 물량: 28.5만대 → 30.1만대
- 무공해차 충전인프라 (7,344억원, 41.5%↑)
- 탄소중립 전환
- 온실가스 국제감축 (236억원, 126.9%↑)
- 친환경소비생활 지원 (311억원, 29.6%↑)
3) 쾌적한 국민 생활을 위한 환경서비스 지속
- 환경 취약계층 지원
- 석면피해구제급여 (455억원, 64.3%↑)
-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지원 (90억원, 150.0%↑)
- 물 공급 및 수질개선
-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지원 (90억원, 150.0%↑)
- 4대강 보 활용 연구 (20억원, 신규)
- 녹조저감설비 (50억원, 87.4%↑)
- 하수처리장 확충 (1조241억원, 32.7%↑)
- 자원순환
- 재활용 및 업사이클 체계 구축 (44억원, 83.3%↑)
- 순환경제 규제 샌드박스 (15억원, 신규)
- 자연 보존‧이용
- 팔공산 국립공원 관리 (125억원, 신규)
- 국립공원 헬기 교체 (25억원, 신규)
대기환경 보전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개요
대기오염 발생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는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깨끗한 대기환경을 조성을 목표로 하는 환경부의 프로그램
추진 배경 및 의의
- '18년 말까지 국내 배출량 9.4%(직접+2차) 감축(ʼ14년 배출량 기준), 연차별 목표 정상 이행 등으로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소폭 개선
- '22년까지 ʼ14년 국내 배출량 기준 35.8% 감축을 위한 연차별 목표 정상 이행 중
- 전국 연평균 농도 : 25㎍/㎥('17) ⇒ 23㎍/㎥('18·'19) ⇒ 19㎍/㎥('20) ⇒ 18㎍/㎥('21·'22·23)
- 전체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은 '15년 대비 '22년 20.3% 증가('15년 54,647 개소→ '20년 56,685개소→ '21년 67,271개소→ '22년 65,733개소)
- 같은 기간 4~5종 소규모 사업장수는 19.7% 증가('15년 50,041개소 → '20년 52,712개소→ '21년 61,502개소→ '22년 59,915개소)
- 전체 경유차 등록 대수는 매년 증가하였으나, '20년 이후 감소 추세('13년 740만대 → '20년 999만대 → '23년 950만대)이며,
- '15년 이후 경유차 신차 판매량의 감소('15년 96만대 → '23년 29만대)로 증가 추세가 둔화되면서, 노후경유차* 비중은 '19년부터 급격히 감소 * (5등급 경유차) '19년 207만대 → '20년 165만대 → '21년 128만대 → '22년 106만대 → '23년 88만대
주요 추진 전략
- 대기관리권역 사업장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 및 배출허용기준 강화 등 배출규제는 강화하되, 방지시설 설치비 지원 등 사업장 부담 경감 방안도 적극 발굴·이행
- 광역적 대기질 영향 범위, 대기오염도, 주요 배출원 입지 등을 고려한 권역 관리체계로 전환하여 오염원 엄격 관
-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여 감축을 유도하고, 허가제도 및 오염물질 측정체계 개선 등을 통해 사업장 관리 사각지대 해소
- 점검방식의 과학화·첨단화 등 감시역량의 강화 및 촘촘한 감시를 통해 불법행위를 원천 차단하고 배출규제의 실효성 확보
- 대도시와 수도권 미세먼지 최대 배출원인 도로 수송부문 집중 감축으로 미세먼지 저감 효과 가시화
- 조기폐차 물량 확대 등으로 노후경유차 조속 퇴출하는 한편, 신규 경유차는 억제하고 무공해차 보급 확대 적극 추진
- 운행 경유차에 대한 부정검사 차단, 정밀검사 확대, 배출가스‧공회전 단속 강화 등으로 적정 사후관리 추진
- 무공해차 구매 보조, 보급목표제 도입 등으로 무공해차 대중화 시대 조기 실현
-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미세먼지 원인 파악을 통해 합리적 정책수립 지원 및 효율적인 정책 이행방안 마련
- 정책 신뢰도 향상을 위한 측정·예보 고도화 및 배출량 통계 개선 등 지속적인 미세먼지 대응 R&D 강화
- 대기오염물질 월경 이동에 대한 공동연구 등 오염원 원인규명 및 실증적 저감 기여 방안 모색을 위한 정부간 협력·참여 제도화
- 미세먼지 공동대응 인식확산 등 다자 차원의 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갈 수 있는 국제적 공조 여건 조성
주요 단위 사업
1) 대기오염 발생원 관리
- 사업 목적
-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하여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차, 천연가스차 등 저공해자동차 보급 확대 ※ 30년까지 무공해차 450만대(전기차 420만대, 수소차 30만대), 전기차 충전기 123만기(급속 14.5만기, 완속 108.5만기), 수소충전소 660기 보급‧확충
- 도심 내 운행 빈도가 높은 시내버스를 매연이 없는 천연가스, 전기·수소 버스로의 교체․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지원
- 예산사업 내역
회계
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1) 대기오염 발생원 관리(1633) | 에너지및자원사업특별회계 | 1,465,432 | 2,620,726 | 2,412,893 | 3,056,945 | 3,192,271 |
어린이 통학차량 LPG차 전환지원(310) | 에너지및자원사업특별회계 | 15,958 | 12,000 | 9,000 | 3,250 | 744 |
무공해차 보급사업(311) | 에너지및자원사업특별회계 | 1,258,635 | 2,182,761 | 1,908,900 | 2,319,254 | 2,263,104 |
무공해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312) | 에너지및자원사업특별회계 | 184,787 | 420,244 | 494,993 | 734,441 | 928,423 |
2) 대기오염 발생원 관리
- 사업 목적
- 국민이 체감하는 깨끗한 대기환경을 위해 전국(수도권, 수도권 외)을 대상으로 자동차, 사업장 등 주요 배출원별 관리 및 저감 추진
- 굴뚝원격감시체계 구축을 통하여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24시간 감시 및 기업체의 자율적 환경관리 유도
- 정유사의 자동차연료 품질등급평가 결과를 공개하여 정유사 스스로 연료 환경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자동차연료 첨가제 및 촉매제 사후관리로 대기오염개선에 기여
- 악취 민원 증가 등 국민의 생활환경 개선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악취관리체계 정비 및 기술지원 지속 추진
- 사업장 등에서 비산배출되는 유해대기오염물질(HAPs)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에 대한 관리 강화
- 미세먼지 및 탄소자원화 분야 과학기술 기반 연구를 통하여 미세먼지 문제 해결 방안 강구 및 탄소자원화 기술 개발·실증 지원
- 미세먼지 정책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국민 대상 다양한 생활밀착형 홍보 및 참여형 홍보 강화
-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 등 실내공기질 관리, 소음·진동 관리, 빛공해 방지 등 안심할 수 있는 생활공간 조성
- 감염성 및 건강 위해성이 높은 실내공기 중 생물학적 유해인자를 분석‧측정하고, 인체 건강영향 평가 및 감시체계를 구축
- 실내공기질 관리 제도 개선 및 규제 연계 산업육성 기술개발을 통한 국민건강 보호 기여 및 공기산업 환류체계 조성
- 예산사업 내역
회계
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1) 대기오염 발생원 관리(1633) | 환경개선특별회계 | 723,768 | 767,126 | 619,764 | 522,782 | 431,304 |
사업장 미세먼지 관리사업(301) | 환경개선특별회계 | 0 | 153,216 | 127,033 | 66,591 | 48,953 |
자동차 배출가스 관리사업(302) | 환경개선특별회계 | 640,553 | 422,322 | 370,008 | 346,427 | 290,279 |
생활주변 미세먼지 관리사업(303) | 환경개선특별회계 | 71,676 | 66,386 | 67,344 | 59,552 | 42,366 |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R&D)(315) | 환경개선특별회계 | 0 | 5,100 | 11,200 | 7,707 | 7,959 |
대기환경무인기 one-stop 플랫폼 기술개발사업(R&D)(317)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0 | 0 | 4,000 |
지하역사공기질 개선대책(320)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21,093 | 16,999 | 16,999 |
생활공해관리(321)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7,284 | 6,839 | 6,940 |
실내공기질관리 종합대책(322)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9,333 | 8,964 | 7,961 |
실내공기 생물학적 위해인자 관리 기술개발사업(R&D)(323)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6,469 | 9,703 | 5,847 |
대기환경 보전 프로그램의 성과지표
성과지표 | 가중치 | 성과분야 | 실적 및 목표치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방법/ 출처 | |||||||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
①전국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
(하향지표) |
1 | 일반재정 | 목표 | 18 | 18 | 18 | 18 | 17 | - | - | 전국 도시대기측정망 초미세먼지(PM2.5) 평균농도
|
대기오염 실시간 공개시스템(에어코리아) |
실적 | 18 | 18 | 18 | - | - | - | - |
대기환경 보전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대안
문제점
1) 정책의 실효성 부족
- 산업계와의 갈등: 배출 규제를 강화할수록 산업계의 반발이 크다.
2) 국민 참여와 인식 부족
- 저조한 참여율: 친환경 생활 방식에 대한 시민 참여율이 낮고, 인식 제고 활동이 충분하지 않다.
3) 국제협력의 한계
- 국경 간 오염 문제: 중국 등 인접 국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국내 대기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국제 협력이 충분하지 않다.
대안
1) 정책 실효성 강화: 산업계와 협력 구조를 개선하고, 실질적인 감축을 유도하는 인센티브 및 규제 병행
2) 국민 참여 활성화: 교육 캠페인 및 참여 유도 프로그램 강화
3) 국제 협력 강화: 주변국과의 협상력 증대 및 다자간 협력 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