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국방혁신 4.0을 통한 첨단과학기술 군 육성: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동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 1. 국방부 정책현황 == === 가. 기능별 예산 현황 === 예산 개요: 2024년도 국방예산은 총 59조 5,885억 원으로, 전년 대비 4.5%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 및 장병 복무 여건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예산 배분: 방위력 개선비: 17조 7,986억 원 (전년 대비 5.2% 증가) 전력 운영비: 41조 7,899억 원 (전년 대비 4.2% 증가) === 나. 정책방향 및...
 
이동현 (토론 | 기여)
잔글 내용추가
11번째 줄: 11번째 줄:


=== 나. 정책방향 및 주요사업 ===
=== 나. 정책방향 및 주요사업 ===
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한 한국형 3축체계 고도화,AI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 등 핵심전력 및 비대칭 대응전력을 집중 보강하겠습니다.
'''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한 한국형 3축체계 고도화,AI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 등 핵심전력 및 비대칭 대응전력을 집중 보강'''


-킬체인 전력(F-X 2차 등 3조 3,010억원)
-킬체인 전력(F-X 2차 등 3조 3,010억원)
21번째 줄: 21번째 줄: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감시정찰 ·지휘통제 기반전력( 425사업 등 1조 5,411억원)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감시정찰 ·지휘통제 기반전력( 425사업 등 1조 5,411억원)


② 신영역 · 신개념 무기체계와 기존 플랫폼 전력의 조합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방위산업 국가전략산업화 및 방산수출증대를 추진하겠습니다.
'''② 신영역 · 신개념 무기체계와 기존 플랫폼 전력의 조합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방위산업 국가전략산업화 및 방산수출증대를 추진'''


-고효율·최적화된 전력체계(K9A2자주포 등 7조 6,693억원)
-고효율·최적화된 전력체계(K9A2자주포 등 7조 6,693억원)
27번째 줄: 27번째 줄:
-방위산업 국가전략산업화 기반조성과 방산수출 증대를 위한지원(국제방산협력지원 등 2,069억원)
-방위산업 국가전략산업화 기반조성과 방산수출 증대를 위한지원(국제방산협력지원 등 2,069억원)


③ 군 복무가 자랑스러운 나라를 실현하기 위해 병역의무 이행에 합당한 수준의 보상을 제공합니다
'''③ 군 복무가 자랑스러운 나라를 실현하기 위해 병역의무 이행에 합당한 수준의 보상을 제공'''


-병 봉급과 자산형성프로그램을 결합하여 2025년까지 병장 기준 지원금을 205만원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할 계획
-병 봉급과 자산형성프로그램을 결합하여 2025년까지 병장 기준 지원금을 205만원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할 계획
35번째 줄: 35번째 줄:
-병 복무기간 중 자산형성을 위한 내일준비지원금을 확대하여 2024년 정부 지원금을 월 최대 3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인상합니다
-병 복무기간 중 자산형성을 위한 내일준비지원금을 확대하여 2024년 정부 지원금을 월 최대 3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인상합니다


④ 그간 처우개선에서 병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초급간부의 복무여건 개선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④ 그간 처우개선에서 병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초급간부의 복무여건 개선 예산을 반영'''


-단기복무장교‧부사관의 지원율 하락을 방지하고, 우수인력 획득을 위해 단기복무장려금(수당)을 33% 인상합니다. 또한, 단기복무장려금 지급대상을 확대하여 대학 졸업 후 학사장교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지급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반영하였습니다.
-단기복무장교‧부사관의 지원율 하락을 방지하고, 우수인력 획득을 위해 단기복무장려금(수당)을 33% 인상합니다. 또한, 단기복무장려금 지급대상을 확대하여 대학 졸업 후 학사장교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지급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반영


- 주택수당은 직·간접 주거지원을 받지 않는 3년 이상 근무 간부에게만 지급하여왔으나, 대상을 확대하여 3년 미만 간부까지도 지급합니다.
- 주택수당은 직·간접 주거지원을 받지 않는 3년 이상 근무 간부에게만 지급하여왔으나, 대상을 확대하여 3년 미만 간부까지도 지급합니다.
43번째 줄: 43번째 줄:
-그간 훈련 시 간부의 영내급식 비용은 개인이 부담하였으나, 24년부터는 훈련 시 간부 영내급식의 국가지원을 추진(’24년은 일부 지원)하며, 향후 재정범위 내에서 지원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군인은 훈련에만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그간 훈련 시 간부의 영내급식 비용은 개인이 부담하였으나, 24년부터는 훈련 시 간부 영내급식의 국가지원을 추진(’24년은 일부 지원)하며, 향후 재정범위 내에서 지원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군인은 훈련에만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⑤ 주거·의료 등 병영생활 측면에서 미래세대 장병들이 만족할 수있는 환경을 만들겠습니다.
'''⑤ 주거·의료 등 병영생활 측면에서 미래세대 장병들이 만족할 수있는 환경 촉진'''


-장병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현재 8~10인실 기준 병영생활관을 2~4인실 기준으로 지속 개선(신규 65동)하고, 1인 1실 간부숙소 조기 확보를 위해 공사기간이 짧은 모듈러형 간부숙소를 확대도입합니다.
-장병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현재 8~10인실 기준 병영생활관을 2~4인실 기준으로 지속 개선(신규 65동)하고, 1인 1실 간부숙소 조기 확보를 위해 공사기간이 짧은 모듈러형 간부숙소를 확대도입합니다.
53번째 줄: 53번째 줄:
∙ 플리스형 스웨터 보급 전 장병 확대(+67억원), 얼음정수기 보급(+48억원) 등 생활밀착형 편의용품 보급도 적극 추진하여 신세대 장병들의 복무만족도를 높이겠습니다.
∙ 플리스형 스웨터 보급 전 장병 확대(+67억원), 얼음정수기 보급(+48억원) 등 생활밀착형 편의용품 보급도 적극 추진하여 신세대 장병들의 복무만족도를 높이겠습니다.


⑥ 첨단 ICT 신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미래전 수행역량을 갖춘 AI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합니다.
'''⑥ 첨단 ICT 신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미래전 수행역량을 갖춘 AI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


-경계‧군수‧부대운영 등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스마트부대를 확대(스마트쉽·군항·미사일방어부대 등 16개 부대)하고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AI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에 지속 투자합니다.
-경계‧군수‧부대운영 등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스마트부대를 확대(스마트쉽·군항·미사일방어부대 등 16개 부대)하고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AI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에 지속 투자합니다.
59번째 줄: 59번째 줄:
-또한, 실전적 과학화 훈련을 위해 마일즈장비, 시뮬레이터, AR·VR 훈련체계 등 첨단 과학화 훈련장비를 확보하고, 과학화훈련장 및 실내사격장 등 교육훈련시설도 계속 확충합니다.
-또한, 실전적 과학화 훈련을 위해 마일즈장비, 시뮬레이터, AR·VR 훈련체계 등 첨단 과학화 훈련장비를 확보하고, 과학화훈련장 및 실내사격장 등 교육훈련시설도 계속 확충합니다.


== 국방혁신 4.0을 통한 첨단과학기술 군 육성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
== 2.국방혁신 4.0을 통한 첨단과학기술 군 육성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


=== 1)목표 ===
=== )목표 ===


* '''미래 군사력 운용개념 창출''':  첨단 전력을 활용,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비대칭 군사전략과 미래에 확대되는 신작전 영역 및 유·무인 복합 중심의 작전수행개념( How to Fight ) 을 창출
* '''미래 군사력 운용개념 창출''':  첨단 전력을 활용,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비대칭 군사전략과 미래에 확대되는 신작전 영역 및 유·무인 복합 중심의 작전수행개념( How to Fight ) 을 창출
70번째 줄: 70번째 줄:
* '''민·군 융합형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국방R&D 여러 요소를 강화하고, 군·산·학·연 융합형 소요기획 및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하여 첨단과학기술의 국방진입 속도 및 범위, 절차 혁신
* '''민·군 융합형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국방R&D 여러 요소를 강화하고, 군·산·학·연 융합형 소요기획 및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하여 첨단과학기술의 국방진입 속도 및 범위, 절차 혁신


=== 2)배경 및 의의 ===
=== )배경 및 의의 ===
 
*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핵심기술의 집합체인 AI 및 무인로봇에 대한 기술을 발굴하고 국방에 활용을 위한 전략 수립에 대한 요구
* 민간주도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AI 기술의 국방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외 국방 AI 기술 개발현황 조사를 통해 세부기술을 식별하고 그 발전방향을 예측
 
=== 다)주요 추진전략 ===
 
* '''국방혁신 4.0 총괄 추진 및 첨단과학 기술기반 군구조개편 추진'''
 
-미래 전장환경 고려, 새로운 군사전략과 작전개념 발전
 
- 미래 연합방위 全 영역 합동작전 등을 고려 지휘구조 재설계* 합참·각 軍 본부 기능·구조 최적화, 다양한 합동부대 편성 등
 
- 새로운 작전개념·첨단무기체계 운용에 적합한 부대구조로 발전
 
- High-Low Mix 개념 기반 질적 우위의 전력구조로 재설계* 게임체인저, AI 기반 유·무인 전투체계 등 첨단전력 확충 -
 
간부 비율 증대, 전문인력 확대 등 미래 병력구조 재설계
 
* '''미래 국방력 강화를 위한 국방비전 및 장기 군구조 발전 추진'''
 
- ’21년 완성된「국방비전 2050」 지속성 보장 및 ’국방혁신 4.0‘ 추진을 위한 개념적 기반 완성을 위해「국방비전 2050」주요 도전과제 추진 * 주요 도전과제 : 미래 군사전략 및 합동작전개념 수립,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작전개념 발전
 
- 병력자원 감소, 위협 다변화 등 도전적 미래 안보환경에 대비한 장기 군구조 발전 추진
 
*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국방운영 혁신 추진'''
 
- 추동력 있는 국방혁신 추진을 통해 정책의 연속성 유지 및 선진화된 국방운영 환경으로 발전 추진
 
- “국방과학기술 전문연구인력 육성ㆍ확대” 포함 국방운영 분야국방혁신 4.0 기본계획 수립과 분석ㆍ평가체계 개선 등 제도개선을 통해 체계적인 혁신 수행 여건 마련
 
*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 기반의 국방역량 강화'''
 
- 국방 드론, 로봇 분야 등 4차 산업혁명 첨단과학기술의 신속한적용을 통해 국방역량 강화 추진
 
- 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 단계적 구축을 위한 정책·전략 수립 및 추진체계 강화 * 유·무인 복합체계 운용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DnA 포럼, 국방과학기술조정협의회 등을 통한 부처/민관군 협력 강화
 
* '''국방혁신과 연계한 부대개편시설사업 적기 추진'''
 
- 군구조 개편 추진 로드맵에 따라 ’26년까지 여단급 이상 부대군사시설의 통합 · 조정과 재배치
 
=== 라)<big>법·제도·정책 요인 및 외부요인 분석</big> ===
 
*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684호, ’20. 12. 22.) 
 
*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0963호, ’20. 8. 25.)
 
*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수정문) (’21. 7. 7.)
* 안보위협의 불확실성 증가와 주변국 간 안보분야에서 잠재적 위협 증대, 감염병 확산 등과 같은 신흥 안보위협 대두
*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로 국방 분야 변화와 혁신 요구
 
=== 마)단위사업 ===
 
* '''새로운 군사전략및 작전개념 창출'''
 
-국방혁신 4.0 기본계획 수립 ㆍ국방혁신 4.0 추진
 
* '''미래 국방력 강화를 위한 전력구조 개편 및 발전정책 수립'''
 
-국방비전 2050 ㆍ2040장기 군구조구상
 
*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국방운영 혁신 추진'''
 
-국방운영 혁신 추진 ㆍ국방혁신 관련 제도 개선
 
*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 기반의 국방역량 강화'''
 
-추진과제· 관리방안 조정 ㆍ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 발전 추진
 
 
=== 바)프로그램 성과지표 ===
'''※2022년~2024년 AI 신기술 R&D 연구과제 예산 현황 (단위 : 억원)'''
{| class="wikitable"
|+
!
!연구과제
!2022
!2023
!2024(정부안)
!23년대비
|-
|1
|통합 화생방 방어체계 구축 연구
|61.78
|43.09
|41.58
|<nowiki>-1.51</nowiki>
|-
|2
|인공지능(AI) 기반 군집무인기 통제기술
|40.43
|96.83
|61.85
|<nowiki>-34.98</nowiki>
|-
|3
|Explainable AI 기반 상호작용형 인공위성 이미지 분석
|10.29
|6.18
|0
|<nowiki>-6.18</nowiki>
|-
|4
|머신러닝기반 레이더용 소형 표적탐지/추적 기술
|11.69
|3.52
|0
|<nowiki>-3.52</nowiki>
|-
|5
|딥러닝 기반 초소형 SAR 위성영상의 특정물체 인식기법
|5.33
|9.41
|0
|<nowiki>-9.41</nowiki>
|-
|6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8.17
|0
|0
|0
|-
|7
|인공지능 기반 시각적 부분 가림 물체 자동 식별 기술
|5.96
|9.14
|0
|<nowiki>-9.14</nowiki>
|-
|8
|인공지능 공중교전 기술
|13.38
|0
|0
|0
|-
|9
|기계학습 기반 지능형 위협장비 식별 시스템 개발
|16.25
|7.17
|13.75
|6.58
|-
|10
|공개정보를 이용한 특정 인물군 인식 및 감정 복합 추론
|10.88
|4.37
|3.42
|<nowiki>-0.96</nowiki>
|-
|11
|적대적 인공지능 기반 심층신경망 무력화 및 방어기술 개발
|3.95
|8.23
|2.52
|<nowiki>-5.71</nowiki>
|-
|12
|험지 임무 수행을 위한 유무인 협업형 무인이동체용 강자율 지능기술 개발
|9.24
|8.93
|8.66
|<nowiki>-0.27</nowiki>
|-
|13
|비정형 멀티 모달 데이터 융합 다중가설 뉴로-심볼릭 AI기반 미래 하이브리드전 대응 합동지휘통제 전 지능화 기술 개발
|8.92
|8.42
|8.26
|<nowiki>-0.16</nowiki>
|-
|14
|기체상 화생 작용제 탐지, 식별을 위한 머신 러닝이 적용된 플라즈모닉 금속 유기 골격체 기반 소형 광학센서 개발
|9.26
|7.88
|8.66
|0.78
|-
|15
|인공지능 기반 소노부이 탐색 및 실시간 음탐식별 자동화 기술
|8.03
|0.92
|2.41
|1.49
|-
|16
|무기체계 전자부품/단말 탑재형 온센서 AI 지원 초경량 인공지능 컴퓨팅 SW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21.68
|7.47
|4.19
|<nowiki>-3.28</nowiki>
|-
|17
|초정밀 지자기 실내측위 기반 해군 함정의 실시간 디지털 트윈 서비스 및 AR 글래스를 이용한 대테러 작전 수행 시스템 연구
|9.46
|7.93
|8.15
|0.2
|-
| colspan="2" |'''총 계'''
|'''254.69'''
|'''229.48'''
|'''163.44'''
|'''-66.04'''
|}
 
 
'''※24년 예산 중 AI유무인복합전투체계 미반영 현황(단위-억원]'''
{| class="wikitable"
|+
|'''사 업 명'''
|'''요구(A)'''
|'''정부안(B)'''
|'''미반영사유'''
|-
|접적지역대드론 통합체계
|9.95
|0.00
|미비(10월가능)
|-
|다출처영상융합체계(완성형) R&D
|249.58
|0.00
|미비(9월가능)
|-
|소총사격무인항공기
|2.05
|0.00
|사업팀 미추진의사
|-
|통신중계드론(R&D)
|0.99
|0.00
|사업팀 미추진의사
|}
 
* '''주요단위 산업분석 결과'''
 
-국방혁신4.0 핵심과제 'AI 연구개발' 예산감소
 
-신기술 분야 AI R&D 예산, 23년보다 약30% 감소
 
-AI R&D 예산규모 감소, 방위비 중 0.015% 차지
 
== 3. 국방혁신 4.0을 통한 첨단과학기술 군 육성 프로그램 문제점과 대안 ==
 
* '''문제점'''
 
가. 국방기술 R&D 예산의 낮은 증가폭
{| class="wikitable"
|+국방 R&D 예산 [단위-조원]
!
!2021
!2022
!2023
!2024
!2025
|-
|국방R&D 
|4조 3300억
|4조 8300억
|5조 800억
|4조 6400억
|4조 9000억
|-
|국방기술R&D
|8400억원
|1조 4005억원
|1조 8800억
|1조 4800억
|1조 5600억
|-
|비율
|19.4%
|29%
|37.1%
|31.9%
|31.84%
|}

2024년 12월 3일 (화) 10:46 판

1. 국방부 정책현황

가. 기능별 예산 현황

예산 개요: 2024년도 국방예산은 총 59조 5,885억 원으로, 전년 대비 4.5%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 및 장병 복무 여건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예산 배분:

방위력 개선비: 17조 7,986억 원 (전년 대비 5.2% 증가)

전력 운영비: 41조 7,899억 원 (전년 대비 4.2% 증가)

나. 정책방향 및 주요사업

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을 위한 한국형 3축체계 고도화,AI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 등 핵심전력 및 비대칭 대응전력을 집중 보강

-킬체인 전력(F-X 2차 등 3조 3,010억원)

-복합다층미사일방어전력(L-SAM 등 1조 5,661억원)

-대량응징보복 전력(고위력미사일,특임여단 전력보강-II 등 7,483억원)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감시정찰 ·지휘통제 기반전력( 425사업 등 1조 5,411억원)

② 신영역 · 신개념 무기체계와 기존 플랫폼 전력의 조합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방위산업 국가전략산업화 및 방산수출증대를 추진

-고효율·최적화된 전력체계(K9A2자주포 등 7조 6,693억원)

-방위산업 국가전략산업화 기반조성과 방산수출 증대를 위한지원(국제방산협력지원 등 2,069억원)

③ 군 복무가 자랑스러운 나라를 실현하기 위해 병역의무 이행에 합당한 수준의 보상을 제공

-병 봉급과 자산형성프로그램을 결합하여 2025년까지 병장 기준 지원금을 205만원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할 계획

-2024년 계급별 봉급은 병장 125만원, 상병 100만원, 일병 80만원, 이병 64만원으로 각각 인상됩니다

-병 복무기간 중 자산형성을 위한 내일준비지원금을 확대하여 2024년 정부 지원금을 월 최대 3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인상합니다

④ 그간 처우개선에서 병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초급간부의 복무여건 개선 예산을 반영

-단기복무장교‧부사관의 지원율 하락을 방지하고, 우수인력 획득을 위해 단기복무장려금(수당)을 33% 인상합니다. 또한, 단기복무장려금 지급대상을 확대하여 대학 졸업 후 학사장교를 지원하는 경우에도 지급할 수 있도록 예산을 반영

- 주택수당은 직·간접 주거지원을 받지 않는 3년 이상 근무 간부에게만 지급하여왔으나, 대상을 확대하여 3년 미만 간부까지도 지급합니다.

-그간 훈련 시 간부의 영내급식 비용은 개인이 부담하였으나, 24년부터는 훈련 시 간부 영내급식의 국가지원을 추진(’24년은 일부 지원)하며, 향후 재정범위 내에서 지원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군인은 훈련에만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⑤ 주거·의료 등 병영생활 측면에서 미래세대 장병들이 만족할 수있는 환경 촉진

-장병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현재 8~10인실 기준 병영생활관을 2~4인실 기준으로 지속 개선(신규 65동)하고, 1인 1실 간부숙소 조기 확보를 위해 공사기간이 짧은 모듈러형 간부숙소를 확대도입합니다.

-또한, 녹물·누수 등으로 보]수가 시급한 군 주거시설을 집중개선하기 위해 주거시설 유지보수비*도 대폭 증액하여 반영하였습니다. * ’23년(1,999억원) 대비 2,197억원 증액된 4,196억원 반영

∙ 의료환경 측면에서는 원격진료체계 확대, 의료종합상황센터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국군외상센터 민간병원 협력운영, 상용구급차 확보(116대, 97억원) 등을 통해 군 의료역량을강화합니다.

∙ 플리스형 스웨터 보급 전 장병 확대(+67억원), 얼음정수기 보급(+48억원) 등 생활밀착형 편의용품 보급도 적극 추진하여 신세대 장병들의 복무만족도를 높이겠습니다.

⑥ 첨단 ICT 신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미래전 수행역량을 갖춘 AI과학기술 강군 육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

-경계‧군수‧부대운영 등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스마트부대를 확대(스마트쉽·군항·미사일방어부대 등 16개 부대)하고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AI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에 지속 투자합니다.

-또한, 실전적 과학화 훈련을 위해 마일즈장비, 시뮬레이터, AR·VR 훈련체계 등 첨단 과학화 훈련장비를 확보하고, 과학화훈련장 및 실내사격장 등 교육훈련시설도 계속 확충합니다.

2.국방혁신 4.0을 통한 첨단과학기술 군 육성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가)목표

  • 미래 군사력 운용개념 창출: 첨단 전력을 활용,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비대칭 군사전략과 미래에 확대되는 신작전 영역 및 유·무인 복합 중심의 작전수행개념( How to Fight ) 을 창출
  • 과학기술 기반의 군사력 건설: 첨단 전력 중심의 군사력 운용개념구현을 위한 군구조 혁신, 새로운 전력증강 프로세스를 통한 첨단·비대칭 전력 확보( 3축 체계전력 포함 ) 로 실제 전투력 「질」적 변화 구현
  • 국방 AI·유무인 기반 구축 : 국방운영, 전력체계, 전장지휘 영역등 국방 전 영역의 AI 혁신을 위해 데이터 전처리 환경과 국방 AI표준체계 구축, 유·무인 복합체계 전력화를 위한 기술기반 조성(조직, 제도, 인재, 인프라 등), 과학화 전략 수립(유·무인 복합전 개념, 지능형 전장관리 개념 등)
  • 민·군 융합형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국방R&D 여러 요소를 강화하고, 군·산·학·연 융합형 소요기획 및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하여 첨단과학기술의 국방진입 속도 및 범위, 절차 혁신

나)배경 및 의의

  •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핵심기술의 집합체인 AI 및 무인로봇에 대한 기술을 발굴하고 국방에 활용을 위한 전략 수립에 대한 요구
  • 민간주도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AI 기술의 국방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외 국방 AI 기술 개발현황 조사를 통해 세부기술을 식별하고 그 발전방향을 예측

다)주요 추진전략

  • 국방혁신 4.0 총괄 추진 및 첨단과학 기술기반 군구조개편 추진

-미래 전장환경 고려, 새로운 군사전략과 작전개념 발전

- 미래 연합방위 全 영역 합동작전 등을 고려 지휘구조 재설계* 합참·각 軍 본부 기능·구조 최적화, 다양한 합동부대 편성 등

- 새로운 작전개념·첨단무기체계 운용에 적합한 부대구조로 발전

- High-Low Mix 개념 기반 질적 우위의 전력구조로 재설계* 게임체인저, AI 기반 유·무인 전투체계 등 첨단전력 확충 -

간부 비율 증대, 전문인력 확대 등 미래 병력구조 재설계

  • 미래 국방력 강화를 위한 국방비전 및 장기 군구조 발전 추진

- ’21년 완성된「국방비전 2050」 지속성 보장 및 ’국방혁신 4.0‘ 추진을 위한 개념적 기반 완성을 위해「국방비전 2050」주요 도전과제 추진 * 주요 도전과제 : 미래 군사전략 및 합동작전개념 수립,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작전개념 발전

- 병력자원 감소, 위협 다변화 등 도전적 미래 안보환경에 대비한 장기 군구조 발전 추진

  •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국방운영 혁신 추진

- 추동력 있는 국방혁신 추진을 통해 정책의 연속성 유지 및 선진화된 국방운영 환경으로 발전 추진

- “국방과학기술 전문연구인력 육성ㆍ확대” 포함 국방운영 분야국방혁신 4.0 기본계획 수립과 분석ㆍ평가체계 개선 등 제도개선을 통해 체계적인 혁신 수행 여건 마련

  •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 기반의 국방역량 강화

- 국방 드론, 로봇 분야 등 4차 산업혁명 첨단과학기술의 신속한적용을 통해 국방역량 강화 추진

- 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 단계적 구축을 위한 정책·전략 수립 및 추진체계 강화 * 유·무인 복합체계 운용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용역 추진, DnA 포럼, 국방과학기술조정협의회 등을 통한 부처/민관군 협력 강화

  • 국방혁신과 연계한 부대개편시설사업 적기 추진

- 군구조 개편 추진 로드맵에 따라 ’26년까지 여단급 이상 부대군사시설의 통합 · 조정과 재배치

라)법·제도·정책 요인 및 외부요인 분석

  •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684호, ’20. 12. 22.)
  •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0963호, ’20. 8. 25.)
  •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수정문) (’21. 7. 7.)
  • 안보위협의 불확실성 증가와 주변국 간 안보분야에서 잠재적 위협 증대, 감염병 확산 등과 같은 신흥 안보위협 대두
  •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 첨단과학기술의 발달로 국방 분야 변화와 혁신 요구

마)단위사업

  • 새로운 군사전략및 작전개념 창출

-국방혁신 4.0 기본계획 수립 ㆍ국방혁신 4.0 추진

  • 미래 국방력 강화를 위한 전력구조 개편 및 발전정책 수립

-국방비전 2050 ㆍ2040장기 군구조구상

  • 첨단과학기술 기반의 국방운영 혁신 추진

-국방운영 혁신 추진 ㆍ국방혁신 관련 제도 개선

  • 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 기반의 국방역량 강화

-추진과제· 관리방안 조정 ㆍ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 발전 추진


바)프로그램 성과지표

※2022년~2024년 AI 신기술 R&D 연구과제 예산 현황 (단위 : 억원)

연구과제 2022 2023 2024(정부안) 23년대비
1 통합 화생방 방어체계 구축 연구 61.78 43.09 41.58 -1.51
2 인공지능(AI) 기반 군집무인기 통제기술 40.43 96.83 61.85 -34.98
3 Explainable AI 기반 상호작용형 인공위성 이미지 분석 10.29 6.18 0 -6.18
4 머신러닝기반 레이더용 소형 표적탐지/추적 기술 11.69 3.52 0 -3.52
5 딥러닝 기반 초소형 SAR 위성영상의 특정물체 인식기법 5.33 9.41 0 -9.41
6 군집객체 인공지능 학습 프레임워크 개발 8.17 0 0 0
7 인공지능 기반 시각적 부분 가림 물체 자동 식별 기술 5.96 9.14 0 -9.14
8 인공지능 공중교전 기술 13.38 0 0 0
9 기계학습 기반 지능형 위협장비 식별 시스템 개발 16.25 7.17 13.75 6.58
10 공개정보를 이용한 특정 인물군 인식 및 감정 복합 추론 10.88 4.37 3.42 -0.96
11 적대적 인공지능 기반 심층신경망 무력화 및 방어기술 개발 3.95 8.23 2.52 -5.71
12 험지 임무 수행을 위한 유무인 협업형 무인이동체용 강자율 지능기술 개발 9.24 8.93 8.66 -0.27
13 비정형 멀티 모달 데이터 융합 다중가설 뉴로-심볼릭 AI기반 미래 하이브리드전 대응 합동지휘통제 전 지능화 기술 개발 8.92 8.42 8.26 -0.16
14 기체상 화생 작용제 탐지, 식별을 위한 머신 러닝이 적용된 플라즈모닉 금속 유기 골격체 기반 소형 광학센서 개발 9.26 7.88 8.66 0.78
15 인공지능 기반 소노부이 탐색 및 실시간 음탐식별 자동화 기술 8.03 0.92 2.41 1.49
16 무기체계 전자부품/단말 탑재형 온센서 AI 지원 초경량 인공지능 컴퓨팅 SW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21.68 7.47 4.19 -3.28
17 초정밀 지자기 실내측위 기반 해군 함정의 실시간 디지털 트윈 서비스 및 AR 글래스를 이용한 대테러 작전 수행 시스템 연구 9.46 7.93 8.15 0.2
총 계 254.69 229.48 163.44 -66.04


※24년 예산 중 AI유무인복합전투체계 미반영 현황(단위-억원]

사 업 명 요구(A) 정부안(B) 미반영사유
접적지역대드론 통합체계 9.95 0.00 미비(10월가능)
다출처영상융합체계(완성형) R&D 249.58 0.00 미비(9월가능)
소총사격무인항공기 2.05 0.00 사업팀 미추진의사
통신중계드론(R&D) 0.99 0.00 사업팀 미추진의사
  • 주요단위 산업분석 결과

-국방혁신4.0 핵심과제 'AI 연구개발' 예산감소

-신기술 분야 AI R&D 예산, 23년보다 약30% 감소

-AI R&D 예산규모 감소, 방위비 중 0.015% 차지

3. 국방혁신 4.0을 통한 첨단과학기술 군 육성 프로그램 문제점과 대안

  • 문제점

가. 국방기술 R&D 예산의 낮은 증가폭

국방 R&D 예산 [단위-조원]
2021 2022 2023 2024 2025
국방R&D 4조 3300억 4조 8300억 5조 800억 4조 6400억 4조 9000억
국방기술R&D 8400억원 1조 4005억원 1조 8800억 1조 4800억 1조 5600억
비율 19.4% 29% 37.1% 31.9% 3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