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두 판 사이의 차이
132번째 줄: | 132번째 줄: | ||
=== 정책 기여사례 === | === 정책 기여사례 === | ||
정부가 사회현상에 나타나는 여러 애로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책을 마련하다. 이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 정부가 사회현상에 나타나는 여러 애로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책을 마련하다. 이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 ||
청년자살에 대한 연구: 자살의 원인이되는 사회적고립(기준 고립청년은 49만명, 은둔청년은 2022년 기준 24만4000명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또한 데이터를 통해서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응답자 중 80.8%는 고립·은둔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해 생각했고, 실제 탈고립·은둔 시도는 67.2%가 했다. 청년들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공부(45.4%), 취미 활동(35.6%), 병원 진단·치료(16.3%), 심리상담(15.5%) 등에 나서고 있었다.) 위 사례 같은 경우는 정부가 청년미래센터 출범같은 정책을 마련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 |||
김규현 | |||
140번째 줄: | 141번째 줄: | ||
노인의 여가생활을 위한연구: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내는 지를 조사를하고(경로당은 85세 이상, 노인복지관은 75~85세, 사회복지관과 노인교실은 75~79세, 공공 및 민간 교육여가문화시설은 65~69세의 이용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보내기를 어려워함을 역설하고있다. 이 연구자료를 참고한 한의원은(김 위원은 “이러한 경향성은 베이비붐 이후 세대의 노년기 진입이 본격화될 경우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존 노인여가복지시설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라고 이야기한다. | |||
<br /> | <br /> | ||
2024년 12월 5일 (목) 22:35 판
연혁
설립배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국민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해 인구·사회·경제 상황을 조사하고 연구·분석하며,
사회정책 및 사회보장제도를 수립·지원함으로써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로 발전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연혁
- 1999.01.29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국무조정실로 소관 부처 이동 (법률 제5733호)
- 1989.12.30 한국보건사회연구원으로 개칭 (법률 제4181호, 보건사회부의 사회보장심의위원회 연구기능 통합)
- 1981.07.01 한국인구보건연구원 개원 (법률 제3417호, 한국보건개발연구원과 가족계획연구원 통합)
- 1976.04.19 한국보건개발연구원 설립 (법률 제2857호)
- 1971.07.01 가족계획연구원 개원 (법률 제2270호, 대통령령 제5626호, 국립가족계획연구소 계승)
- 1970.07.20 국립가족계획연구소 개소 (대통령령 제5198호)
설립취지
사회적 필요성과 역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국민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해 인구·사회·경제 상황을 조사하고 연구·분석하며,
사회정책 및 사회보장제도를 수립·지원함으로써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로 발전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보건의료·국민연금·의료보험·사회복지·인구 및 사회문제에 관한 제도 평가 및 정책개발
- 보건의료·사회복지 분야의 정책수립 및 개발을 위한 국가 기초통계자료의 생산
- 보건의료·사회복지분야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보건의료·사회복지 분야 정부의 주요 정책위원회 지원
- 보건의료·사회복지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국민 여론 수렴
- 보건의료·사회복지 관련 국내외 전문기관과의 기술 정보교류, 공동연구 및 이에 대한 지원
- 정부,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로부터의 공익성이 있는 연구용역의 수탁
- 보건의료·사회복지에 관한 교육, 연수 및 홍보
- 기타 연구원의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연구활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년도 사업목표
· 한국 복지국가 구현을 위한 통합적 정책연구 확대 추진
· 사회정책의 효과성 및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정책연구 강화
· 선도적·예견적 보건복지정책 개발 및 지원을 위한 정책대응력 제고
연구분야
- 보건의료·국민연금·의료보험·사회복지·인구 및 사회문제에 관한 제도 평가 및 정책개발
- 보건의료·사회복지 분야의 정책수립 및 개발을 위한 국가 기초통계자료의 생산
- 보건의료·사회복지분야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보건의료·사회복지 분야 정부의 주요 정책위원회 지원
- 보건의료·사회복지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국민 여론 수렴
- 보건의료·사회복지 관련 국내외 전문기관과의 기술 정보교류, 공동연구 및 이에 대한 지원
- 정부,국내외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로부터의 공익성이 있는 연구용역의 수탁
- 보건의료·사회복지에 관한 교육, 연수 및 홍보
- 기타 연구원의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보건의료연구센터
환자안전 등 국민건강안전 관련 연구
기타 보건의료에 관한 연구보건의료 공급체계 및 일차의료관련연구
보건의료자원에 관한 연구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연구
응급의료에 관한 연구
의료산업 투자 활성화 연구
건강정책연구센터
건강증진 정책 및 사업에 관한 연구
건강증진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및 평가
질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사 연구
질벙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사 연구
지역사회 보건 사업 및 정책에 관한연구
인구집단 및 지역 간 건강형평성 제고에 관한 연구
건강영향평가에 돤한 연구
기타 질병예방 및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
건강보험연구센터
- 건강보험제도 평가 및 개선 연구
- 의료급여제도 평가 및 개선 연구
-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 연구
- 건강보험 재원 확보 및 재정 효율화 연구
- 의료기관 적정보상체계에 관한 연구
- 기타 건강보장제도 관련 연구
사회건강정신센터
- 사회정신건강 실태 조사 및 분석
- 국민 정신건강증진 및 자살 예방 정책 연구
- 정신질환 예방, 치료 및 재활, 정신질환자 권익 보호 지원 관련 연구
-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 전달체계 연구
- 기타 사회정신건강 관련 연구
식품의약품정책연구
- 식품, 건강기능식품의 위생과 안전정책에 관한 연구
- 식생활 관리 및 식품산업에 관한 정책 연구
- 의약품 사용 및 시장, 산업에 관한 정책 연구
- 의약품의 안전관리 및 규제에 관한 정책연구
- 의료기술·의료기기·화장품 등에 관한 정책 연구
- 기타 식품 및 의약품 등의 정책에 관한 연구
미래질병연구센터
- 감염병 감시와 관리체계, 신종재출현감염병 대비, 공중보건위기 대응 등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 미세먼지 등 미래질병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예방접종, 백신수급 등에 관한 연구
- 사람·동물·환경 등을 연계하여 최적의 건강을 추구하는 원헬스(one health) 관련 다학제적 연구
- 미래질병대응 관련 범부처 협력체계 구축 관한 연구
- 기타 미래질병대응 관련 연구
연구과제사업
주요 연구과제
연구 협력 네트워크
주요성과
연구결과 및 보고서
정책 기여사례
정부가 사회현상에 나타나는 여러 애로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책을 마련하다. 이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청년자살에 대한 연구: 자살의 원인이되는 사회적고립(기준 고립청년은 49만명, 은둔청년은 2022년 기준 24만4000명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또한 데이터를 통해서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응답자 중 80.8%는 고립·은둔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해 생각했고, 실제 탈고립·은둔 시도는 67.2%가 했다. 청년들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공부(45.4%), 취미 활동(35.6%), 병원 진단·치료(16.3%), 심리상담(15.5%) 등에 나서고 있었다.) 위 사례 같은 경우는 정부가 청년미래센터 출범같은 정책을 마련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김규현
노인의 여가생활을 위한연구: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내는 지를 조사를하고(경로당은 85세 이상, 노인복지관은 75~85세, 사회복지관과 노인교실은 75~79세, 공공 및 민간 교육여가문화시설은 65~69세의 이용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보내기를 어려워함을 역설하고있다. 이 연구자료를 참고한 한의원은(김 위원은 “이러한 경향성은 베이비붐 이후 세대의 노년기 진입이 본격화될 경우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존 노인여가복지시설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라고 이야기한다.
학술활동
조직 및 운영
조직 구성
총6개의 주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부문은 아래와 같은 연구를 진행합니다.
관련 법제 및 정책
관련법령
국가 정책과의 연계
평가 및 사회적 영향
국내 평가
국외 평가
향후과제와 전망
참고자료
https://www.kihasa.re.k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공식홈페이지)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08_0002951728 (고립·은둔청년 75%가 자살 생각…"초기 발굴·개입 중요") 공감언론 뉴시즈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08_0002951728 (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보고서…베이비붐세대 노인들, 교육여가시설) 백세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