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노인대상한의약건강증진프로그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고령화 사회로 인해 노인 의료비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노인건강문제 해결이 주요 과제로 대두됨 | -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고령화 사회로 인해 노인 의료비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노인건강문제 해결이 주요 과제로 대두됨 | ||
12번째 줄: | 13번째 줄: | ||
- 노인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본 결과, 노인의 주된 건강/보건상의 문제에 대한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과 사업진행, 이에 대한 평가와 향후 제도화로 이어지는 경향이 관찰되며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사업 역시 체계적 근거구축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평가와 정례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근거중심 건강증진 사업으로 발전할 필요성이 제기됨 | - 노인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본 결과, 노인의 주된 건강/보건상의 문제에 대한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과 사업진행, 이에 대한 평가와 향후 제도화로 이어지는 경향이 관찰되며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사업 역시 체계적 근거구축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평가와 정례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근거중심 건강증진 사업으로 발전할 필요성이 제기됨 | ||
21번째 줄: | 23번째 줄: | ||
- 노인환자들은 한방의료기관이용률이 매우 높은 편임 | - 노인환자들은 한방의료기관이용률이 매우 높은 편임 | ||
26번째 줄: | 29번째 줄: | ||
- 한의약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과 연차별 시행전략 마련 | - 한의약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과 연차별 시행전략 마련 | ||
5) 노인 건강증진은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 중장기 계획에서 가장 우선순위 사업으로 선정됨 | 5) 노인 건강증진은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 중장기 계획에서 가장 우선순위 사업으로 선정됨 | ||
40번째 줄: | 42번째 줄: | ||
==== 치매관련 예방 프로그램 ==== | ==== 치매관련 예방 프로그램 ==== | ||
* 치매 조기 발굴 및 예방 사업의 중요성 | |||
-치매 치료와 관리에 소요되는 국가 총 치매비용은 치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데 치매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여 지속적으로 치료, 관리 했을 때 치매의 발병을 2년 정도 지연시키고 20년 후에는 치매 유병률을 80% 수준으로 감소(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5). | |||
- 치매는 조기에 치료할수록 요양비용이 절감되므로(Lopez et al., 2002), - 치매예방과 고위험군의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는 치매환자 증가에 따른 사회, 경제적 비용을 절감 | |||
* OECD '치매의 존엄성:더 나은 정책이 얼마나 치매환자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는가 | |||
(Dignity in dementia:How better policy can improve the lives of people with dementia)’. 2015.03 | |||
- 치매는 전 세계적 이슈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장애원인, 70세 이상 노인의 두 번째로 높은 장애원인으로 치매 유병률과 더불어 개인자원, 사회자원의 부담이 매우 빠르게 증가함 | |||
- 치매유병률, 부담증가는 고령화가 원인- 치매 부담을 줄이기 위한 글로벌 협력이 필요함(고령화와 치매관리를 먼저 시작한 국가들의 정책수립→정책시행→평가와 대책→새로운 도전의 과제가 글로벌 차원에서 진행될 경우 효과적 | |||
- OECD가 제안하는 치매관리 원칙은 예방과 조기발견, 지역사회 돌봄 커뮤니티의 발전과 부담경감, 치료가 필요한 대상자에 대한 적극적 치료와 관리, 삶의 주체성 유지를 | |||
위한 인간중심의 돌봄 등임 | |||
- 치매관리에서 조기발견, 돌봄의 사회화를 통한 지역사회기반의 돌봄과 공동체 부담경감의 방향으로 필요성이 강조됨 | |||
* 조절할 수 없는 위험인자<ref>구본대 외. 한국형 치매임상진료지침 소개. J Korean Med Assoc 2011 August; 54(8):861-87</ref> | |||
① 나이: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의 가장 큰 단일 위험 인자 | |||
② 성별:여성에서 알츠하이머병의 유병률은 남성보다 높음. | |||
③ 유전적 인자:다운증후군,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presenilin 1 (PS1), presenilin 2(PS2) 아포지단백E ε4 대립유전자(apolipoproteinE ε4 allele) | |||
*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 | |||
① 알코올 섭취:과도한 알코올의 섭취는 치매의 발병을 증가시켜 J형 곡선을 그리는 위험인자 | |||
② 흡연:흡연은 치매와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 | |||
③ 비만:중년에서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의 증가는 치매의 위험 인자 | |||
④ 고혈압:고혈압은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 | |||
⑤ 고콜레스테롤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은 일부 치매에서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 | |||
⑥ 두부손상:의식소실을 일으킬 정도의 두부손상은 치매의 위험을 2배 정도 증가시킴 | |||
⑦ 우울증:치매환자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은 약 12%이며 우울증은 치매의 전조증상 또는 초기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 | |||
⑧ 갑상선 기능이상 및 치매와 관련된 대사질환 | |||
⑨ 매독 | |||
⑩ 비타민 B12 및 엽산 결핍 | |||
* 치매의 보호인자 | |||
① 운동:중년기의 운동은 치매의 위험성을 낮춤. 권장 운동량은 적어도 1주일에 2번 이상, 30분 이상 숨이 다소 가쁘거나 땀을 흘릴 정도의 강도 | |||
② 교육과 지적 자극:지속적인 두뇌활동은 치매의 발병을 줄일 수 있고 높은 지적 능력을 갖고 있으면 치매증상 발현이 늦춰질 수 있음. | |||
③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일부 | |||
환자에서 NSAID의 장기사용이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음. | |||
④ 항산화제(antioxidants) | |||
⑤ 호르몬 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 |||
== 사업목적 == | == 사업목적 == |
2024년 12월 10일 (화) 15:12 판
개요
사업 배경 및 필요성
1) 고령사회 노인의료비 해결을 위한 노인 건강증진 필요성 증가
-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고령화 사회로 인해 노인 의료비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노인건강문제 해결이 주요 과제로 대두됨
2)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의 질적 개선
- 근거 기반의 사업에 대한 요구도 증가에 따른 보건소에서 수행 가능한 표준화된 한의약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증대(보건소 담당자 설문조사 결과 ‘표준화된 매뉴얼 제공’이 가장 높게 나타남)
- 노인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해본 결과, 노인의 주된 건강/보건상의 문제에 대한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과 사업진행, 이에 대한 평가와 향후 제도화로 이어지는 경향이 관찰되며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사업 역시 체계적 근거구축에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평가와 정례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근거중심 건강증진 사업으로 발전할 필요성이 제기됨
3) 생애과정별 맞춤형 건강증진 사업에 기여
- 한의약 노인건강증진사업 모델 개발을 통하여 생애과정별 맞춤형 건강증진사업 제공 가능
- 한의약은 이론적 배경과 현실적 적용의 측면에서 노인 건강증진에 장점을 가짐
- 노인환자들은 한방의료기관이용률이 매우 높은 편임
4) 적용가능한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을 위한 단기?장기 정책적 전략 필요
- 한의약 노인건강증진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과 연차별 시행전략 마련
5) 노인 건강증진은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 중장기 계획에서 가장 우선순위 사업으로 선정됨
국내 노인 보건의료 현황
치매 예방관리
치매의 정의[1]
치매는 그 자체가 하나의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기억력을 위시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
필요성
치매관련 예방 프로그램
- 치매 조기 발굴 및 예방 사업의 중요성
-치매 치료와 관리에 소요되는 국가 총 치매비용은 치매 중증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데 치매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여 지속적으로 치료, 관리 했을 때 치매의 발병을 2년 정도 지연시키고 20년 후에는 치매 유병률을 80% 수준으로 감소(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5).
- 치매는 조기에 치료할수록 요양비용이 절감되므로(Lopez et al., 2002), - 치매예방과 고위험군의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는 치매환자 증가에 따른 사회, 경제적 비용을 절감
- OECD '치매의 존엄성:더 나은 정책이 얼마나 치매환자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는가
(Dignity in dementia:How better policy can improve the lives of people with dementia)’. 2015.03
- 치매는 전 세계적 이슈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장애원인, 70세 이상 노인의 두 번째로 높은 장애원인으로 치매 유병률과 더불어 개인자원, 사회자원의 부담이 매우 빠르게 증가함
- 치매유병률, 부담증가는 고령화가 원인- 치매 부담을 줄이기 위한 글로벌 협력이 필요함(고령화와 치매관리를 먼저 시작한 국가들의 정책수립→정책시행→평가와 대책→새로운 도전의 과제가 글로벌 차원에서 진행될 경우 효과적
- OECD가 제안하는 치매관리 원칙은 예방과 조기발견, 지역사회 돌봄 커뮤니티의 발전과 부담경감, 치료가 필요한 대상자에 대한 적극적 치료와 관리, 삶의 주체성 유지를
위한 인간중심의 돌봄 등임
- 치매관리에서 조기발견, 돌봄의 사회화를 통한 지역사회기반의 돌봄과 공동체 부담경감의 방향으로 필요성이 강조됨
- 조절할 수 없는 위험인자[2]
① 나이: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의 가장 큰 단일 위험 인자
② 성별:여성에서 알츠하이머병의 유병률은 남성보다 높음.
③ 유전적 인자:다운증후군,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presenilin 1 (PS1), presenilin 2(PS2) 아포지단백E ε4 대립유전자(apolipoproteinE ε4 allele)
-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
① 알코올 섭취:과도한 알코올의 섭취는 치매의 발병을 증가시켜 J형 곡선을 그리는 위험인자
② 흡연:흡연은 치매와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
③ 비만:중년에서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의 증가는 치매의 위험 인자
④ 고혈압:고혈압은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
⑤ 고콜레스테롤혈증:고콜레스테롤혈증은 일부 치매에서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
⑥ 두부손상:의식소실을 일으킬 정도의 두부손상은 치매의 위험을 2배 정도 증가시킴
⑦ 우울증:치매환자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은 약 12%이며 우울증은 치매의 전조증상 또는 초기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음.
⑧ 갑상선 기능이상 및 치매와 관련된 대사질환
⑨ 매독
⑩ 비타민 B12 및 엽산 결핍
- 치매의 보호인자
① 운동:중년기의 운동은 치매의 위험성을 낮춤. 권장 운동량은 적어도 1주일에 2번 이상, 30분 이상 숨이 다소 가쁘거나 땀을 흘릴 정도의 강도
② 교육과 지적 자극:지속적인 두뇌활동은 치매의 발병을 줄일 수 있고 높은 지적 능력을 갖고 있으면 치매증상 발현이 늦춰질 수 있음.
③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일부
환자에서 NSAID의 장기사용이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음.
④ 항산화제(antioxidants)
⑤ 호르몬 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사업목적
첫째, 지역사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의약 치매 예방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치매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함
둘째, 건강 생활 태도의 생활화를 통한 주체적인 치매 예방 및 관리를 도모
셋째, 건강 생활 태도 함양 및 치매 예방과 관련 있는 통합 프로그램(신체활동, 사회활동, 두뇌활동)을 제공
사업내용
대상
지역사회 60세 이상 노인으로 프로그램 참여 희망자 중, 선별검사 상 정상으로 판별된 자 혹은 고위험 대상자
60세 이상으로 비교적 넓게 선정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노인은 자신의 관심질병이 아닐 경우 프로그램 참여하려는 동기가 낮은 경우가 많아 비교적 대상인원을 넓게 하여 참여도를 높이려 힘
기간
8주 ~ 12주 과정이다.
내용
(1) 교육 프로그램
- 치매관련 교육:치매란 무엇인가, 치매의 진단/치료, 지원시스템 정보 제공, 일기쓰기
- 노인 양생법
- 노인 우울증 예방
- 중풍예방
- 관절질환 예방
(2) 인지건강 프로그램
- 명상
(3) 신체활동 프로그램
- 동의보감 안마도인
(4) 한방치료
- 총명침 시술, 한약(과립제) 투여
(5) 기타 프로그램
- 작업치료, 웃음치료, 노래교실, 레크리에이션 등
(6) 효과 평가
- 인지기능 평가, 삶의 질 평가, 치매 지식/태도/예방실천 수준 조사, 우울 평가,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개별 인터뷰모니터링, 사업 정량적 평가
사업추진체계
1) 사업 수행 기관별 역할
사업을 수행하고자 해당 보건소의 역할을 정립하고,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사업 운영 총괄 및 기술지원을 실시함
(1) 보건복지부
- 사업총괄(지도・점검)
(2)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사업계획 수립 지원
- 보건소 선정・관리
- 사업운영 매뉴얼 개발・제공
- 교육자료 및 평가지표 개발・보급
- 사업관련 회의 및 담당자 교육 개최
- 사업 종합평가
※조사내용 분석결과에 의한 사업평가 및 통계생산
※사업관련 문제점 및 개선사항 분석
(3) 보건소
- 사업 운영계획 수립
- 사업대상자 선정 및 현황 관리
- 사업평가를 위한 사업 전・후 조사 및 사업 운영 현황 보고
※ 보고양식에 따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의약 건강증진 TF 팀으로 보고
- 사업교육 운영 시 필요도구 및 자료 준비・지원
- 타 사업 담당자와 업무협의를 통해 연계사업 운영 가능
운영개요
가) 프로그램 운영 흐름도 및 수행 인력
(1) 프로그램 운영 흐름도
대상자 선정 | 관내 60세 이상 노인으로 프로그램 참여 희망자 중 선별검사상 정상, 또는 고위험대상자 | ||||||||||
---|---|---|---|---|---|---|---|---|---|---|---|
사전평가 | - 인지기능평가
- 사업 인지도, 필요도 조사 - 기타 : 삶의 질, 우울척도, 건강생활 실천정도 | ||||||||||
한의약
치매 프로그램 진행 (8주) |
| ||||||||||
사후평가 |
(2) 프로그램 수행인력
(3) 프로그램 수행장비
- 신체활동 공간(예; 마루, 방 등)
- 강의실
- 스피커, 마이크 등 음향시설
- 빔 프로젝트와 스크린
- 참여자 인센티브(수료 완료 선물 등)
홍보물
사업효과
1) 기대효과
-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의 표준화(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사업의 표준화된 프로그램 제시)
- 보건소 실무자들의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사업 수행 능력 향상
- 지역사회 노인층의 한의약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 및 이해도 제고
-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을 통한 실효성 및 효과성 평가
-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시범사업의 평가를 토대로 개선점 도출 및 수정 및 보완
- 통합건강증진 사업의 틀에서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의 역할 및 확산전략 수립
2) 활용전략
-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사업 정의, 범주 및 프로그램 기획, 시범프로그램 개발, 사업전략 수립 시 근거 자료 제공
- 향후 다른 한의약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표준화된 틀로 활용
- 전국 보건소에서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사업의 프로그램, 수행지침, 배포자료로 활용
-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의 시범 사업 모델, 평가기준 제시
- 통합건강증진 사업의 틀에서 한의약 노인 건강증진 사업의 활용방안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