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친환경경제사회 활성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환경부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환경부 | == 환경부 정책 현황 == | ||
환경부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의 환경권을 보장한다.'를 임무로, '국민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비전으로 삼는다. 이와 같은 임무와 비전을 완수하기 위해 기관 차원에서 중점을 두고 지향해야 할 정책방향으로서 6개의 전략목표를 제시한다. | |||
전략목표를 기초로 16개의 프로그램 목표를 설정하여, 각 단위사업들의 성과를 상위 수준에서 통합하고 극대화한다.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국민환경 생활환경 조성, 기후변화 대응 강화, 폐기물이 자원으로 순환되는 미래 환경 실현 등 국정과제, 지역공약 등 착실한 이행을 뒷받침한다. | |||
'''기능별 예산 현황''' | |||
=== 정책 방향 및 주요 사업[편집 | 원본 편집] === | |||
==== 정책 방향[편집 | 원본 편집] ==== | |||
'''1) 기본 방향''' | |||
* 기후위기에 따른 극한 홍수·가뭄으로부터 국민안전 최우선 확보 | |||
*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및 탄소중립에 지속 투자 | |||
'''2) 중점 투자 방향''' | |||
*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치수인프라 확충 | |||
*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육성 | |||
* 쾌적한 국민 생활을 위한 환경서비스 지속 | |||
==== 정책 주요 사업[편집 | 원본 편집] ==== | |||
'''1)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치수인프라 확충''' | |||
# 하천 정비 | |||
#* 국가하천정비 (6,627억원, 46.9%↑) * 준설(3→19건) 지류‧지천(신규 20곳) 국가하천전환(신규 103억) | |||
#* 국가하천유지보수 (2,614억원, 4.2%↑) | |||
# 댐 건설 등 | |||
#* 신규댐 건설 등 (신규 10곳, 63억) | |||
#* 기존 소규모댐 건설 (155억원, 36.0%↑) | |||
# 도심 내 침수 예방 | |||
#* 하수관로 정비(도시침수 대응) (3,275억원, 112.5%↑) | |||
#* 강남역‧광화문‧도림천 방수로‧저류시설 (262억원, 208.2%↑) | |||
# AI 기반 홍수예보 | |||
#* AI 홍수예보체계 구축 (818억원, 384.0%↑) | |||
#* 댐-하천 디지털트윈 플랫폼 (179억원, 314.8%↑) | |||
'''2)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육성''' | |||
# 녹색산업 육성 | |||
#*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 (781억원, 12.5%↑) | |||
#* 미래환경산업 육성 융자 (3,299억원, 18.3%↑) | |||
# 녹색산업 해외진출 | |||
#* 환경산업 수출기반 육성지원 (323억원, 56.0%↑) | |||
#* 탄소중립·그린 ODA (301억원, 143.6%↑) | |||
#* 녹색인프라 수출 지원 펀드 (300억원, 신규) | |||
# 무공해차 보급 | |||
#* 무공해차 보급 (2조3,193억원, 9.6%↓) * 물량: 28.5만대 → 30.1만대 | |||
#* 무공해차 충전인프라 (7,344억원, 41.5%↑) | |||
# 탄소중립 전환 | |||
#* 온실가스 국제감축 (236억원, 126.9%↑) | |||
#* 친환경소비생활 지원 (311억원, 29.6%↑) | |||
'''3) 쾌적한 국민 생활을 위한 환경서비스 지속''' | |||
# 환경 취약계층 지원 | |||
#* 석면피해구제급여 (455억원, 64.3%↑) | |||
#*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지원 (90억원, 150.0%↑) | |||
# 물 공급 및 수질개선 | |||
#*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지원 (90억원, 150.0%↑) | |||
#* 4대강 보 활용 연구 (20억원, 신규) | |||
#* 녹조저감설비 (50억원, 87.4%↑) | |||
#* 하수처리장 확충 (1조241억원, 32.7%↑) | |||
# 자원순환 | |||
#* 재활용 및 업사이클 체계 구축 (44억원, 83.3%↑) | |||
#* 순환경제 규제 샌드박스 (15억원, 신규) | |||
# 자연 보존‧이용 | |||
#* 팔공산 국립공원 관리 (125억원, 신규) | |||
#* 국립공원 헬기 교체 (25억원, 신규) | |||
== 친환경경제사회 활성화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 | |||
=== 개요 === | |||
친환경적인 생산소비 기반구축을 위하여 환경산업과 기술을 육성하고 친환경 국민의식을 확산을 목표로 하는 환경부의 프로그램. | |||
=== 추진 배경 및 의의 === | |||
* 세계 경제성장에 비해 녹색산업 시장은 더 빠르게 성장 중<sup>*</sup> | |||
<nowiki>*</nowiki> 세계 경제성장률은 평균 2.8%, 녹색산업 시장은 연 평균 3.6% 성장 전망(EBI) | |||
- 반면, 국내 녹색산업의 시장 규모는 세계시장의 2%로 일본, 미국 등 대비 각각 1/5, 1/16 수준(미국 31%, 유럽 27%, 일본 9.3%) | |||
* 국내 환경산업의 매출·수출 증가세는 둔화 추세이고 대부분 산업체가 중소기업으로 유망 녹색기업에 집중 투자 필요 | |||
* 시급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도화된 환경기술 개발로 환경 현안을 해결하고, 상생협력을 통한 기업의 녹색전환 촉진 | |||
-기술개발과 녹색산업 성장 지원으로 기존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녹색경제로의 전환 추진동력 필요. | |||
=== 주요 추진 전략 === | |||
# 녹색산업·기술의 집중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있는 녹색산업 육성으로 저탄소 경제 전환 및 녹색산업 저변 확대 | |||
## 창업·사업화·실증·해외진출까지 전과정 지원 확대로 유망 녹색기업 도약 지원 | |||
## 중소·중견 기업의 ESG 경영 추진력 제공, 업종별 생태공장 롤 모델 구축으로 국내 제조업 전반의 체질 개선 도모 | |||
## 미래 유망 녹색신산업 육성 및 녹색산업 해외진출 지원체계(‘24년) 지속 운영 및 확대로 국내 녹색산업 해외진출 경쟁력 강화 | |||
## 융자, 펀드 등 다양한 금융지원 사업으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설비 투자를 촉진하고 녹색 유망기업 성장을 위해 필요한 자금조달 지원 | |||
## 해외프로젝트 대상으로 녹색채권·녹색금융 지원, 녹색산업 수출지원 전용 2호펀드 신설(’25년) 등 녹색산업 해외진출 재원조달 지원 확대 | |||
# 환경 현안 해결과 고부가가치 녹색산업 육성을 위한 4대 중점 분야 기술개발 강화 | |||
## '''<sup>(탄소중립)</sup>'''신기후체제 이행 지원과 기후변화 피해 최소화, 생태자원 관리를 통한 기후탄력성 제고 기술개발 추진 | |||
## '''<sup>(물관리)</sup>'''홍수·가뭄 등 기후변화로 인한 물재해 대응, 수생태계 환경관리, 안정적인 수자원 관리 등 환경기술개발 추진 | |||
## '''<sup>(순환경제)</sup>'''폐자원을 활용한 고품질 순환자원 생산, 폐이차전지 등 미래 폐자원으로부터 유용자원을 친환경적으로 회수하는 기술개발 추진 | |||
## '''<sup>(환경안전망)</sup>'''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초미세먼지 등 환경위해인자 노출 저감·관리를 위한 기술개발 추진 | |||
## 통합사업장의 자율적인 통합환경관리 역량을 제고하고, 통합사업장에 대한 과학적, 효율적 사후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 |||
=== 주요 단위 사업 === | |||
'''1) 친환경산업 육성·지원''' | |||
* 사업 목적 | |||
*# 녹색활동을 정의하는 녹색분류체계를 시장에 안착시켜 녹색투자및 기업의 환경책임을 강화하여 탄소중립에 기여 | |||
*# 친환경제품 보급소비 촉진, 국내 우수환경 신기술 보급촉진 및 환경분야 국가표준 일원화, 국내 기업‧기관의 환경무역장벽 해소 | |||
*# 대기 또는 수질 1·2종 대형사업장에 대한 최적가용기법 적용, 사업장 맞춤형 허가배출기준 설정 등 통합환경관리를 통해 오염물질 배출 저감 및 산업경쟁력 강화 | |||
*#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 해외 환경프로젝트 타당성조사, 우수 환경기업 해외 수출기업화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녹색산업 해외진출 경쟁력 확보 | |||
*# 국부펀드 성격의 정책펀드 신설·지원으로, 핵심 녹색산업 수출 및 투자 개발사업에 대한 저리 금융지원 강화 및 해외 경쟁력 지원 | |||
*#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 조성‧활용을 통해 녹색산업 영위 우수 중소기업 성장 지원, 환경오염물질 배출저감시설 신증설 지원 등으로 장기적으로는 민간의 녹색투자 활성화 촉진 | |||
* 예산 사업 내역 | |||
{| class="wikitable" | |||
|+'''친환경산업 육성·지원 (단위:백만 원)''' | |||
! | |||
!회계구분 | |||
!2021 | |||
!2022 | |||
!2023 | |||
!2024 | |||
!2025 | |||
|- | |||
|'''(1) 친환경산업 육성·지원(1531)'''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460,828 | |||
|325,724 | |||
|394,262 | |||
|512,931 | |||
|561,520 | |||
|- | |||
|친환경경제사회 기반구축(301)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
| - | |||
|0 | |||
|0 | |||
|8,047 | |||
|- | |||
|통합환경관리제도 운영 및 고도화(302)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29,578 | |||
|26,011 | |||
|16,202 | |||
|16,389 | |||
|15,013 | |||
|- | |||
|환경산업수출기반 육성지원(303)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21,450 | |||
|20,589 | |||
|20,746 | |||
|32,258 | |||
|30,265 | |||
|- | |||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사업(307)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89,749 | |||
|65,490 | |||
|69,301 | |||
|78,052 | |||
|87,815 | |||
|- | |||
|측정대행계약관리기관 지정·운영(309)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1,290 | |||
|2,190 | |||
|2,399 | |||
|2,279 | |||
|2,279 | |||
|- | |||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310)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311,078 | |||
|211,444 | |||
|269,293 | |||
|329,928 | |||
|333,328 | |||
|- | |||
|환경책임투자 활성화 지원(317)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
|0 | |||
|16,321 | |||
|24,025 | |||
|24,773 | |||
|- | |||
|녹색 인프라 해외수출 지원 펀드(318)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
|0 | |||
|0 | |||
|30,000 | |||
|60,000 | |||
|} | |||
'''2) 출연 사업''' | |||
* 사업 목적 | |||
*# 미래 국가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공공성과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환경기술개발, 환경산업육성 및 환경경영 지원업무를 효과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 기반 구축 | |||
*# 공공성이 강한 환경오염 방지사업 및 기타 환경개선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환경보전에 기여 | |||
* 예산 사업 내역 | |||
{| class="wikitable" | |||
|+'''출연사업 (단위:백만 원)''' | |||
! | |||
!회계구분 | |||
!2021 | |||
!2022 | |||
!2023 | |||
!2024 | |||
!2025 | |||
|- | |||
|'''(1) 출연사업(1534)'''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185,977 | |||
|236,840 | |||
|246,935 | |||
|253,436 | |||
|249,311 | |||
|- |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출연(302)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55,649 | |||
|58,550 | |||
|58,322 | |||
|56,525 | |||
|58,474 | |||
|- | |||
|한국환경공단 출연(303)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130,328 | |||
|178,290 | |||
|188,613 | |||
|195,395 | |||
|190,652 | |||
|- | |||
|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환경본부 청사 신축(304) |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
| - | |||
|0 | |||
|1,516 | |||
|185 | |||
|} | |||
'''3) 산업저탄소화''' | |||
* 사업 목적 | |||
*# 오염물질‧탄소 배출 저감, 자원・에너지 순환이용 등 친환경‧저탄소 설비개선 비용 통합 지원을 통한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 추진으로 제조공장의 녹색전환 촉진 | |||
* 예산 사업 내역 | |||
{| class="wikitable" | |||
|+'''산업저탄소화 (단위:백만 원)''' | |||
! | |||
!회계구분 | |||
!2021 | |||
!2022 | |||
!2023 | |||
!2024 | |||
!2025 | |||
|- | |||
|'''(1) 산업저탄소화(6131)''' | |||
|기후대응기금 | |||
|0 | |||
|58,428 | |||
|87,446 | |||
|90,300 | |||
|213,204 | |||
|- | |||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환경부)(601) | |||
|기후대응기금 | |||
|0 | |||
|58,428 | |||
|87,446 | |||
|90,300 | |||
|213,204 | |||
|} | |||
'''4) 녹색금융''' | |||
* 사업 목적 | |||
*# 민관 합동 펀드를 조성하여 성장잠재력이 있는 녹색산업 영위 우수 중소·벤처기업에 투자, 성장 지원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고 장기적으로 민간의 녹색투자 활성화 촉진 | |||
*# 녹색분류체계에 따른 녹색경제활동에 필요한 자금의 원활한 확보로 탄소중립체제로의 전환에 기여를 위하여 금융기관의 이자비용 지원 | |||
*#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하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시설 신·증설을 위한 융자 지원으로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기여 | |||
* 예산 사업 내역 | |||
{| class="wikitable" | |||
|+'''녹색금융 (단위:백만 원)''' | |||
! | |||
!회계구분 | |||
!2021 | |||
!2022 | |||
!2023 | |||
!2024 | |||
!2025 | |||
|- | |||
|'''(1) 녹색금융(6232)''' | |||
|기후대응기금 | |||
|0 | |||
|55,600 | |||
|57,250 | |||
|95,158 | |||
|239,571 | |||
|- | |||
|녹색전환보증(505) | |||
|기후대응기금 | |||
| - | |||
| - | |||
|0 | |||
|0 | |||
|140,000 | |||
|- | |||
|미래환경산업투자펀드(600) | |||
|기후대응기금 | |||
|0 | |||
|20,000 | |||
|45,000 | |||
|63,250 | |||
|45,604 | |||
|- | |||
|녹색정책금융활성화사업(601) | |||
|기후대응기금 | |||
|0 | |||
|600 | |||
|12,250 | |||
|31,908 | |||
|53,967 | |||
|} | |||
=== '''친환경경제사회 활성화의 성과지표''' === | |||
{| class="wikitable" | |||
|+성과지표별 목표치 | |||
! rowspan="2" |성과지표 | |||
! rowspan="2" |가중치 | |||
! rowspan="2" |성과분야 | |||
! colspan="8" |실적 및 목표치 | |||
! rowspan="2"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
! rowspan="2" |자료수집방법/ 출처 | |||
|- | |||
!구분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 | |||
| rowspan="2" |①우수환경산업체 매출액(억원) | |||
| rowspan="2" |1 | |||
| rowspan="2" |일반재정 | |||
|'''목표''' | |||
|신규 | |||
|신규 | |||
|14,684 | |||
|15,050 | |||
|15,277 | |||
|15,583 | |||
|15739 | |||
| rowspan="2" |당해연도 대표 환경기업 모집단(우수환경산업체 지정기업) 매출총액 | |||
| rowspan="2" |우수환경산업체 결과보고서(한국환경산업기술원) | |||
|- | |||
|'''실적''' | |||
|14,207 | |||
|14,396 | |||
|15,007 | |||
|<nowiki>-</nowiki> | |||
|<nowiki>-</nowiki> | |||
|<nowiki>-</nowiki> | |||
|<nowiki>-</nowiki> | |||
|} | |||
== 친환경경제사회 활성화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대안 == |
2024년 12월 15일 (일) 21:52 판
환경부 정책 현황
환경부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의 환경권을 보장한다.'를 임무로, '국민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비전으로 삼는다. 이와 같은 임무와 비전을 완수하기 위해 기관 차원에서 중점을 두고 지향해야 할 정책방향으로서 6개의 전략목표를 제시한다.
전략목표를 기초로 16개의 프로그램 목표를 설정하여, 각 단위사업들의 성과를 상위 수준에서 통합하고 극대화한다. 이를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국민환경 생활환경 조성, 기후변화 대응 강화, 폐기물이 자원으로 순환되는 미래 환경 실현 등 국정과제, 지역공약 등 착실한 이행을 뒷받침한다.
기능별 예산 현황
정책 방향 및 주요 사업[편집 | 원본 편집]
정책 방향[편집 | 원본 편집]
1) 기본 방향
- 기후위기에 따른 극한 홍수·가뭄으로부터 국민안전 최우선 확보
-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및 탄소중립에 지속 투자
2) 중점 투자 방향
-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치수인프라 확충
-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육성
- 쾌적한 국민 생활을 위한 환경서비스 지속
정책 주요 사업[편집 | 원본 편집]
1)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치수인프라 확충
- 하천 정비
- 국가하천정비 (6,627억원, 46.9%↑) * 준설(3→19건) 지류‧지천(신규 20곳) 국가하천전환(신규 103억)
- 국가하천유지보수 (2,614억원, 4.2%↑)
- 댐 건설 등
- 신규댐 건설 등 (신규 10곳, 63억)
- 기존 소규모댐 건설 (155억원, 36.0%↑)
- 도심 내 침수 예방
- 하수관로 정비(도시침수 대응) (3,275억원, 112.5%↑)
- 강남역‧광화문‧도림천 방수로‧저류시설 (262억원, 208.2%↑)
- AI 기반 홍수예보
- AI 홍수예보체계 구축 (818억원, 384.0%↑)
- 댐-하천 디지털트윈 플랫폼 (179억원, 314.8%↑)
2)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녹색산업 육성
- 녹색산업 육성
-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 (781억원, 12.5%↑)
- 미래환경산업 육성 융자 (3,299억원, 18.3%↑)
- 녹색산업 해외진출
- 환경산업 수출기반 육성지원 (323억원, 56.0%↑)
- 탄소중립·그린 ODA (301억원, 143.6%↑)
- 녹색인프라 수출 지원 펀드 (300억원, 신규)
- 무공해차 보급
- 무공해차 보급 (2조3,193억원, 9.6%↓) * 물량: 28.5만대 → 30.1만대
- 무공해차 충전인프라 (7,344억원, 41.5%↑)
- 탄소중립 전환
- 온실가스 국제감축 (236억원, 126.9%↑)
- 친환경소비생활 지원 (311억원, 29.6%↑)
3) 쾌적한 국민 생활을 위한 환경서비스 지속
- 환경 취약계층 지원
- 석면피해구제급여 (455억원, 64.3%↑)
-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지원 (90억원, 150.0%↑)
- 물 공급 및 수질개선
- 저소득층 친환경보일러 지원 (90억원, 150.0%↑)
- 4대강 보 활용 연구 (20억원, 신규)
- 녹조저감설비 (50억원, 87.4%↑)
- 하수처리장 확충 (1조241억원, 32.7%↑)
- 자원순환
- 재활용 및 업사이클 체계 구축 (44억원, 83.3%↑)
- 순환경제 규제 샌드박스 (15억원, 신규)
- 자연 보존‧이용
- 팔공산 국립공원 관리 (125억원, 신규)
- 국립공원 헬기 교체 (25억원, 신규)
친환경경제사회 활성화 프로그램 예산 및 정책 분석
개요
친환경적인 생산소비 기반구축을 위하여 환경산업과 기술을 육성하고 친환경 국민의식을 확산을 목표로 하는 환경부의 프로그램.
추진 배경 및 의의
- 세계 경제성장에 비해 녹색산업 시장은 더 빠르게 성장 중*
* 세계 경제성장률은 평균 2.8%, 녹색산업 시장은 연 평균 3.6% 성장 전망(EBI)
- 반면, 국내 녹색산업의 시장 규모는 세계시장의 2%로 일본, 미국 등 대비 각각 1/5, 1/16 수준(미국 31%, 유럽 27%, 일본 9.3%)
- 국내 환경산업의 매출·수출 증가세는 둔화 추세이고 대부분 산업체가 중소기업으로 유망 녹색기업에 집중 투자 필요
- 시급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고도화된 환경기술 개발로 환경 현안을 해결하고, 상생협력을 통한 기업의 녹색전환 촉진
-기술개발과 녹색산업 성장 지원으로 기존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녹색경제로의 전환 추진동력 필요.
주요 추진 전략
- 녹색산업·기술의 집중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있는 녹색산업 육성으로 저탄소 경제 전환 및 녹색산업 저변 확대
- 창업·사업화·실증·해외진출까지 전과정 지원 확대로 유망 녹색기업 도약 지원
- 중소·중견 기업의 ESG 경영 추진력 제공, 업종별 생태공장 롤 모델 구축으로 국내 제조업 전반의 체질 개선 도모
- 미래 유망 녹색신산업 육성 및 녹색산업 해외진출 지원체계(‘24년) 지속 운영 및 확대로 국내 녹색산업 해외진출 경쟁력 강화
- 융자, 펀드 등 다양한 금융지원 사업으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설비 투자를 촉진하고 녹색 유망기업 성장을 위해 필요한 자금조달 지원
- 해외프로젝트 대상으로 녹색채권·녹색금융 지원, 녹색산업 수출지원 전용 2호펀드 신설(’25년) 등 녹색산업 해외진출 재원조달 지원 확대
- 환경 현안 해결과 고부가가치 녹색산업 육성을 위한 4대 중점 분야 기술개발 강화
- (탄소중립)신기후체제 이행 지원과 기후변화 피해 최소화, 생태자원 관리를 통한 기후탄력성 제고 기술개발 추진
- (물관리)홍수·가뭄 등 기후변화로 인한 물재해 대응, 수생태계 환경관리, 안정적인 수자원 관리 등 환경기술개발 추진
- (순환경제)폐자원을 활용한 고품질 순환자원 생산, 폐이차전지 등 미래 폐자원으로부터 유용자원을 친환경적으로 회수하는 기술개발 추진
- (환경안전망)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초미세먼지 등 환경위해인자 노출 저감·관리를 위한 기술개발 추진
- 통합사업장의 자율적인 통합환경관리 역량을 제고하고, 통합사업장에 대한 과학적, 효율적 사후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
주요 단위 사업
1) 친환경산업 육성·지원
- 사업 목적
- 녹색활동을 정의하는 녹색분류체계를 시장에 안착시켜 녹색투자및 기업의 환경책임을 강화하여 탄소중립에 기여
- 친환경제품 보급소비 촉진, 국내 우수환경 신기술 보급촉진 및 환경분야 국가표준 일원화, 국내 기업‧기관의 환경무역장벽 해소
- 대기 또는 수질 1·2종 대형사업장에 대한 최적가용기법 적용, 사업장 맞춤형 허가배출기준 설정 등 통합환경관리를 통해 오염물질 배출 저감 및 산업경쟁력 강화
- 환경개선 마스터플랜 수립, 해외 환경프로젝트 타당성조사, 우수 환경기업 해외 수출기업화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녹색산업 해외진출 경쟁력 확보
- 국부펀드 성격의 정책펀드 신설·지원으로, 핵심 녹색산업 수출 및 투자 개발사업에 대한 저리 금융지원 강화 및 해외 경쟁력 지원
-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 조성‧활용을 통해 녹색산업 영위 우수 중소기업 성장 지원, 환경오염물질 배출저감시설 신증설 지원 등으로 장기적으로는 민간의 녹색투자 활성화 촉진
- 예산 사업 내역
회계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1) 친환경산업 육성·지원(1531) | 환경개선특별회계 | 460,828 | 325,724 | 394,262 | 512,931 | 561,520 |
친환경경제사회 기반구축(301)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0 | 0 | 8,047 |
통합환경관리제도 운영 및 고도화(302) | 환경개선특별회계 | 29,578 | 26,011 | 16,202 | 16,389 | 15,013 |
환경산업수출기반 육성지원(303) | 환경개선특별회계 | 21,450 | 20,589 | 20,746 | 32,258 | 30,265 |
중소환경기업 사업화 지원사업(307) | 환경개선특별회계 | 89,749 | 65,490 | 69,301 | 78,052 | 87,815 |
측정대행계약관리기관 지정·운영(309) | 환경개선특별회계 | 1,290 | 2,190 | 2,399 | 2,279 | 2,279 |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310) | 환경개선특별회계 | 311,078 | 211,444 | 269,293 | 329,928 | 333,328 |
환경책임투자 활성화 지원(317)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0 | 16,321 | 24,025 | 24,773 |
녹색 인프라 해외수출 지원 펀드(318)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0 | 0 | 30,000 | 60,000 |
2) 출연 사업
- 사업 목적
- 미래 국가성장동력 확충을 위해 공공성과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환경기술개발, 환경산업육성 및 환경경영 지원업무를 효과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 기반 구축
- 공공성이 강한 환경오염 방지사업 및 기타 환경개선사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환경보전에 기여
- 예산 사업 내역
회계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1) 출연사업(1534) | 환경개선특별회계 | 185,977 | 236,840 | 246,935 | 253,436 | 249,311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출연(302) | 환경개선특별회계 | 55,649 | 58,550 | 58,322 | 56,525 | 58,474 |
한국환경공단 출연(303) | 환경개선특별회계 | 130,328 | 178,290 | 188,613 | 195,395 | 190,652 |
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환경본부 청사 신축(304) | 환경개선특별회계 | - | - | 0 | 1,516 | 185 |
3) 산업저탄소화
- 사업 목적
- 오염물질‧탄소 배출 저감, 자원・에너지 순환이용 등 친환경‧저탄소 설비개선 비용 통합 지원을 통한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 추진으로 제조공장의 녹색전환 촉진
- 예산 사업 내역
회계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1) 산업저탄소화(6131) | 기후대응기금 | 0 | 58,428 | 87,446 | 90,300 | 213,204 |
탄소중립 설비투자 지원(환경부)(601) | 기후대응기금 | 0 | 58,428 | 87,446 | 90,300 | 213,204 |
4) 녹색금융
- 사업 목적
- 민관 합동 펀드를 조성하여 성장잠재력이 있는 녹색산업 영위 우수 중소·벤처기업에 투자, 성장 지원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고 장기적으로 민간의 녹색투자 활성화 촉진
- 녹색분류체계에 따른 녹색경제활동에 필요한 자금의 원활한 확보로 탄소중립체제로의 전환에 기여를 위하여 금융기관의 이자비용 지원
-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하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시설 신·증설을 위한 융자 지원으로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 기여
- 예산 사업 내역
회계구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1) 녹색금융(6232) | 기후대응기금 | 0 | 55,600 | 57,250 | 95,158 | 239,571 |
녹색전환보증(505) | 기후대응기금 | - | - | 0 | 0 | 140,000 |
미래환경산업투자펀드(600) | 기후대응기금 | 0 | 20,000 | 45,000 | 63,250 | 45,604 |
녹색정책금융활성화사업(601) | 기후대응기금 | 0 | 600 | 12,250 | 31,908 | 53,967 |
친환경경제사회 활성화의 성과지표
성과지표 | 가중치 | 성과분야 | 실적 및 목표치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방법/ 출처 | |||||||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
①우수환경산업체 매출액(억원) | 1 | 일반재정 | 목표 | 신규 | 신규 | 14,684 | 15,050 | 15,277 | 15,583 | 15739 | 당해연도 대표 환경기업 모집단(우수환경산업체 지정기업) 매출총액 | 우수환경산업체 결과보고서(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실적 | 14,207 | 14,396 | 15,007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