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와이파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근거법령 |
잔글 →참고문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소개 === | === 소개 === | ||
공공와이파이는 주민센터, 복지시설, 전통시장, 시내버스 등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Wi-Fi) 서비스이다. 본 서비스는 지자체가 정부 지원과 이동통신 3사(KT, SKT, LG U+)의 협조를 받아 구축되고 있다. | 공공와이파이는 주민센터, 복지시설, 전통시장, 시내버스 등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Wi-Fi) 서비스이다. 본 서비스는 지자체가 정부 지원과 이동통신 3사(KT, SKT, LG U+)의 협조를 받아 구축되고 있다.<ref name=":0">공공와이파이 [https://www.wififree.kr/index.do 홈페이지]</ref> | ||
=== 추진 배경 === | === 추진 배경 ===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 | #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 | ||
# Public WiFi Free SSID를 선택하고 웹브라우저 실행(단말기의 기본브라우저 사용권장) | # Public WiFi Free SSID를 선택하고 웹브라우저 실행(단말기의 기본브라우저 사용권장) | ||
# Public WiFi 접속화면 중앙에 있는 ‘공공와이파이 이용하기’의 오른쪽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 | # Public WiFi 접속화면 중앙에 있는 ‘공공와이파이 이용하기’의 오른쪽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ref name=":0" /> | ||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보안설정 없는 무선랜으로 민감한 서비스 사용 주의''' | '''보안설정 없는 무선랜으로 민감한 서비스 사용 주의''' | ||
보안설정이 없는 무선랜의 경우 이용자의 접속행위,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수 있기에 금융거래, 기업업무,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서비스 등 민감한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보안설정이 없는 무선랜의 경우 이용자의 접속행위,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수 있기에 금융거래, 기업업무,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서비스 등 민감한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ref name=":0" /> | ||
77번째 줄: | 78번째 줄: | ||
* '''주의사항''' | * '''주의사항''' | ||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단말기와 AP구간의 데이터만 암호화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는 파밍·피싱 등의 다른 경로로 유출될 수 있기에 각별하게 관리해야 하고, 서비스 이용시 통신 데이터 암호화로 인하여 인터넷 속도가 조금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안접속 서비스는 모든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Public WiFi Secure 가 표시되는 지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단말기와 AP구간의 데이터만 암호화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는 파밍·피싱 등의 다른 경로로 유출될 수 있기에 각별하게 관리해야 하고, 서비스 이용시 통신 데이터 암호화로 인하여 인터넷 속도가 조금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안접속 서비스는 모든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Public WiFi Secure 가 표시되는 지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ref name=":0" /> | ||
= 공공와이파이 서비스의 기술적 측면 = | = 공공와이파이 서비스의 기술적 측면 = | ||
94번째 줄: | 95번째 줄: | ||
=== '''싱가포르''' === | === '''싱가포르''' === | ||
싱가포르 정보통신개발청(IDA)은 2006년부터 3개 통신사(SingTel, M1, iCell)와 협력하여 와이파이 망을 분담하여 구축해 ‘Wireless@SG’ 라는 이름으로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다. 보안이 적용된 SSID와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SSID를 모두 제공하는데 2012년까지 약 7,5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고 2016년까지 20,000개로 확장할 예정이다. 그러나 2006년 2.1시간이었던 1인당 월평균 이용시간이 2012년에는 25.2시간으로 급증하는 등 트래픽 과다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전송속도를 1Mbps에서 2Mbps로 확대하고 인증절차를 개선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ref>심범수 외. (2015).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공공와이파이 확대 방향제언. 한국통신학회.</ref> | 싱가포르 정보통신개발청(IDA)은 2006년부터 3개 통신사(SingTel, M1, iCell)와 협력하여 와이파이 망을 분담하여 구축해 ‘Wireless@SG’ 라는 이름으로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다. 보안이 적용된 SSID와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SSID를 모두 제공하는데 2012년까지 약 7,5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고 2016년까지 20,000개로 확장할 예정이다. 그러나 2006년 2.1시간이었던 1인당 월평균 이용시간이 2012년에는 25.2시간으로 급증하는 등 트래픽 과다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전송속도를 1Mbps에서 2Mbps로 확대하고 인증절차를 개선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ref name=":1">심범수 외. (2015).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공공와이파이 확대 방향제언. 한국통신학회.</ref> | ||
=== '''홍콩''' === | === '''홍콩''' === | ||
홍콩은 정부 주도로 2008년부터 ‘GovWiFi’ 사업을 통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정부 및 민간단체 시설에 무료 와이파이 존을 구축하고 있다. 홍콩 정부가 약 300억원의 전체 사업비를 부담하였고 통신사업자가 와이파이 구축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보안과 비보안 SSID를 제공하는 2,000여 개소를 운영 중인데 별도의 사용자인증 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신 인터넷 전송프로토콜인 IPv6를 지원하고 데이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EEE 802.11n 와이파이 기술표준을 채택하였다.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 | 홍콩은 정부 주도로 2008년부터 ‘GovWiFi’ 사업을 통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정부 및 민간단체 시설에 무료 와이파이 존을 구축하고 있다. 홍콩 정부가 약 300억원의 전체 사업비를 부담하였고 통신사업자가 와이파이 구축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보안과 비보안 SSID를 제공하는 2,000여 개소를 운영 중인데 별도의 사용자인증 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신 인터넷 전송프로토콜인 IPv6를 지원하고 데이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EEE 802.11n 와이파이 기술표준을 채택하였다.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ref name=":1" /> | ||
=== '''대만''' === | === '''대만''' === | ||
대만은 2013년부터 공공장소 실내에서의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인 ‘iTaiwan’를 1Mbps의 전송속도로 제공하고 있다. 관광지, 교통시설, 문화 및 교육시설,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약 4,4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는데, 기존의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와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휴대전화 문자 인증을 통한 가입 후 발급된 계정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외국인 관광객은 관광지원사무실에 여권을 제시하여 계정을 발급 받을 수 있다. | 대만은 2013년부터 공공장소 실내에서의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인 ‘iTaiwan’를 1Mbps의 전송속도로 제공하고 있다. 관광지, 교통시설, 문화 및 교육시설,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약 4,4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는데, 기존의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와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휴대전화 문자 인증을 통한 가입 후 발급된 계정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외국인 관광객은 관광지원사무실에 여권을 제시하여 계정을 발급 받을 수 있다.<ref name=":1" /> | ||
= | |||
= 참고자료 = |
2024년 12월 21일 (토) 02:21 판
공공와이파이 개요
소개
공공와이파이는 주민센터, 복지시설, 전통시장, 시내버스 등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공공장소에서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Wi-Fi) 서비스이다. 본 서비스는 지자체가 정부 지원과 이동통신 3사(KT, SKT, LG U+)의 협조를 받아 구축되고 있다.[1]
추진 배경
2010년을 전후하여 스마트폰의 등장과 LTE 서비스의 본격화로 무선데이터의 이용량이 급증하면서 와이파이 수요도 증가하게 되었다.
- 2011년 12월말 119만 1천명에 불과했던 LTE 가입자는 2019년 7월말 5,584만 1천명이고 2019년 4월 개시한 5G는 3개월만에 191만 1천명이 가입
- 트래픽 현황을 보면 2012년 1월에 이동전화 전체 트래픽이 23,566TB, 가입자 1명당 470MB(4G폰 가입자 1.57GB)였는데 2019년 7월 현재는 이동전화 전체 트래픽이 510,597TB, 가입자 1명당 7.84GB(4G폰 가입자 9.49GB)까지 증가
이는 통신비용 부담과 연관되기 때문에 와이파이 수요도 자연스레 증대되었다.
공공와이파이 사업은 이러한 통신환경 변화 속에서 국민·주민의 보편적인 통신서비스 접근권을 보장하려는 노력 중 하나가 되었다.
주요 목적
국가정보화 기본법 제31조와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13조를 근거로 하여
① 국민 정보접근성 향상 ② 취약계층 정보격차 해소 ③ 통신비 절감 등의 목적으로 추진된 것이다.
기존의 통신인프라 관련 정책이 유선망 구축과 고도화 등에 있었다면, 데이터 이용량 및 그 사회경제적인 영향력의 급증으로 인해 이용자의 데이터 소비를 지원하거나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을 정부·지자체의 역할로 인식한 것이다.
근거법령
국가정보화 기본법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국내 공공와이파이 정책 현황
서비스 제공 실태
정책 효과
문제점
이용 안내
연결 및 이용 방법
-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
- Public WiFi Free SSID를 선택하고 웹브라우저 실행(단말기의 기본브라우저 사용권장)
- Public WiFi 접속화면 중앙에 있는 ‘공공와이파이 이용하기’의 오른쪽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1]
- 안드로이드인 경우
- 아이폰인 경우
- 윈도우인 경우
이용 시 주의사항
제공자가 불분명한 공중 무선랜 사용 주의
악의적인 목적으로 설치한 무선공유기를 이용할 경우 무선공유기 제공자가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제공자가 확인된 공중 무선랜만을 이용해야 한다.
보안설정 없는 무선랜으로 민감한 서비스 사용 주의
보안설정이 없는 무선랜의 경우 이용자의 접속행위,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수 있기에 금융거래, 기업업무,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서비스 등 민감한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1]
보안 기능 및 사용자 보호 조치
본 서비스에서는 보다 안전한 이용을 위해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Public WiFi Secure”는 무선인터넷으로 통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시켜서 보안을 강화한 서비스다. 와이파이 신호 옆에 자물쇠 아이콘이 있는 것이 보안 WiFi이다.
- 이용 방법
- 무선네트워크 설정에서 주변 Wi-Fi 신호를 검색한다.
- Wi-Fi 신호 중 ‘Public WiFi Secure’를 선택하고 사용자 이름, 암호를 입력한다. - 사용자 이름 : wifi - 암호 : wifi
- 웹브라우저 실행(단말기의 기본브라우저 사용권장) - Public WiFi 접속화면 페이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인터넷 이용 가능
- 주의사항
공공와이파이 보안접속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단말기와 AP구간의 데이터만 암호화되는 사항으로, 개인정보는 파밍·피싱 등의 다른 경로로 유출될 수 있기에 각별하게 관리해야 하고, 서비스 이용시 통신 데이터 암호화로 인하여 인터넷 속도가 조금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안접속 서비스는 모든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Public WiFi Secure 가 표시되는 지역에서만 이용 가능하다.[1]
공공와이파이 서비스의 기술적 측면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
보안 안내
최근 동향 및 미래 전망
정책적 동향
기술 발전 가능성 및 연구 과제
해외 사례
싱가포르
싱가포르 정보통신개발청(IDA)은 2006년부터 3개 통신사(SingTel, M1, iCell)와 협력하여 와이파이 망을 분담하여 구축해 ‘Wireless@SG’ 라는 이름으로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다. 보안이 적용된 SSID와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SSID를 모두 제공하는데 2012년까지 약 7,5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고 2016년까지 20,000개로 확장할 예정이다. 그러나 2006년 2.1시간이었던 1인당 월평균 이용시간이 2012년에는 25.2시간으로 급증하는 등 트래픽 과다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래서 전송속도를 1Mbps에서 2Mbps로 확대하고 인증절차를 개선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2]
홍콩
홍콩은 정부 주도로 2008년부터 ‘GovWiFi’ 사업을 통해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정부 및 민간단체 시설에 무료 와이파이 존을 구축하고 있다. 홍콩 정부가 약 300억원의 전체 사업비를 부담하였고 통신사업자가 와이파이 구축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보안과 비보안 SSID를 제공하는 2,000여 개소를 운영 중인데 별도의 사용자인증 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신 인터넷 전송프로토콜인 IPv6를 지원하고 데이터 전송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EEE 802.11n 와이파이 기술표준을 채택하였다.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선할 예정이다.[2]
대만
대만은 2013년부터 공공장소 실내에서의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인 ‘iTaiwan’를 1Mbps의 전송속도로 제공하고 있다. 관광지, 교통시설, 문화 및 교육시설,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약 4,400개의 핫스팟을 구축하였는데, 기존의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와 연동되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휴대전화 문자 인증을 통한 가입 후 발급된 계정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외국인 관광객은 관광지원사무실에 여권을 제시하여 계정을 발급 받을 수 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