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캠퍼스혁신파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창업 활성화: 캠퍼스혁신파크는 창업보육센터, 기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고 창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 * 창업 활성화: 캠퍼스혁신파크는 창업보육센터, 기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고 창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 ||
* 지역경제 활성화: 캠퍼스혁신파크는 지역협력센터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 * 지역경제 활성화: 캠퍼스혁신파크는 지역협력센터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 ||
== 연구동향 == | |||
신대용&정성훈(2019)<ref>신대용, & 정성훈. (2019).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의 산학협력 특성-강원대학교 사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9''(4), 243-250.</ref>은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의 산학협력 특성-강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한 바있다. 본 논문은 강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의 산학협력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혁신형 산학협력 경로는 지역 맞춤형, 수익성, 혁신 인프라 조성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캠퍼스 혁신파크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 |||
임상호(2021)<ref>임상호. (2021). 지방대학의 캠퍼스혁신파크 조성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6''(2), 11-20.</ref>는 지방대학의 캠퍼스혁신파크 조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 S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사업의 수요자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수요자들은 미래지향적인 방향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파크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인 비전과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
유민태&박태원(2023)<ref>유민태, & 박태원. (2023). 산학협력형 혁신캠퍼스 관리운영 모델 연구-독일 베를린 유리프 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4''(1), 5-21.</ref>은 산학협력형 혁신캠퍼스 관리운영 모델 연구-독일 베를린 유리프 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산학협력형 혁신캠퍼스의 관리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기술창업 기반 조성, 실무형 인력 육성, 공간 특화, 창조융합 연구 환경 조성, 운영 전문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산학협력형 혁신캠퍼스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 |||
== 외부링크 == | == 외부링크 == |
2023년 11월 4일 (토) 17:48 판
*****나무위키에 존재: 캠퍼스 혁신파크 *****
캠퍼스혁신파크의 개념 및 특징
캠퍼스혁신파크란 대학의 유휴 교사나 교지를 활용하여 조성한 물리적 공간과 이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생산, 기업지원서비스 등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을 전개해 나갈 수 있는 경제지리적 협력 공간을 의미한다. 캠퍼스혁신파크의 목적은 산학협력이라는 공급 측면의 경제와 수요 측면(예를 들면, 일차적으로는 대학생들을 비롯하여 나아가 일반인들의 일자리 창출)의 경제를 결합하여 산학협력이라는 사회경제의 공간적 선순환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1]
캠퍼스혁신파크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대학의 유휴 교사나 교지를 활용: 캠퍼스혁신파크는 대학의 유휴 교사나 교지를 활용하여 조성된다. 이를 통해 대학은 유휴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기업은 저렴한 비용으로 입주할 수 있다.
- 산학협력 중심의 공간: 캠퍼스혁신파크는 산학협력 중심의 공간이다. 이를 통해 기업과 대학은 연구개발, 생산, 기술이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다.
- 지역경제 활성화: 캠퍼스혁신파크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 지역 인재 육성, 지역 상권 활성화 등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캠퍼스혁신파크의 구성 요소
캠퍼스혁신파크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 산학협력 연구센터: 산학협력 연구개발을 위한 공간으로, 대학과 기업의 공동연구, 기술이전, 기술사업화 등을 지원
- 창업보육센터: 창업 초기 기업을 위한 공간으로, 창업 교육, 멘토링, 투자유치 등을 지원
- 기업지원센터: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으로, 기술지원, 마케팅지원, 해외진출지원 등을 지원
- 지역협력센터: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위한 공간으로, 지역의 인재 양성,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지원
캠퍼스혁신파크의 기대효과
- 대학의 산학협력 역량 강화: 캠퍼스혁신파크는 산학협력 연구센터, 창업보육센터, 기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대학의 산학협력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 창업 활성화: 캠퍼스혁신파크는 창업보육센터, 기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고 창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 지역경제 활성화: 캠퍼스혁신파크는 지역협력센터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연구동향
신대용&정성훈(2019)[2]은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의 산학협력 특성-강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한 바있다. 본 논문은 강원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의 산학협력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혁신형 산학협력 경로는 지역 맞춤형, 수익성, 혁신 인프라 조성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캠퍼스 혁신파크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임상호(2021)[3]는 지방대학의 캠퍼스혁신파크 조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 S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사업의 수요자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수요자들은 미래지향적인 방향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파크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인 비전과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민태&박태원(2023)[4]은 산학협력형 혁신캠퍼스 관리운영 모델 연구-독일 베를린 유리프 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산학협력형 혁신캠퍼스의 관리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기술창업 기반 조성, 실무형 인력 육성, 공간 특화, 창조융합 연구 환경 조성, 운영 전문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산학협력형 혁신캠퍼스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외부링크
- 정부 웹사이트: 캠퍼스혁신파크
각주
- ↑ NABIS 정책용어사전
- ↑ 신대용, & 정성훈. (2019).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의 산학협력 특성-강원대학교 사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9(4), 243-250.
- ↑ 임상호. (2021). 지방대학의 캠퍼스혁신파크 조성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6(2), 11-20.
- ↑ 유민태, & 박태원. (2023). 산학협력형 혁신캠퍼스 관리운영 모델 연구-독일 베를린 유리프 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24(1),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