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테크노파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을 위한 정책: 테크노파크는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고용 창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 *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을 위한 정책: 테크노파크는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고용 창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 ||
*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거점: 테크노파크는 대학, 연구소, 기업이 상호 협력하는 지역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거점 역할을 한다. | *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거점: 테크노파크는 대학, 연구소, 기업이 상호 협력하는 지역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거점 역할을 한다. | ||
==외부링크== | |||
== 연구동향 == | |||
최종인(2008)<ref>최종인. (2008). 실천중심의 기술경영 교육: 대전 테크노파크의 기술사업화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1''(4), 1455-1478.</ref>은 실천중심의 기술경영 교육: 대전 테크노파크의 기술사업화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기술경영의 실천적 과제로서 기술사업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술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 대학, 기관, 지역에서 기술경영을 도입하고 있으나, 개념을 소개하는 수준이거나 기능별 접근이 주를 이루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술경영의 추구목적인 통합적이고 실천적인 면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대전테크노파크에서 도입 중인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NCSU)의 기술사업화 교육과정이 이 같은 통합적이고 실천적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성공적 국내 정착을 위한 기술경영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
이철우& 김명엽(2009)<ref>이철우, & 김명엽. (2009).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1), 19-37.</ref>은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은 지역의 기술혁신촉진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기업지원 플랫폼으로 시작되었다. 현재 전국 15개 시도에 17개가 지정되어 다양한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테크노파크가 지역의 기술혁신거점기능을 강화하고 기술기업육성의 중심기관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산․학․연․관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지역산업육성의 기획기능 강화, 지역 중소기업 지원의 단일창구 역할정립 등의 과제해결이 필요하다. | |||
안성조& 이성근(2012)<ref>안성조, & 이성근. (2012).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테크노파크의 기능분석: 경북테크노파크를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26''(3), 439-460.</ref>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테크노파크의 기능분석: 경북테크노파크를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테크노파크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테크노파크는 기능을 백화점식으로 다양하게 추진하다 보니 유사기관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수요자인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산학연관 네트워크 기능이며,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능 역시 산학연관 네트워크 기능, 지역산업정책 기획 및 평가, 비즈니스서비스 제공, 기술사업화 기능으로 나타났다. | |||
남재걸(2017)<ref>남재걸. (2017). 지역 테크노파크 기능의 변화과정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대구와 경북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2), 239-256.</ref>은 지역 테크노파크 기능의 변화과정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대구와 경북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지역 테크노파크 기능은 지난 16년간 크게 3단계의 변화과정을 경험하였다. 초기에는 중앙정부의 기획에 의해 6대 기능이 확정되었고, 참여정부에서는 지역혁신사업의 거점기관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지원의 종합 창구 기능이 강화되었다. | |||
== 외부링크 == | |||
*정부 웹사이트: [https://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64&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테크노파크] | *정부 웹사이트: [https://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64&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테크노파크] | ||
==각주== | ==각주== |
2023년 11월 20일 (월) 10:10 판
테크노파크의 개념
테크노파크는 기술(technology)과 공간(park)의 합성어로, 기술 및 연구개발과 그 주체인 대학, 연구소, 기업이 모여 활동하는 공간을 지칭하는 개념이다.[1] 테크노파크는 1950년대 미국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테크노파크는 계획적 개발이 내포된 개념으로, 지역의 경제 발전과 기술 혁신을 목적으로 조성된다.
테크노파크의 정의
테크노파크의 정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미국의 대학연구단지협회(URA)와 영국의 국제사이언스파크협회(IASP)의 정의이다. 이 정의에 따르면, 테크노파크는 연구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대학 및 연구기관과 생산을 담당하는 기업 사이에서 고부가가치산업을 중심으로 기술 이전을 촉진하여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신상품과 신공정 개발을 지원하는 중개 기능 단지이다.
두 번째는 국내의 정의이다. 국내의 경우, 테크노파크는 ‘지역의 산·학·연·관의 역량을 결집하여 관련조직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기술혁신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기업의 기술혁신과 신기술창업을 촉진함으로써 지역발전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공원이자 기술혁신 조직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테크노파크의 기능
테크노파크는 크게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기술 이전 및 혁신 지원 : 테크노파크는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 성과를 기업에 이전하여 기업의 기술 혁신을 지원한다. 또한, 기업 간, 기업과 대학 간, 기업과 연구소 간의 협업을 촉진하여 기술 혁신을 촉진한다.
- 신기술 창업 지원 : 테크노파크는 신기술 기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지역 경제 발전 : 테크노파크는 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또한, 기술 혁신으로 지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테크노파크의 종류
테크노파크는 입주 기업의 성격, 기능, 규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사이언스 파크(Science Park) : 기초 연구 및 개발을 주로 수행하는 대학, 연구소가 입주하는 테크노파크
- 리서치 파크(Research Park) : 응용 연구 및 개발을 주로 수행하는 기업이 입주하는 테크노파크
- 테크놀로지 파크(Technology Park) : 생산 및 제조를 주로 수행하는 기업이 입주하는 테크노파크
- 테크노 폴(Techno Pole) : 대규모의 테크노파크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테크노파크
테크노파크의 정책적 함의
테크노파크는 국가의 산업 발전과 지역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는 테크노파크의 조성과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테크노파크의 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국가의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적 투자: 테크노파크는 신기술 개발과 산업 구조 고도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의 대상이다.
-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을 위한 정책: 테크노파크는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고용 창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거점: 테크노파크는 대학, 연구소, 기업이 상호 협력하는 지역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거점 역할을 한다.
연구동향
최종인(2008)[2]은 실천중심의 기술경영 교육: 대전 테크노파크의 기술사업화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기술경영의 실천적 과제로서 기술사업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술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 대학, 기관, 지역에서 기술경영을 도입하고 있으나, 개념을 소개하는 수준이거나 기능별 접근이 주를 이루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술경영의 추구목적인 통합적이고 실천적인 면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대전테크노파크에서 도입 중인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NCSU)의 기술사업화 교육과정이 이 같은 통합적이고 실천적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성공적 국내 정착을 위한 기술경영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철우& 김명엽(2009)[3]은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은 지역의 기술혁신촉진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기업지원 플랫폼으로 시작되었다. 현재 전국 15개 시도에 17개가 지정되어 다양한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테크노파크가 지역의 기술혁신거점기능을 강화하고 기술기업육성의 중심기관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산․학․연․관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지역산업육성의 기획기능 강화, 지역 중소기업 지원의 단일창구 역할정립 등의 과제해결이 필요하다.
안성조& 이성근(2012)[4]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테크노파크의 기능분석: 경북테크노파크를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테크노파크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테크노파크는 기능을 백화점식으로 다양하게 추진하다 보니 유사기관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수요자인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산학연관 네트워크 기능이며,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능 역시 산학연관 네트워크 기능, 지역산업정책 기획 및 평가, 비즈니스서비스 제공, 기술사업화 기능으로 나타났다.
남재걸(2017)[5]은 지역 테크노파크 기능의 변화과정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대구와 경북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지역 테크노파크 기능은 지난 16년간 크게 3단계의 변화과정을 경험하였다. 초기에는 중앙정부의 기획에 의해 6대 기능이 확정되었고, 참여정부에서는 지역혁신사업의 거점기관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지원의 종합 창구 기능이 강화되었다.
외부링크
- 정부 웹사이트: 테크노파크
각주
- ↑ NABIS 정책용어사전
- ↑ 최종인. (2008). 실천중심의 기술경영 교육: 대전 테크노파크의 기술사업화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1(4), 1455-1478.
- ↑ 이철우, & 김명엽. (2009).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1), 19-37.
- ↑ 안성조, & 이성근. (2012).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테크노파크의 기능분석: 경북테크노파크를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26(3), 439-460.
- ↑ 남재걸. (2017). 지역 테크노파크 기능의 변화과정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대구와 경북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2), 239-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