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개요 = 청소년 건강행태조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건강상태 및 행태에 대한 자료로서, 향후 '''학생 건강유지‧증진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 조사목적 == * 대한민국 청소년의 건강행태 현황 파악 * 청소년 건강증진사업 기획 및 평가에 필요한 보건지표 산출 * 국가 간 비교 가능한 청소년 보건지표 산출 == 조사대상 == * 모집단 : 전국 중학교 1학년 ~ 고... |
편집 요약 없음 |
||
460번째 줄: | 460번째 줄: | ||
= 외부사이트 = | = 외부사이트 = | ||
질병관리청<nowiki/>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10800 | 질병관리청<nowiki/>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10800 | ||
<references /> | |||
[[분류:질병관리청]] | |||
[[분류:보건의료정책]] | |||
[[분류:정책사업]] |
2024년 1월 4일 (목) 15:36 기준 최신판
개요
청소년 건강행태조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건강상태 및 행태에 대한 자료로서, 향후 학생 건강유지‧증진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사목적
- 대한민국 청소년의 건강행태 현황 파악
- 청소년 건강증진사업 기획 및 평가에 필요한 보건지표 산출
- 국가 간 비교 가능한 청소년 보건지표 산출
조사대상
- 모집단 : 전국 중학교 1학년 ~ 고등학교 3학년
- 표본 추출 과정
조사내용
※기준년도 : 2022년
영역 | 문항수 | 주요 조사내용 |
---|---|---|
흡연 | 14 | 평생/월간 일반담배(궐련) 흡연 경험, 처음/매일 일반담배(궐련) 흡연 경험 연령, 월간 일반담배(궐련) 흡연량, 담배 구매 용이성, 금연 시도 경험, 평생/월간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경험, 평생/월간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 경험, 월간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량, 가정/공공장소실내 간접흡연 |
음주 | 6 | 평생/월간 음주 경험, 처음 음주 경험 연령, 월간 음주량, 만취 경험, 주류 구매 용이성 |
신체활동 | 15 | 하루 60분 이상 신체활동, 고강도/중강도 신체활동 일수/시간, 근력강화운동, 주중/주말 앉아서 보내는 시간,
주간 걷기 일수/시간, 등학교나 등하원 시 신체활동 일수/시간, 주간 체육시간 운동횟수, 스포츠활동 팀 수, 신체활동 장려요인 |
식생활 | 12 | 아침결식/이유, 과일섭취/이유, 패스트푸드/채소/야식 섭취, 단맛나는 음료/고카페인음료/우유 섭취, 학교에서 영양식습관 교육, 물 섭취 |
비만 및 체중조절 | 7 | 신장, 체중, 월간 체중 조절, 신체이미지 왜곡 인지, 체중조절방법, 먹방 및 쿡방 시청빈도, 먹방 및 쿡방 시청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
정신건강 | 10 |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주중/주말 수면시간, 우울감 경험, 자살 생각/계획/시도, 외로움,
범불안장애(GAD-7) |
손상 및 안전의식 | 3 | 안전벨트 착용(승용차, 택시 앞/뒷좌석, 고속버스), 학교 손상으로 인한 병원치료, 학교에서 안전교육 경험 |
구강건강 | 10 | 하루동안 칫솔질,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 취침 전 칫솔질 실천, 구강용품 사용, 치과진료 경험,
실란트(치아홈메우기) 경험, 스케일링 경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 구강증상 경험, 구강보건교육 경험 |
개인위생 | 2 | 비누이용 손씻기 실천(학교/집에서 식사 전/화장실 사용 후, 외출 후 귀가 시),학교에서 개인위생교육 경험 |
성행태 | 4 | 성관계 경험, 피임경험/방법, 학교에서 성교육 경험 |
아토피 · 천식 | 6 | 천식/알레르기비염/아토피피부염 의사진단 |
약물 | 1 | 습관적 및 의도적 평생 약물 사용 경험 |
인터넷중독 | 2 | 주중/주말 스마트폰 사용 여부/시간 |
건강형평성 | 13 | 성별, 태어난 연도/월, 학년, 가족구성원, 친부모/양부모와의 거주여부, 친부모 학력, 친부모 한국국적 여부,
친부모 태어난 나라,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적 상태, 현재 거주형태 |
폭력 | 1 | 폭력으로 인한 병원 치료 경험 |
기타 | 8 | 주관적 건강 인지, 코로나19 후유증 |
합계 | 114 |
조사방법
조사방식
- 익명성 자기 기입식 온라인 조사
- 학교 수업 시간 내 무선인터넷(Wi-fi) 사용 가능 교실에서 일괄 조사
조사수행 절차
- 단계별 수행 프로세스 기준으로 조사 수행
- 표본학교 선정
- 전국 800개 표본학교 선정
- 조사지원 담당교사 교육
- 표본학교 조사지원 담당교사 지침교육
- 학생 현황 등록
- 표본학급 선정을 위한 (표본학교)학급정보 등록 ※표본학교에서 조사지원 담당교사 선정
- 질병관리청:표본학급 선정 및 알림
- 조사 일정 등록
- 선정된 표본학급의 조사 일시 등록
- 질병관리청:안내문(참여번호) 및 답례품 배송
- 조사 실시*
- 표본학급별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조사 실시
결과 발표회
- 조사 결과 분석 및 공표
- * 코로나19 유행으로 조사시기 임시 변경(6월→8월, '20년~'23년)
연혁
추진경과
- 2004년 국가 만성병 감시체계 구축 계획 일환으로 수립
- 정부 승인통계(통계청, 승인번호 11758호)로 2005년부터 매년 조사 수행
- 조사방법 : 익명성 자기 기입식 온라인 조사, 학교 내 컴퓨터실 일괄 참여 조사
최신순
조사
차수 |
조사
년도 |
조사기간 | 추가기간 | 조사대상 | 목표대상
수(명) |
참여자
수(명) |
참여율
(%) |
---|---|---|---|---|---|---|---|
제1차 | 2005년 | 10.10.~ 11.14. | 11.15.~ 11.30. | 중1~고2 | 65,482 | 58,727 | 89.7 |
제2차 | 2006년 | 09.01.~ 09.30. | 10.01.~ 10.30. | 중1~고3 | 78,593 | 71,404 | 90.9 |
제3차 | 2007년 | 09.01.~ 09.22. | 10.01.~ 11.03. | 중1~고3 | 78,834 | 74,698 | 94.8 |
제4차 | 2008년 | 09.01.~ 09.30. | 10.01.~ 10.24. | 중1~고3 | 79,099 | 75,238 | 95.1 |
제5차 | 2009년 | 09.01.~ 09.30. | 10.01.~ 11.20. | 중1~고3 | 76,937 | 75,066 | 97.6 |
제6차 | 2010년 | 09.01.~ 09.30. | 10.01.~ 10.24. | 중1~고3 | 74,980 | 73,238 | 97.7 |
제7차 | 2011년 | 09.01.~ 09.30. | 10.01.~ 10.17. | 중1~고3 | 79,202 | 75,643 | 95.5 |
제8차 | 2012년 | 06.01.~ 06.30. | 07.01.~ 07.17. | 중1~고3 | 76,980 | 74,186 | 96.4 |
제9차 | 2013년 | 06.01.~ 06.30. | 07.01.~ 07.18. | 중1~고3 | 75,149 | 72,435 | 96.4 |
제10차 | 2014년 | 06.02.~ 06.30. | 07.01.~ 07.18. | 중1~고3 | 74,167 | 72,060 | 97.2 |
제11차 | 2015년 | 06.01.~ 06.30. | 07.01.~ 07.28. | 중1~고3 | 70,362 | 68,043 | 96.7 |
제12차 | 2016년 | 06.01.~ 06.30. | 07.01.~ 07.21. | 중1~고3 | 67,983 | 65,528 | 96.4 |
제13차 | 2017년 | 06.01.~ 06.30. | 07.01.~ 07.18. | 중1~고3 | 64,991 | 62,276 | 95.8 |
제14차 | 2018년 | 06.04.~ 06.30. | 07.01.~ 07.19. | 중1~고3 | 62,823 | 60,040 | 95.6 |
제15차 | 2019년 | 06.03.~ 07.12. | ~ | 중1~고3 | 60,100 | 57,303 | 95.3 |
제16차 | 2020년 | 08.03.~ 11.13. | ~ | 중1~고3 | 57,925 | 54,948 | 94.9 |
제17차 | 2021년 | 08.30.~ 11.11. | ~ | 중1~고3 | 59,426 | 54,848 | 92.9 |
제18차 | 2022년 | 08.29.~ 10.25. | ~ | 중1~고3 | 56,213 | 51,850 | 92.2 |
청소년건강포럼
-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서 제기된 청소년 건강행태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청소년건강포럼을 도입하여 실시
개최
차수 |
개최일 | 청소년건강포럼 내용 |
---|---|---|
제1차 | 2006-12-14 | 우리나라 및 국외 청소년 보건정책 현황 |
제2차 | 2007-03-29 | 청소년 건강의 주요 이슈 |
제3차 | 2007-12-07 | 소아.청소년의 비만 |
제4차 | 2008-12-19 |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청소년 건강 |
제5차 | 2009-12-17 |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건강 |
제6차 | 2010-12-20 |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문화 |
제7차 | 2011-12-13 |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건강 |
제8차 | 2012-11-02 |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 |
제9차 | 2013-10-25 | 학교 안전사고 예방 |
제10차 | 2014-10-28 | 청소년 흡연실태 및 흡연예방 전략 |
현황(2022 기준)[1]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전국 800개 표본학교의 중·고등학생 약 6만 명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 건강행태 현황을 파악한 자료이다.
* 2022년 조사 참여율 : 92.4%(56,274명 중 51,984명 참여)
[흡연‧음주]
2022년 청소년(중1~고3) 흡연 행태는 2021년 결과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코로나19 유행 이후 개선되었던 음주 행태는 나빠졌다.
현재 흡연율*(일반담배(궐련))은 2022년 결과 남학생 6.2%, 여학생 2.7%로 2021년과 유사하였으며, 전자담배** 현재 사용률은 증가하였다.
* 시도별 현황 : 광주(7.0%)>전북‧전남(6.3%)...서울‧인천(3.3%)>대구(3.2%)
** (액상형) 남 3.7%→4.5%, 여 1.9%→2.2%, (궐련형) 남 1.8%→3.2%, 여 0.8%→1.3%
일반담배, 전자담배 중 하나라도 사용한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2022년 남학생 7.3%, 여학생 3.4%로 2021년 결과(남 7.0%, 여 3.3%)와 큰 차이는 없었다.
현재 음주율*은 남학생 15.0%, 여학생 10.9%로 2021년 대비 증가(남 2.6%p↑, 여 2.0%p↑)하였으며, 1회 평균 음주량이 중등도(남자 소주 5잔, 여자 3잔) 이상인 위험 음주율도 남녀학생 모두 증가(남 5.3%→6.1%, 여 4.4%→5.1%)하였다.
* 시도별 현황 : 충북(16.8%)>경북(16.5%)>광주(15.9%)...대구(11.4%)>서울‧제주(9.9%)
[신체활동]
신체활동은 코로나19 유행 첫 해인 2020년 감소 이후 지속 증가하여, 2022년에는 유행 이전보다 더 높은 실천율을 보였다.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22년 남학생 23.4%, 여학생 8.8%로 2021년 대비 남녀학생 모두 증가(남 2.7%p↑, 여 0.7%p↑)하였다.
* 시도별 현황 : 울산‧충남(18.7%)>제주(18.2%)...세종(14.3%)>전북(13.3%)>충북(12.7%)
주3일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율도 2022년 결과 남녀 학생 모두 증가(남 40.8%→46.6%, 여 18.4%→25.8%)하였고, 특히 중학생에서 증가 폭(중 35.1%→45.5%, 고 24.6%→26.9%)이 컸다.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하는 이유는 ‘재미있어서(33.3%)’가 가장 많았고, ‘건강을 위해(20.6%)’, ‘체중감량(16.4%)’ 순으로 나타났다.
주중 학습목적으로 앉아서 보낸 시간은 2021년과 유사(459분→457분)하나, 학습목적 이외 앉아서 보낸 시간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증가한 이래 지속 감소(주중 210분→186분, 주말 316분→293분)하였다.
학교에서 규칙적 스포츠활동팀 참여율(1개팀 이상)은 2022년 49.4%, 학교 체육수업시간 직접 운동 실천율(주2회 이상)은 64.0%였고, 3년 주기 순환조사로 2019년 결과(50.2%, 64.6%)와 비교 시 유사하였다.
[식생활]
식생활 지표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아침식사 결식률*(주5일 이상)은 2022년 39.0%(1.0%p↑), 패스트푸트 섭취율(주3회 이상)은 27.3%(1.1%p↑)로 증가하였으며, 과일 섭취율(일1회 이상)은 2022년 17.2%(0.9%p↓)로 감소하였다.
* 시도별 현황 : 전북(44.3%)>인천(41.3%)>전남(41.2%)...경기(37.8%)>울산(35.5%)>세종(35.3%)
아침식사 결식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35.1%)’가 가장 많았고, ‘식욕이 없어서(21.4%)’, ‘배가 아프거나 소화가 안 돼서(14.0%)’ 순으로 나타났다.
채소섭취율(일3회 이상)과 우유섭취율(일1회 이상)은 2022년 8.3%, 18.0%였고, 3년 주기 순환조사로 2019년과 비교 시 감소(채소 2.6%p↓, 우유 4.8%p↓)하였다.
탄산‧에너지‧이온‧과즙‧커피음료, 가당우유 등 단맛이 나는 음료를 모두 포함한 단맛음료 섭취율(주3회 이상)은 2022년 63.6%, 에너지음료와 커피 및 커피음료를 포함한 고카페인음료 섭취율(주3회 이상)은 22.3%이었다.
단맛음료는 성별에 따라 차이(남 67.4%, 여 59.6%)가 있었고, 고카페인음료는 학교급에 따라 차이(중 16.6%, 고 28.4%)를 나타냈다.
[정신건강]
우울감 경험률 등 청소년의 정신건강 지표는 2020년에 감소하였다가 2021년 이후로 다시 증가 경향을 보였다.
우울감 경험률*은 2022년 남학생 24.2%, 여학생 33.5%로 2021년에 비해 증가(남 1.8%p↑, 여 2.1%p↑)하였고, 스트레스 인지율도 증가(남 32.3→36.0%, 여 45.6%→47.0%)하였다.
* 시도별 현황 : 세종(30.6%)>서울(30.2%)>경기(30.0%)...전남(26.2%)>제주(25.8%)>부산(24.6%)
외로움 경험률의 경우 2022년 결과 남녀학생 모두 전년 대비 증가(남 12.3%→13.9%, 여 19.9%→21.6%)하였고, 범불안장애 경험률(중등도 이상*)도 소폭 증가(남 9.3%→9.7%, 여 15.6%→15.9%) 경향을 보였다.
* 범불안장애 선별도구(GAD-7,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7) 절단점 10점 이상인 경우
외부사이트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10800
- ↑ [보도자료 2023.04.14. 조간] 2022년 학생 건강검사 및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