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HOPE 프로젝트: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고구마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J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3번째 줄: 33번째 줄:
[[분류:정책사업]]
[[분류:정책사업]]
[[분류:지역공동체·주택정책]]
[[분류:지역공동체·주택정책]]
[[분류:국토교통부]]

2024년 3월 4일 (월) 10:34 기준 최신판

HOPE 프로젝트의 개념

박근혜 정부의 지역발전정책 비전인 ‘국민에게 행복을, 지역에 희망을 주기 위한 지역희망(HOPE)프로젝트’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이다. HOPE는 희망이라는 단어와 주민 행복 체감(Happiness), 균등한 기회 제공(Opportunity), 자율적 참여와 협업(Partnership), 어느 곳에서나 보장받는 삶의 질(Everywhere)이라는 영문의 첫 글자 조합을 의미한다.[1]

HOPE 프로젝트의 세부내용

HOPE 프로젝트는 3대 추진전략과 6대 분야 17개 과제를 통해 지역행복생활권 구현, 맞춤형ㆍ패키지 지원, 지역 주도 및 협력 강화를 추진하였다.

1. 3대 추진전략

  • 지역행복생활권 구현 전략은 도시, 읍면, 마을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주민이 일자리, 교육, 문화, 복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생활권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중추도시생활권, 도농연계생활권, 농어촌생활권 등으로 유형화하여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 맞춤형ㆍ패키지 지원 전략은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부처의 칸막이를 제거하고 장소 중심으로 패키지 지원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지역정책 및 사업을 총괄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지원을 제공한다.
  • 지역 주도 및 협력 강화 전략은 사업 기획 및 집행 시 지자체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며 지역간 연계협력사업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자체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여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발전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 6대 분야 17개 과제 추진 방향

  • 지역행복생활권 기반 확충은 지역중심지 활력 증진, 주민체감 생활환경 개선, 주민 주도ㆍ협력 발전체계 구축을 통해 지역행복생활권 구현
  •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는 일자리 창출중심으로 지역산업정책을 전환, 지역투자 촉진을 통한 일자리 창출, 산업단지를 창조경제의 거점으로 육성, 농어촌 일자리 확충을 통해 지역경제 활력 제고
  • 교육여건 개선, 창의적 인재 양성은 지방 초중고교 교육여건 개선, 지방 대학 특성화, 지역인재와 기업의 선순환 성장을 통해 지역인재 양성과 창의적 인재 발굴 지원
  • 지역문화 융성, 생태 복원은 문화역량 강화 및 특성화 발전, 지역간 문화격차 해소, 생태ㆍ자연환경 보존 활용을 통해 지역문화 융성과 생태 복원 추진
  • 사각 없는 지역 복지ㆍ의료는 지역 맞춤형 복지 지원, 지역간 복지격차 해소, 취약지역 공공의료체계 정비를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
  • 지역균형발전 시책 지속 추진은 혁신도시ㆍ세종시 보완 발전, 지역공약 이행 지원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을 지속 추진

HOPE 프로젝트의 성과와 한계

HOPE 프로젝트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추진되었으며, 지역발전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3대 추진전략과 6대 중점 추진방향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통해 지역균형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보여주었다.

다만, HOPE 프로젝트는 중앙정부 주도의 정책으로 추진되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확대하여 지역발전의 주체로서 지역주민이 더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