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GMO 완전표시제: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GMO == === GMO란? ===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는 유전 공학 기술을 사용하여 유전 물질이 바뀐 유기체이다. <ref>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2024, May 29).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enetically_modified_organism</ref> Vector를 통해 유기체의 genom에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거나 유기체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유전자를 knockout 시키는 방법 등으로 유전 물질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
편집 요약 없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가장 최초의 유전자 변형 유기체는 Herbert Boyer와 Stanley Cohen이 1973년에 카나마이신이라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도록 유전자 변형한 bacteria이다. | * 가장 최초의 유전자 변형 유기체는 Herbert Boyer와 Stanley Cohen이 1973년에 카나마이신이라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도록 유전자 변형한 bacteria이다. | ||
* 1974년에 Rudolf Jaenisch가 mouse를 이용하여 최초의 유전자 변형 동물을 생산하였다. | * 1974년에 Rudolf Jaenisch가 mouse를 이용하여 최초의 유전자 변형 동물을 생산하였다. | ||
* | * 1983년에 유전자 변형 식물이 생산되었다. | ||
* 1994년, 부패를 유도하는 효소를 억제하게 형질전환되어 잘 익은 상태로 단단함을 유지하며, 곰팡이 저항성도 지니도록 유전자 변형된 'Flaver Savr' 토마토가 최초로 상용화되었다.<ref>Flavr Savr. (2024, April 15). https://en.wikipedia.org/wiki/Flavr_Savr</ref> | * 1994년, 부패를 유도하는 효소를 억제하게 형질전환되어 잘 익은 상태로 단단함을 유지하며, 곰팡이 저항성도 지니도록 유전자 변형된 'Flaver Savr' 토마토가 최초로 상용화되었다.<ref>Flavr Savr. (2024, April 15). https://en.wikipedia.org/wiki/Flavr_Savr</ref> | ||
* 2015년 growth hormone (GH)를 조작한 'AquAdvantage 연어'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최초로 식용으로 승인되었다.<ref>AquAdvantage salmon. (2024, February 9). https://en.wikipedia.org/wiki/AquAdvantage_salmon</ref> | * 2015년 growth hormone (GH)를 조작한 'AquAdvantage 연어'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최초로 식용으로 승인되었다.<ref>AquAdvantage salmon. (2024, February 9). https://en.wikipedia.org/wiki/AquAdvantage_salmon</ref> | ||
=== | === GM 작물로서의 GMO === | ||
GMO는 통상적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 즉 GM 작물로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 GMO는 통상적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 즉 GM 작물로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 ||
[[파일:Agrobacterium을 통한 형질전환.png|섬네일|Figure 1. ''Agrobacterium''을 통한 형질전환]] | |||
GM 작물이란 인공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유용한 유전자가 작물의 유전체 내에 삽입됨에 따라 의도한 특성을 가지게 된 작물이다. 유전자 재조합된 GM 작물은 제초제나 병해충의 저항성을 가지고, 환경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특성이 강화되거나 유전적으로 영양소 구성성분이 강화되며, 새로운 기능성이 첨가되어 기존의 특성을 넘어서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지닌다. <ref>김용권. (2015). GM 작물의 개발현황 및 전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7''(4), 448-454.</ref> 이러한 GM 작물은 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비식용으로는 의약품 또는 바이오 연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 |||
GM 작물을 생산하는 가장 일반화된 방식은 ''Agrobacterium''의 Ti plasmid에 항생제 내성, 제초제 내성 등의 형질을 나타내는 target gene을 통해 형질 전환 시키는 것이며, 이 외에도 gene gun 방식, 전기 천공법, 미세주입 등으로 GM 작물을 쉽게 만들 수 있다.<ref name=":0">Genetically modified crops. (2024, June 11). https://en.wikipedia.org/wiki/Genetically_modified_crops</ref> | |||
=== GMO의 이점 === | === GMO의 이점 === | ||
GMO의 이점으로는 크게 생육의 용이, 영양 성분의 강화, 개발도상국에서의 긍정적인 영향을 들 수 있다. | |||
==== 생육의 용이 ==== | |||
GMO는 병충해 저항성, 식물 병 저항성, Roundup-ready와 같은 제초제에 대한 내성, 고온 등의 스트레스 저항 등을 가져 작물을 재배할 때에 생육이 용이하다. 또, 과실의 경우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색 발현 조절이 가능해져서 과실의 색을 마음대로 결정할 수도 있으며, 과실이 물러지지 않게 조작할 수도 있다. <ref>Adrian Slater, Nigel W. Scott, and(&) Mark R. Fowler, 식물생명공학, 권석윤 외 역, 서울: 월드사이언스, 2014.</ref> 2014년 메타 분석에서는 GM 기술 채택으로 화학 살충제 사용이 37% 감소하고, 작물 수확량이 22% 증가하고, 농민 이익이 68% 증가했다고 결론지었다. <ref name=":0" /> | |||
==== 영양 성분의 강화 ==== | |||
GMO는 필요한 영양 성분을 강화할 수 있어서 사람의 영양소 섭취 정도를 개선하여 암, 당뇨병, 심혈관 질환, 고혈압 등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 다량영양소와 비타민, 미네랄 등 미량영양소의 섭취를 개선하면 비타민 A 부족으로 인한 실명을 줄일 수도 있다. 특히 향상된 영양소 중에서도 미네랄 이용 가능성의 증가는 면역 체계를 개선하고 발육 부진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ref name=":1">Smyth S. J, The human health benefits from GM crops. ''Plant biotechnology journal'' Vol.18, 2020.</ref> | |||
==== 개발도상국에서의 긍정적인 영향 ==== | |||
기계를 사용해 농약을 살포하는 선진국과는 달리, 사람의 손으로 백 팩 분무기를 사용하여 살충 작업을 해야 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화학 잔류물이 인체에 흡수되어 살충제 중독이라는 질병이 발생하기도 하고, 농약 살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작물의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 인간과 동물에게 유독하고 발암의 위험성이 큰 마이코톡신과 신경관 결손 비율을 높이는 푸모니신을 함유한 옥수수 등이 가정에서 소비되기도 한다. 하지만, 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BT 내성 작물의 보급으로 살충제 노출 수준을 감소시켜서 살충제 중독 사례를 큰 폭으로 감소시켰으며,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더 낮은 농도의 마이코톡신(29%), 푸모니신(31%), 트리코테센스(37%)를 함유한 옥수수를 생산했다.<ref name=":1" /> | |||
[[파일:황금쌀.png|섬네일|Figure 2. 황금쌀]] | |||
쌀을 주식으로 개발도상국에서는 수많은 어린이들이 비타민 A 부족에 시달리고, 이들 중 매년 약 50만 명이 실명이 되고 있다. 비타민 A는 면역기능 전반에도 관련이 있어 비타민 A 결핍은 설사, 호흡기 질환, 홍역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황금쌀’을 통해 해결되었다. 황금쌀은 배유에서 비타민 A를 만드는 베타카로틴이 합성될 수 있도록 유전자를 재조합한 GM 작물로 황색 또는 주황색을 띠어 황금쌀이라고 불린다. 또, 황금쌀은 추출, 가공, 유통 등 다른 조건을 요구하지 않고 비타민 A 부족을 비용이 들지 않는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고, 환경적 측면에서도 농업적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자연에서도 마찬가지로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며 추후의 환경에 대한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ref name=":1" /> | |||
== GMO 안전성 == | == GMO 안전성 == | ||
22번째 줄: | 42번째 줄: | ||
==== 식품의약안전처의 입장 ==== | ==== 식품의약안전처의 입장 ==== | ||
식품의약안전처는 ‘GMO가 DNA를 변형한 것이니 섭취하면 우리 몸에서도 변형이 일어날 것이라는 공포에 사로잡히기 쉬우나 대부분의 식품 유전자는 섭취 후 소화 효소와 위액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돼 완전히 없어지기 때문에 GMO를 섭취한다고 사람의 유전자가 변형되지 않는다.’라고 설명한다. | |||
==== 시민 사회의 입장 ==== | ==== 시민 사회의 입장 ==== | ||
시민 사회는 ‘현재 과학기술 수준에서는 GMO가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 과학계 전문가들의 입장’이라고 반박하면서 ‘GMO는 농약을 아무리 써도 살아남는 변이이며 변형된 유전자 자체가 위해성이 있는지 아직은 알 수 없지만, 재배 과정에서 농약을 많이 써서 건강에 안 좋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라고 주장한다. | |||
=== GMO에 대한 갈등 재점화 === | === GMO에 대한 갈등 재점화 === | ||
지난 수년 간 승인되지 않은 GMO 작물인 '주키니 호박'이 국내에서 생산·유통·소비되는 사실이 밝혀지자 GMO에 대한 정부와 시민 사회 간의 갈등이 재점화되기 시작했다.<ref>정화령, 유명무실한 GMO 표시제 개선하고, 반복되는 GMO 사고 막아야, LIFE IN, 2023. 5. 25.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5612</ref> | |||
== GMO 완전표시제 == | == GMO 완전표시제 == | ||
42번째 줄: | 65번째 줄: | ||
=== 식품의약안전처의 역할 === | === 식품의약안전처의 역할 === | ||
식품의약안전처는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책임지는 조직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 | |||
* GMO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일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 |||
*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GMO 식품에 대한 여러 실험 결과에 주목하여 긍정과 부정적 결론이 도출된 이유를 철저히 분석하여 보다 올바른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 |||
* GMO 식품 표시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소비자가 잘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국민 스스로가 현명한 소비자로서 올바른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
=== 시민 사회에게 요구되는 점 === | === 시민 사회에게 요구되는 점 === | ||
시민 사회는 고도의 생명공학 기술로 만들어진 GMO를 마냥 안 좋게만 보지 않아야 한다. | |||
* GMO에 사용되는 ‘변형’이나 ‘조작’이라는 용어에 혐오감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 | |||
* GMO가 인체나 환경에 위해를 끼칠 가능성에 대해 막연하게 걱정하지 않아야 한다. | |||
* 무작정 정부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GMO가 훌륭한 대체 식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 |
2024년 6월 19일 (수) 03:11 판
GMO
GMO란?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는 유전 공학 기술을 사용하여 유전 물질이 바뀐 유기체이다. [1] Vector를 통해 유기체의 genom에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거나 유기체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유전자를 knockout 시키는 방법 등으로 유전 물질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는 교배를 통한 재조합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변형된 유기체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 공학적 기법으로 bacteria부터 동물 군, 식물 군까지 다양한 유기체들의 유전자 변형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생물로 분류되지 않는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또한 변형되어져 왔다. 이는 산업적으로 큰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생명공학적 연구를 발전시키는 기반이 되었다.
- 가장 최초의 유전자 변형 유기체는 Herbert Boyer와 Stanley Cohen이 1973년에 카나마이신이라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도록 유전자 변형한 bacteria이다.
- 1974년에 Rudolf Jaenisch가 mouse를 이용하여 최초의 유전자 변형 동물을 생산하였다.
- 1983년에 유전자 변형 식물이 생산되었다.
- 1994년, 부패를 유도하는 효소를 억제하게 형질전환되어 잘 익은 상태로 단단함을 유지하며, 곰팡이 저항성도 지니도록 유전자 변형된 'Flaver Savr' 토마토가 최초로 상용화되었다.[2]
- 2015년 growth hormone (GH)를 조작한 'AquAdvantage 연어'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최초로 식용으로 승인되었다.[3]
GM 작물로서의 GMO
GMO는 통상적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 즉 GM 작물로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다.
GM 작물이란 인공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유용한 유전자가 작물의 유전체 내에 삽입됨에 따라 의도한 특성을 가지게 된 작물이다. 유전자 재조합된 GM 작물은 제초제나 병해충의 저항성을 가지고, 환경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특성이 강화되거나 유전적으로 영양소 구성성분이 강화되며, 새로운 기능성이 첨가되어 기존의 특성을 넘어서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지닌다. [4] 이러한 GM 작물은 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비식용으로는 의약품 또는 바이오 연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GM 작물을 생산하는 가장 일반화된 방식은 Agrobacterium의 Ti plasmid에 항생제 내성, 제초제 내성 등의 형질을 나타내는 target gene을 통해 형질 전환 시키는 것이며, 이 외에도 gene gun 방식, 전기 천공법, 미세주입 등으로 GM 작물을 쉽게 만들 수 있다.[5]
GMO의 이점
GMO의 이점으로는 크게 생육의 용이, 영양 성분의 강화, 개발도상국에서의 긍정적인 영향을 들 수 있다.
생육의 용이
GMO는 병충해 저항성, 식물 병 저항성, Roundup-ready와 같은 제초제에 대한 내성, 고온 등의 스트레스 저항 등을 가져 작물을 재배할 때에 생육이 용이하다. 또, 과실의 경우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색 발현 조절이 가능해져서 과실의 색을 마음대로 결정할 수도 있으며, 과실이 물러지지 않게 조작할 수도 있다. [6] 2014년 메타 분석에서는 GM 기술 채택으로 화학 살충제 사용이 37% 감소하고, 작물 수확량이 22% 증가하고, 농민 이익이 68% 증가했다고 결론지었다. [5]
영양 성분의 강화
GMO는 필요한 영양 성분을 강화할 수 있어서 사람의 영양소 섭취 정도를 개선하여 암, 당뇨병, 심혈관 질환, 고혈압 등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 다량영양소와 비타민, 미네랄 등 미량영양소의 섭취를 개선하면 비타민 A 부족으로 인한 실명을 줄일 수도 있다. 특히 향상된 영양소 중에서도 미네랄 이용 가능성의 증가는 면역 체계를 개선하고 발육 부진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7]
개발도상국에서의 긍정적인 영향
기계를 사용해 농약을 살포하는 선진국과는 달리, 사람의 손으로 백 팩 분무기를 사용하여 살충 작업을 해야 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화학 잔류물이 인체에 흡수되어 살충제 중독이라는 질병이 발생하기도 하고, 농약 살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작물의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 인간과 동물에게 유독하고 발암의 위험성이 큰 마이코톡신과 신경관 결손 비율을 높이는 푸모니신을 함유한 옥수수 등이 가정에서 소비되기도 한다. 하지만, 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BT 내성 작물의 보급으로 살충제 노출 수준을 감소시켜서 살충제 중독 사례를 큰 폭으로 감소시켰으며,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더 낮은 농도의 마이코톡신(29%), 푸모니신(31%), 트리코테센스(37%)를 함유한 옥수수를 생산했다.[7]
쌀을 주식으로 개발도상국에서는 수많은 어린이들이 비타민 A 부족에 시달리고, 이들 중 매년 약 50만 명이 실명이 되고 있다. 비타민 A는 면역기능 전반에도 관련이 있어 비타민 A 결핍은 설사, 호흡기 질환, 홍역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황금쌀’을 통해 해결되었다. 황금쌀은 배유에서 비타민 A를 만드는 베타카로틴이 합성될 수 있도록 유전자를 재조합한 GM 작물로 황색 또는 주황색을 띠어 황금쌀이라고 불린다. 또, 황금쌀은 추출, 가공, 유통 등 다른 조건을 요구하지 않고 비타민 A 부족을 비용이 들지 않는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고, 환경적 측면에서도 농업적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자연에서도 마찬가지로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며 추후의 환경에 대한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7]
GMO 안전성
GMO 안전성
GMO를 둘러싼 입장
식품의약안전처의 입장
식품의약안전처는 ‘GMO가 DNA를 변형한 것이니 섭취하면 우리 몸에서도 변형이 일어날 것이라는 공포에 사로잡히기 쉬우나 대부분의 식품 유전자는 섭취 후 소화 효소와 위액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돼 완전히 없어지기 때문에 GMO를 섭취한다고 사람의 유전자가 변형되지 않는다.’라고 설명한다.
시민 사회의 입장
시민 사회는 ‘현재 과학기술 수준에서는 GMO가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 과학계 전문가들의 입장’이라고 반박하면서 ‘GMO는 농약을 아무리 써도 살아남는 변이이며 변형된 유전자 자체가 위해성이 있는지 아직은 알 수 없지만, 재배 과정에서 농약을 많이 써서 건강에 안 좋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라고 주장한다.
GMO에 대한 갈등 재점화
지난 수년 간 승인되지 않은 GMO 작물인 '주키니 호박'이 국내에서 생산·유통·소비되는 사실이 밝혀지자 GMO에 대한 정부와 시민 사회 간의 갈등이 재점화되기 시작했다.[8]
GMO 완전표시제
GMO 표시제란?
GMO 완전표시제란?
GMO 완전표시제를 둘러싼 입장
식품의약안전처의 입장
시민 사회의 입장
갈등 해결 방안
식품의약안전처의 역할
식품의약안전처는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책임지는 조직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한다.
- GMO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일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GMO 식품에 대한 여러 실험 결과에 주목하여 긍정과 부정적 결론이 도출된 이유를 철저히 분석하여 보다 올바른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 GMO 식품 표시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소비자가 잘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국민 스스로가 현명한 소비자로서 올바른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시민 사회에게 요구되는 점
시민 사회는 고도의 생명공학 기술로 만들어진 GMO를 마냥 안 좋게만 보지 않아야 한다.
- GMO에 사용되는 ‘변형’이나 ‘조작’이라는 용어에 혐오감을 느끼지 않아야 한다.
- GMO가 인체나 환경에 위해를 끼칠 가능성에 대해 막연하게 걱정하지 않아야 한다.
- 무작정 정부에게 모든 정보를 제공하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GMO가 훌륭한 대체 식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
- ↑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2024, May 29).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enetically_modified_organism
- ↑ Flavr Savr. (2024, April 15). https://en.wikipedia.org/wiki/Flavr_Savr
- ↑ AquAdvantage salmon. (2024, February 9). https://en.wikipedia.org/wiki/AquAdvantage_salmon
- ↑ 김용권. (2015). GM 작물의 개발현황 및 전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27(4), 448-454.
- ↑ 5.0 5.1 Genetically modified crops. (2024, June 11). https://en.wikipedia.org/wiki/Genetically_modified_crops
- ↑ Adrian Slater, Nigel W. Scott, and(&) Mark R. Fowler, 식물생명공학, 권석윤 외 역, 서울: 월드사이언스, 2014.
- ↑ 7.0 7.1 7.2 Smyth S. J, The human health benefits from GM crops. Plant biotechnology journal Vol.18, 2020.
- ↑ 정화령, 유명무실한 GMO 표시제 개선하고, 반복되는 GMO 사고 막아야, LIFE IN, 2023. 5. 25. https://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5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