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산업기술진흥 및 사업화 촉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통상자원부''' | ||
주제 - 신산업 육성과 주력사업 고도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 주제 - 신산업 육성과 주력사업 고도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 ||
첨단 기술 개발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기술 사업화를 목표로 진행되는 주요 프로그램이다. | 첨단 기술 개발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기술 사업화를 목표로 진행되는 주요 프로그램이다. | ||
'''1. 프로그램 주요내용''' | |||
□ 프로그램 목표 | |||
* ''미래 신산업 창출과 경쟁력 확보'' | |||
ㅇ 바이오, 헬스케어, 의료기기 등의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한 신격차 확보,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 추진 | |||
- 바이오헬스산업의 도전·혁신적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주요 정책과 연계한 R&D를 강화하여 글로벌 성장동력을 창출 | |||
- 바이오산업 등의 현장중심의 인력양성, 제조공정 및 산업화 장애 요소 극복 지원으로 국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촉진 | |||
* ''신기술 융합 산업 육성'' | |||
ㅇ AI·빅데이터·5G 등 신기술이 융합된 첨단로봇, 소프트파워 산업 을 육성하여 국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추진 | |||
- 제조, 물류, 복지, 안전 등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로봇 보급을 촉진하고, 서비스로봇 등 유망 신산업 대상 실증도 지속 추진 | |||
- 제조업과 연계된 고부가가치 지식서비스, 이러닝을 발굴ㆍ육성 및 우수 이러닝 제품의 해외진출 촉진 등제조-서비스 혁신 기반 확충 | |||
- 엔지니어링 표준품셈의 체계적관리를 통한 혁신성장을 뒷받침 | |||
□ 프로그램 추진배경 및 의의 | |||
* ''사회적 변화와 기술 발전'' | |||
ㅇ 코로나19와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인한 인력수급 불균형 등 산업 경제 전반의 변화를 촉발하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한편, | |||
ㅇ 온-디바이스AI, 딥러닝,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신속한 데이터 처리 및 가공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 중 | |||
- 로봇, 바이오, 新소재,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기술과 융합한 형태의 신산업이 등장하며 그 중요성이 증대 | |||
* ''글로벌 경쟁 환경'' | |||
ㅇ 주요 경쟁국은 신산업 선점을 위한 각종 정책·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글로벌 패권경쟁을 가속화 중 | |||
⇨ 산업의 신격차, 초격차 기술개발 및 국내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미래 먹거리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 | |||
□ 주요 추진전략 | |||
* ''다부처 협력 R&D 추진'' | |||
ㅇ 다부처(산업부, 과기부, 복지부, 식약처 등) R&D를 지속 추진하여 통일된 신산업의 로드맵을 구성하는 원팀을 구성 | |||
- 공동기획, 관리 등으로 부처간 간극을 완화하고 급변하는 글로벌 산업에 대응할 수 있는 신·초격차 기술력을 확보 | |||
* ''글로벌 규제 및 이슈 대응'' | |||
ㅇ 한편, 글로벌 규제 및 이슈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R&D 기획 → 평가 → 관리’ 워크 플로우를 마련하여 초격차 선도국가로 나아갈 산업생태계 기반을 마련 | |||
* ''산업 소프트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 | |||
ㅇ 디자인, 엔지니어링, 이러닝 등을 적용한 제조업의 소프트화로 산업 전반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 | |||
'''2. 프로그램 분석 및 성과관리 계획''' | |||
□ 법·제도·정책 요인 및 외부요인 분석 | |||
* (법·제도·정책 요인) | |||
①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24.4), 바이오제조 혁신전략(‘24.4) 등을 통해 바이오헬스산업의 초격차 확보 및 바이오 대전환 유도 | |||
<nowiki>*</nowiki>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 허브 도약을 위해 제조 초격차 기술력 확보, 글로벌 바이오소부장 스타 양성, 글로벌 생산허브 도약기반 마련 등을 추진 | |||
② 글로벌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K-로봇경제 실현을 위한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24~2028) 수립(‘24.1) * 로봇 3대 핵심 경쟁력(기술, 인력, 기업) 강화, ‘30년까지 100만대 보급 등 국내외 시장창출 통해 K-Robot 시장 확대, 로봇 산업 친화적 인프라 기반 구축 | |||
③ 제3차 엔지니어링산업 진흥계획(`23.6), AI 디자인 확산전략(`24.7) 등을 수립하여 엔지니어링, 디자인 산업 진흥을 통한 신산업의 고부가가치 구현 | |||
④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생명공학육성법,산업융합 촉진법,엔지니 어링산업 진흥법등 관련 법령을 통해 구체화- 38 | |||
* (외부요인) | |||
① 기후변화, 초고령화, 팬데믹 등 환경·사회 변화에 따라서, 디지털· 그린 혁신, 생산성 제고 기술개발, 바이오의약품의 보건안보 필수 자산 등 산업전반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 | |||
<nowiki>*</nowiki> 전세계 사회환경 변화로 인해 세계 바이오산업은 향후 年 10%의 성장 및 `30년 반도체 산업 규모의 2~3배가 되는 등 고성장이 기대되는 미래성장 동력으로 전망(McKinsey & Company) | |||
② 또한 AI 등 첨단 기술의 급격한 성장과 미래산업의 쌀로 불리는 탄소소재(탄소섬유, 인조흑연 등) 등의 소재기술의 발전으로 기존 산업에 첨단기술, 소재를 융합한 새로운 비즈니스들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는 중 | |||
<nowiki>*</nowiki>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로봇의 이동성과 지능화 수준이 고도화되며, 급부상하고 있는 서비스 로봇 시장은 `21년 127억불 → `30년 513억불로 4배이상 성장 전망(World Robotics) | |||
<nowiki>**</nowiki> 우주항공‧방산, 모빌리티 등 수요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전 세계 탄소소재 시장은 2022년 137조원에서 2030년 1,070조원까지 연평균 11.3%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 | |||
③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와 첨단 융복합 기술의 발전으로 주요국들은 시장주도권 확보를 위해 경쟁적으로 지원대책, 전략을발표 | |||
<nowiki>*</nowiki>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22.9), 「바이오 전략 2019」 (‘19.6), (EU) 다국적 연구사업 ‘Horizon Europe’으로 바이오 R&D 지원(‘21~’27) 등 | |||
<nowiki>**</nowiki> 「반도체 과학법」 10대 핵심기술분야에 로봇을 포함, 8대전략 신흥산업에 로봇 포함, R&D 프로그램 100개이상, 시범·실증 200개 이상 추진, (日) 「경제안전보장추진법」 11대분야 로봇 포함 및 `20~`25년 4.4억불 투자 등 | |||
< SWOT 분석 > | |||
• S(강점) | |||
산업 저변 확대를 위한 정부 육성정책마련및첨단ICT를융합한 초격차 기술개발에정부투자강화 •세계 1위 로봇밀도, 세계 2위의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 등 신시장 확보를 위한 국내기반 확보 | |||
• W(약점) | |||
글로벌 대비 바이오경제, SW, 센서 등기술격차 존재 •레드바이오 위주의 산업이 형성 → 그린, 화이트분야 기반 부족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율 저조로 주요 품목의수입의존극복필요 | |||
• O(기회) | |||
팬데믹, 고령화 등에 따른 사회경제 전반의변화를촉진하는패러다임등장 •패러다임에 발맞춘 기존 사업(바이오, 로봇등)에서의 새로운비즈니스창출 •첨단 모빌리티, 수소전지 등 신산업 분야 융복합을 위한탄소섬유, 인조 흑연등원료첨단소재수요증가 O(기회) | |||
• T(위협) | |||
신시장주도권확보를위한경쟁국의 정책 발표와 자국 경제 보호를 위한 법령제정 등 무역장벽 강화 •개화되는新비즈니스에대한글로벌 선점 경쟁이 가속화되며 새로운 Player가 등장 | |||
==== 성과관리 결과 및 우선순위 조정 ==== | |||
# 성과지표 분석 결과 | |||
#* 특허 논문 질적 우수성 | |||
#** 목표치: 11.61점 → 실적치: 11.91점 (달성률 102.6%) | |||
#* 로봇 보급률 | |||
#** 목표치: 5.71% → 실적치: 6.05% (달성률 106%) | |||
#* 디자인 혁신기업 신제품 매출액 | |||
#** 목표치와 실적치 모두 15.5억 원으로 100% 달성 | |||
# 우선순위 조정 | |||
#* 바이오헬스 기술 개발 | |||
#** 2025년 예산안 27,637억 원 (+2.3% 증가) | |||
#** 국가 통합 빅데이터 구축, 디지털 의료제품 개발 등에 초점. | |||
#* 로봇산업 진흥 | |||
#** 2025년 예산안 6,439억 원 (-1.4% 감소) | |||
#** 서비스 로봇 보급과 산업용 로봇 실증에 집중 | |||
#* 탄소산업 진흥 | |||
#** 2025년 예산안 4,876억 원 (0% 증가) | |||
#** K-Carbon 플래그십 기술개발 사업 중심으로 진행 | |||
==== 성과관리·개선 계획 ==== | |||
* 성과 지표별 개선 방안 | |||
** R&D 투자 전략을 강화하여 특허 전략을 구축 | |||
** IP-R&D 사업 연계를 통해 우수 기술 도출 및 사장되는 기술 방지 | |||
* 미래전략산업 초격차 확보 | |||
** mRNA 백신 실증 지원 기반 구축, 바이오 파운드리 인프라 확충 등 | |||
'''3. 관련 예산사업 현황''' | |||
# 탄소산업진흥(48,759벡만 원) | |||
□ 사업목적 | |||
ㅇ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운영 사업은 탄소소재 융복합 기술·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주요 기능 및 7개 사업 수행을 위해 운영하고자 함 | |||
ㅇ 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및 확산 사업은 산업기반 조성 및 기업 저변 확대와 종합지원 플랫폼구축을 통한 기업성장 혁신 및 글로벌화를 지원하고자 함 | |||
ㅇ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을 통한 기업 성장 혁신 및 글로벌화 지원 | |||
□ 예산사업 내역 | |||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운영: '''31,459백만 원''' (R&D) | |||
- K-Carbon 플래그십 기술개발: '''17,300백만 원''' (R&D) | |||
□ 성과 | |||
ㅇ 탄소소재 기술 및 산업 융합 발전을 위한 R&D 성과 평가 진행 중 | |||
2. 바이오산업육성(52,349백만 원) | |||
□ 사업목적 | |||
ㅇ 바이오분야 국제협약인 ‘바이오안전성의정서’·‘생물무기금지협약’과 국 내 이행법(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생화학 무기금지법률)의 의무사항 이행과 바이오산업계 능력 제고 및 건전한 발전 | |||
ㅇ 바이오‧나노산업계의 현장중심의 인력양성 지원, 바이오 기업의 산업화 장애요소 극복 지원, 나노중소기업 대상 나노응용제품 일괄제조공정 개발 지원 등을 통해 바이오‧나노산업 개방형 생태계 조성을 촉진 | |||
ㅇ 국내 백신산업 육성 및 글로벌 산업화를 촉진을 위하여 글로벌 수준의 백신GMP제조시설을 활용한 백신관련 기업체의 공정개발 및 (비)임상 시료 생산지원 | |||
ㅇ mRNA 백신 실증지원시설과 장비를 구축하여 COVID-19 이후 급부 상한 국내 mRNA 백신 개발 및 상용화 지원 ㅇ 글로벌 수준 백신GMP제조시설을 활용 (비)임상시료 생산지원 및 생산 역량 제고에 대응하는 현장실무형 백신생산 전문기술인력 양성 추진 | |||
□ 예산사업 내역 | |||
- 바이오 분야 국제협약 이행: '''2,745백만 원''' (일반회계) | |||
- 바이오·나노 산업 개방형 생태계 조성: '''41,661백만 원''' | |||
- mRNA 백신 실증지원 기반 구축: '''4,200백만 원''' | |||
□ 성과 | |||
ㅇ 글로벌 수준 백신 제조 및 생산 역량 강화 | |||
ㅇ 바이오 파운드리 인프라 구축 및 핵심기기 고도화 | |||
3. 바이오헬스 기술 개발(276,379백만 원) | |||
□사업목적 | |||
ㅇ 바이오·헬스케어·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산업분야의 초격차 기술개발 및 제품화·사업화를 전략 지원을 통해 글로벌 혁신성장 동력제고와 바이오헬스산업 경쟁력 확보 | |||
-바이오헬스산업의 디지털,전략기술,융복합 등에 따른 글로벌경 제·산업,사회·안보 등과 연계한 바이오경제 패권 주도 경쟁 가속화 중이 므로,국내 바이오 제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투자 필요 | |||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및 이슈 해결 등에 적시 대응을 위하여도 전·혁신적,초격차 경쟁력 확보,제품화 및 서비스 역량 강화,투자 유도 및 수출 지향적인 과제 발굴 및 집중 지원 | |||
□ 예산사업 내역 | |||
- 바이오 산업 기술개발: '''128,291백만 원''' | |||
- 국가 신약개발사업: '''41,161백만 원''' | |||
- 디지털 의료제품 개발사업: '''2,800백만 원''' | |||
□ 성과 | |||
ㅇ 멀티오믹스 기반 난치암 치료기술 개발 | |||
ㅇ 의료 데이터 합성과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 기술 확보 | |||
4. 로봇산업진흥(64,390백만 원) | |||
□ 사업목적 | |||
ㅇ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3.1월)”을 수립하여 로봇 100만대 보급 및 로봇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로봇 선도 프로젝트, 신 시장 창출 및 성장 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 | |||
ㅇ 사회적 문제 해결 등을 위하여 지능형 로봇의 개발과 보급을 촉진하고, 지능형 로봇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기반 조성 사업 추진 등을 통한 로봇융합 신시장 창출·확산 | |||
ㅇ 지능형로봇보급및촉진법(제3조, 제9조, 제17조 등)에 따라 추진 | |||
□ 예산사업 내역 | |||
- 지능형 로봇 보급 및 확산: '''57,446백만 원''' | |||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운영: '''6,944백만 원''' | |||
□ 성과 | |||
ㅇ 로봇 100만 대 보급 목표 | |||
ㅇ 서비스로봇 시장 확대와 신기술 융합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 |||
5. 산업융합 및 창의산업진흥(44,326백만 원) | |||
□ 사업목적 | |||
ㅇ (지식서비스기반구축) 제조업과 연계된 고부가가치 신서비스를 발굴, 체계적으로 육성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 시장을 창출하고 제조-서비스 혁신기반 확충 | |||
- 지식서비스산업 혁신기반확충 및 제조-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모델 발굴 ㆍ확산, 유망 스타트업 아이템 발굴ㆍ육성 | |||
- 이러닝산업 인프라의 지속적 확충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유망 이러닝 제품의 해외진출 지원 | |||
ㅇ (디자인산업진흥) 한국디자인진흥원을 통한 산업디자인개발 촉진 및 중소‧중견기업 디자인 역량 강화 지원 | |||
- 국내외 디자인전시, 우수디자인상품선정 등을 통한 디자인 문화확산 및 수출확대 등 기업의 디자인 역량강화 지원 | |||
- 디자인 컨설팅, 수출확대 등 산업디자인 개발 및 진흥사업을 체계적 으로 추진함으로써 산업 및 제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 | |||
ㅇ (엔지니어링산업진흥) 표준품셈 마련 확대 및 대가산정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기술력 중심의 공정한 대가 지급 환경 조성 | |||
- 적정 사업 대가 산출을 위한 엔지니어링 표준품셈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엔지니어링 사업환경을 선순환적으로 개선 | |||
- 대가산정 자동화 시스템* 서비스 확대를 통해 적정대가 산출 지원 | |||
<nowiki>*</nowiki> 사업규모등기본정도입력시엔지니어링사업대가를자동산출해주는서비스 | |||
□ 예산사업 내역 | |||
- 디자인 산업 진흥: '''32,840백만 원''' | |||
- 나노융합산업 생태계 조성 촉진: '''1,618백만 원''' | |||
□ 성과 | |||
ㅇ 제조업 기반 고부가가치 서비스 개발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 |||
6. 창의산업기술개발(3,800백만 원) | |||
□ 사업목적 | |||
ㅇ 국가나노인프라의 첨단산업분야* 나노소재·부품 실증지원 역량 제고를 통해 사업화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 |||
<nowiki>*</nowiki> 반도체·디스플레이, 5G·6G, 이차전지, 수소, 첨단바이오 등 | |||
- 최신기술 및 시장수요에 대응하는 첨단나노 제조공정 플랫폼 기술 고도화를 통해 실효성 있는 기업지원시스템 구축 | |||
<nowiki>*</nowiki> 나노소재(QD/OLED, 전도성나노잉크) 적용 유연필름 디스플레이 등 | |||
□ 예산사업 내역 | |||
- 나노 인프라 공정 서비스 역량 고도화''':''' '''1,800백만 원''' | |||
- 규제특례 신산업 창출: '''2,000백만 원''' | |||
□ 성과 | |||
ㅇ 나노소재(QD/OLED,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 |||
ㅇ 중소기업의 기술력 증진과 사업화 성공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 |
2024년 11월 8일 (금) 16:27 판
산업통상자원부
주제 - 신산업 육성과 주력사업 고도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첨단 기술 개발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기술 사업화를 목표로 진행되는 주요 프로그램이다.
1. 프로그램 주요내용
□ 프로그램 목표
- 미래 신산업 창출과 경쟁력 확보
ㅇ 바이오, 헬스케어, 의료기기 등의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한 신격차 확보,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 추진
- 바이오헬스산업의 도전·혁신적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주요 정책과 연계한 R&D를 강화하여 글로벌 성장동력을 창출
- 바이오산업 등의 현장중심의 인력양성, 제조공정 및 산업화 장애 요소 극복 지원으로 국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촉진
- 신기술 융합 산업 육성
ㅇ AI·빅데이터·5G 등 신기술이 융합된 첨단로봇, 소프트파워 산업 을 육성하여 국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추진
- 제조, 물류, 복지, 안전 등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로봇 보급을 촉진하고, 서비스로봇 등 유망 신산업 대상 실증도 지속 추진
- 제조업과 연계된 고부가가치 지식서비스, 이러닝을 발굴ㆍ육성 및 우수 이러닝 제품의 해외진출 촉진 등제조-서비스 혁신 기반 확충
- 엔지니어링 표준품셈의 체계적관리를 통한 혁신성장을 뒷받침
□ 프로그램 추진배경 및 의의
- 사회적 변화와 기술 발전
ㅇ 코로나19와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인한 인력수급 불균형 등 산업 경제 전반의 변화를 촉발하는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한편,
ㅇ 온-디바이스AI, 딥러닝,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신속한 데이터 처리 및 가공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 중
- 로봇, 바이오, 新소재,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기술과 융합한 형태의 신산업이 등장하며 그 중요성이 증대
- 글로벌 경쟁 환경
ㅇ 주요 경쟁국은 신산업 선점을 위한 각종 정책·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글로벌 패권경쟁을 가속화 중
⇨ 산업의 신격차, 초격차 기술개발 및 국내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미래 먹거리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
□ 주요 추진전략
- 다부처 협력 R&D 추진
ㅇ 다부처(산업부, 과기부, 복지부, 식약처 등) R&D를 지속 추진하여 통일된 신산업의 로드맵을 구성하는 원팀을 구성
- 공동기획, 관리 등으로 부처간 간극을 완화하고 급변하는 글로벌 산업에 대응할 수 있는 신·초격차 기술력을 확보
- 글로벌 규제 및 이슈 대응
ㅇ 한편, 글로벌 규제 및 이슈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R&D 기획 → 평가 → 관리’ 워크 플로우를 마련하여 초격차 선도국가로 나아갈 산업생태계 기반을 마련
- 산업 소프트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
ㅇ 디자인, 엔지니어링, 이러닝 등을 적용한 제조업의 소프트화로 산업 전반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
2. 프로그램 분석 및 성과관리 계획
□ 법·제도·정책 요인 및 외부요인 분석
- (법·제도·정책 요인)
①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24.4), 바이오제조 혁신전략(‘24.4) 등을 통해 바이오헬스산업의 초격차 확보 및 바이오 대전환 유도
*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 허브 도약을 위해 제조 초격차 기술력 확보, 글로벌 바이오소부장 스타 양성, 글로벌 생산허브 도약기반 마련 등을 추진
② 글로벌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K-로봇경제 실현을 위한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24~2028) 수립(‘24.1) * 로봇 3대 핵심 경쟁력(기술, 인력, 기업) 강화, ‘30년까지 100만대 보급 등 국내외 시장창출 통해 K-Robot 시장 확대, 로봇 산업 친화적 인프라 기반 구축
③ 제3차 엔지니어링산업 진흥계획(`23.6), AI 디자인 확산전략(`24.7) 등을 수립하여 엔지니어링, 디자인 산업 진흥을 통한 신산업의 고부가가치 구현
④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생명공학육성법,산업융합 촉진법,엔지니 어링산업 진흥법등 관련 법령을 통해 구체화- 38
- (외부요인)
① 기후변화, 초고령화, 팬데믹 등 환경·사회 변화에 따라서, 디지털· 그린 혁신, 생산성 제고 기술개발, 바이오의약품의 보건안보 필수 자산 등 산업전반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
* 전세계 사회환경 변화로 인해 세계 바이오산업은 향후 年 10%의 성장 및 `30년 반도체 산업 규모의 2~3배가 되는 등 고성장이 기대되는 미래성장 동력으로 전망(McKinsey & Company)
② 또한 AI 등 첨단 기술의 급격한 성장과 미래산업의 쌀로 불리는 탄소소재(탄소섬유, 인조흑연 등) 등의 소재기술의 발전으로 기존 산업에 첨단기술, 소재를 융합한 새로운 비즈니스들이 빠르게 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는 중
*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로봇의 이동성과 지능화 수준이 고도화되며, 급부상하고 있는 서비스 로봇 시장은 `21년 127억불 → `30년 513억불로 4배이상 성장 전망(World Robotics)
** 우주항공‧방산, 모빌리티 등 수요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전 세계 탄소소재 시장은 2022년 137조원에서 2030년 1,070조원까지 연평균 11.3%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
③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와 첨단 융복합 기술의 발전으로 주요국들은 시장주도권 확보를 위해 경쟁적으로 지원대책, 전략을발표
*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22.9), 「바이오 전략 2019」 (‘19.6), (EU) 다국적 연구사업 ‘Horizon Europe’으로 바이오 R&D 지원(‘21~’27) 등
** 「반도체 과학법」 10대 핵심기술분야에 로봇을 포함, 8대전략 신흥산업에 로봇 포함, R&D 프로그램 100개이상, 시범·실증 200개 이상 추진, (日) 「경제안전보장추진법」 11대분야 로봇 포함 및 `20~`25년 4.4억불 투자 등
< SWOT 분석 >
• S(강점)
산업 저변 확대를 위한 정부 육성정책마련및첨단ICT를융합한 초격차 기술개발에정부투자강화 •세계 1위 로봇밀도, 세계 2위의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 등 신시장 확보를 위한 국내기반 확보
• W(약점)
글로벌 대비 바이오경제, SW, 센서 등기술격차 존재 •레드바이오 위주의 산업이 형성 → 그린, 화이트분야 기반 부족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율 저조로 주요 품목의수입의존극복필요
• O(기회)
팬데믹, 고령화 등에 따른 사회경제 전반의변화를촉진하는패러다임등장 •패러다임에 발맞춘 기존 사업(바이오, 로봇등)에서의 새로운비즈니스창출 •첨단 모빌리티, 수소전지 등 신산업 분야 융복합을 위한탄소섬유, 인조 흑연등원료첨단소재수요증가 O(기회)
• T(위협)
신시장주도권확보를위한경쟁국의 정책 발표와 자국 경제 보호를 위한 법령제정 등 무역장벽 강화 •개화되는新비즈니스에대한글로벌 선점 경쟁이 가속화되며 새로운 Player가 등장
성과관리 결과 및 우선순위 조정
- 성과지표 분석 결과
- 특허 논문 질적 우수성
- 목표치: 11.61점 → 실적치: 11.91점 (달성률 102.6%)
- 로봇 보급률
- 목표치: 5.71% → 실적치: 6.05% (달성률 106%)
- 디자인 혁신기업 신제품 매출액
- 목표치와 실적치 모두 15.5억 원으로 100% 달성
- 특허 논문 질적 우수성
- 우선순위 조정
- 바이오헬스 기술 개발
- 2025년 예산안 27,637억 원 (+2.3% 증가)
- 국가 통합 빅데이터 구축, 디지털 의료제품 개발 등에 초점.
- 로봇산업 진흥
- 2025년 예산안 6,439억 원 (-1.4% 감소)
- 서비스 로봇 보급과 산업용 로봇 실증에 집중
- 탄소산업 진흥
- 2025년 예산안 4,876억 원 (0% 증가)
- K-Carbon 플래그십 기술개발 사업 중심으로 진행
- 바이오헬스 기술 개발
성과관리·개선 계획
- 성과 지표별 개선 방안
- R&D 투자 전략을 강화하여 특허 전략을 구축
- IP-R&D 사업 연계를 통해 우수 기술 도출 및 사장되는 기술 방지
- 미래전략산업 초격차 확보
- mRNA 백신 실증 지원 기반 구축, 바이오 파운드리 인프라 확충 등
3. 관련 예산사업 현황
- 탄소산업진흥(48,759벡만 원)
□ 사업목적
ㅇ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운영 사업은 탄소소재 융복합 기술·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주요 기능 및 7개 사업 수행을 위해 운영하고자 함
ㅇ 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및 확산 사업은 산업기반 조성 및 기업 저변 확대와 종합지원 플랫폼구축을 통한 기업성장 혁신 및 글로벌화를 지원하고자 함
ㅇ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을 통한 기업 성장 혁신 및 글로벌화 지원
□ 예산사업 내역
-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운영: 31,459백만 원 (R&D)
- K-Carbon 플래그십 기술개발: 17,300백만 원 (R&D)
□ 성과
ㅇ 탄소소재 기술 및 산업 융합 발전을 위한 R&D 성과 평가 진행 중
2. 바이오산업육성(52,349백만 원)
□ 사업목적
ㅇ 바이오분야 국제협약인 ‘바이오안전성의정서’·‘생물무기금지협약’과 국 내 이행법(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생화학 무기금지법률)의 의무사항 이행과 바이오산업계 능력 제고 및 건전한 발전
ㅇ 바이오‧나노산업계의 현장중심의 인력양성 지원, 바이오 기업의 산업화 장애요소 극복 지원, 나노중소기업 대상 나노응용제품 일괄제조공정 개발 지원 등을 통해 바이오‧나노산업 개방형 생태계 조성을 촉진
ㅇ 국내 백신산업 육성 및 글로벌 산업화를 촉진을 위하여 글로벌 수준의 백신GMP제조시설을 활용한 백신관련 기업체의 공정개발 및 (비)임상 시료 생산지원
ㅇ mRNA 백신 실증지원시설과 장비를 구축하여 COVID-19 이후 급부 상한 국내 mRNA 백신 개발 및 상용화 지원 ㅇ 글로벌 수준 백신GMP제조시설을 활용 (비)임상시료 생산지원 및 생산 역량 제고에 대응하는 현장실무형 백신생산 전문기술인력 양성 추진
□ 예산사업 내역
- 바이오 분야 국제협약 이행: 2,745백만 원 (일반회계)
- 바이오·나노 산업 개방형 생태계 조성: 41,661백만 원
- mRNA 백신 실증지원 기반 구축: 4,200백만 원
□ 성과
ㅇ 글로벌 수준 백신 제조 및 생산 역량 강화
ㅇ 바이오 파운드리 인프라 구축 및 핵심기기 고도화
3. 바이오헬스 기술 개발(276,379백만 원)
□사업목적
ㅇ 바이오·헬스케어·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산업분야의 초격차 기술개발 및 제품화·사업화를 전략 지원을 통해 글로벌 혁신성장 동력제고와 바이오헬스산업 경쟁력 확보
-바이오헬스산업의 디지털,전략기술,융복합 등에 따른 글로벌경 제·산업,사회·안보 등과 연계한 바이오경제 패권 주도 경쟁 가속화 중이 므로,국내 바이오 제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투자 필요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동향 및 이슈 해결 등에 적시 대응을 위하여도 전·혁신적,초격차 경쟁력 확보,제품화 및 서비스 역량 강화,투자 유도 및 수출 지향적인 과제 발굴 및 집중 지원
□ 예산사업 내역
- 바이오 산업 기술개발: 128,291백만 원
- 국가 신약개발사업: 41,161백만 원
- 디지털 의료제품 개발사업: 2,800백만 원
□ 성과
ㅇ 멀티오믹스 기반 난치암 치료기술 개발
ㅇ 의료 데이터 합성과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 기술 확보
4. 로봇산업진흥(64,390백만 원)
□ 사업목적
ㅇ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3.1월)”을 수립하여 로봇 100만대 보급 및 로봇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로봇 선도 프로젝트, 신 시장 창출 및 성장 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
ㅇ 사회적 문제 해결 등을 위하여 지능형 로봇의 개발과 보급을 촉진하고, 지능형 로봇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기반 조성 사업 추진 등을 통한 로봇융합 신시장 창출·확산
ㅇ 지능형로봇보급및촉진법(제3조, 제9조, 제17조 등)에 따라 추진
□ 예산사업 내역
- 지능형 로봇 보급 및 확산: 57,446백만 원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운영: 6,944백만 원
□ 성과
ㅇ 로봇 100만 대 보급 목표
ㅇ 서비스로봇 시장 확대와 신기술 융합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5. 산업융합 및 창의산업진흥(44,326백만 원)
□ 사업목적
ㅇ (지식서비스기반구축) 제조업과 연계된 고부가가치 신서비스를 발굴, 체계적으로 육성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 시장을 창출하고 제조-서비스 혁신기반 확충
- 지식서비스산업 혁신기반확충 및 제조-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모델 발굴 ㆍ확산, 유망 스타트업 아이템 발굴ㆍ육성
- 이러닝산업 인프라의 지속적 확충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유망 이러닝 제품의 해외진출 지원
ㅇ (디자인산업진흥) 한국디자인진흥원을 통한 산업디자인개발 촉진 및 중소‧중견기업 디자인 역량 강화 지원
- 국내외 디자인전시, 우수디자인상품선정 등을 통한 디자인 문화확산 및 수출확대 등 기업의 디자인 역량강화 지원
- 디자인 컨설팅, 수출확대 등 산업디자인 개발 및 진흥사업을 체계적 으로 추진함으로써 산업 및 제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
ㅇ (엔지니어링산업진흥) 표준품셈 마련 확대 및 대가산정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기술력 중심의 공정한 대가 지급 환경 조성
- 적정 사업 대가 산출을 위한 엔지니어링 표준품셈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엔지니어링 사업환경을 선순환적으로 개선
- 대가산정 자동화 시스템* 서비스 확대를 통해 적정대가 산출 지원
* 사업규모등기본정도입력시엔지니어링사업대가를자동산출해주는서비스
□ 예산사업 내역
- 디자인 산업 진흥: 32,840백만 원
- 나노융합산업 생태계 조성 촉진: 1,618백만 원
□ 성과
ㅇ 제조업 기반 고부가가치 서비스 개발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6. 창의산업기술개발(3,800백만 원)
□ 사업목적
ㅇ 국가나노인프라의 첨단산업분야* 나노소재·부품 실증지원 역량 제고를 통해 사업화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 반도체·디스플레이, 5G·6G, 이차전지, 수소, 첨단바이오 등
- 최신기술 및 시장수요에 대응하는 첨단나노 제조공정 플랫폼 기술 고도화를 통해 실효성 있는 기업지원시스템 구축
* 나노소재(QD/OLED, 전도성나노잉크) 적용 유연필름 디스플레이 등
□ 예산사업 내역
- 나노 인프라 공정 서비스 역량 고도화: 1,800백만 원
- 규제특례 신산업 창출: 2,000백만 원
□ 성과
ㅇ 나노소재(QD/OLED, 전도성 나노잉크)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ㅇ 중소기업의 기술력 증진과 사업화 성공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