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장애인체육 육성: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2번째 줄: 132번째 줄:


== 프로그램 성과 및 평가 ==
== 프로그램 성과 및 평가 ==
[[파일:장애인체육성 성과지표.png|가운데|섬네일|400x400픽셀]]
장애인체육 육성 프로그램의 핵심 성과지표로 활용되는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장애인 체육활동 접근성과 참여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장애인이 최근 1년간 재활치료 외의 목적으로 주 1회 이상 1회당 30분 이상 집 밖에서 운동하는 자의 비율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 증진, 사회적 통합,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실적을 살펴보면,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2021년 20.2%에서 2023년 26.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매년 약 2%p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정부의 생활체육 지도자 확대 배치, 통합형 체육교실 운영, 어울림 생활체육대회 정례화 등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목표가 2025년 38.3%, 2026년 40.5%, 2027년 42.7%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추세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2024년 11월 23일 (토) 03:10 판

개요

장애인체육 육성 제도는 장애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과 사회적 통합을 목표로, 생활체육 및 전문체육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국가정책이다. 이 제도는 장애인이 체육활동을 통해 자립 역량을 강화하고, 비장애인과의 상호 이해를 증진하여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둔다.

장애인체육 육성 제도는 생활체육 지원, 전문체육 및 국제체육 지원, 체육단체 운영 지원을 포함하며, 특히 장애인 친화적 체육 인프라를 조성하고,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 선수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 제도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통합 체육 문화를 조성하며, 모든 장애인에게 균등한 체육 참여 기회를 보장한다.

추진 배경

  • 장애인 체육활동 필요성 증가 : 장애인 체육은 장애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안정,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애인들은 비장애인에 비해 신체활동 기회가 제한되기 쉽고, 이로 인해 건강 유지와 사회적 참여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 체육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확대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 국제적 장애인 스포츠 환경 변화 : 국제 대회에서 장애인 스포츠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며, 한국 역시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패럴림픽과 같은 국제 대회에서의 성과는 국가적 자긍심뿐만 아니라 장애인 권익 증진에도 기여한다.
  • 사회적 통합 및 인식 개선 요구 :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꼐 어우러질 수 있는 통합체육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체육은 상호 이해와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
  • 정책적 대응 필요 : 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를 확대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관련 법령을 기반으로 예산 증액, 지역 간 격차 해소, 전문 인력 양성 등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되었다.

주요 추진 전략

1.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 지역 기반 생활체육 확대 :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지역 단위 체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생활체육 지도자 배치를 확대한다. 특히, 지역 장애인체육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맞춤형 생활체육 활동을 활성화한다.
  • 생활체육 접근성 강화 : 농어촌 및 소외지역 장애인을 위한 이동식 체육 프로그램과 체육시설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한다.
  • 생활체육 대회 개최 지원 : 지역 및 전국단위의 생활체육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장애인들이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전문체육 및 국제경쟁력 강화

  • 국가대표 및 후보 선수 육성 : 전문 훈련 시설과 스포츠 과학 지원을 통해 국가대표 및 유망 선수들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국제 대회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국제대회 참가 지원 : 국제대회 참가를 위한 훈련, 경비 지원 및 전담 코치 배치를 통해 선수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경기에 임할 수 있도록 한다.

3. 장애인 체육 인프라 강화

  • 장애인 친화적 체육시설 확충 : 접근성이 높은 장애인 전용 체육시설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기존 시설을 보완하여 장애인들이 보다 쉽게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 장비 및 시설 지원 강화 : 체육활동에 필요한 전문장비와 설비를 제공하여 장애인들의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스포츠 과학 연구 및 활용 확대 : 스포츠 과학을 적용한 훈련 기법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선수들의 경기력을 극대화하고,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법·제도·정책 요인 및 외부요인 분석

1. 근거 법령

  • 「국민체육진흥법」 제 22조(기금의 사용 등) 제1항 및 제34조(대한장애인체육회)에 따라, 국민체육진흥기금을 활용하여 대한장애인체육회를 통해 장애인 스포츠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 「스포츠사업기본법」 제 12조(장애인스포츠에 관한 시책)에 따라 장애인 스포츠와 관련 종합적 시책 수립과 실행을 강조하며, 장애인 스포츠 활동 참여를 보장한다.
  •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 25조(체육활동의 차별금지)는 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를 보장하며, 체육 활동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제한·배제·분리·거부를 금지하고 있다.

2. 제도 및 정책

  • 장애인 생활체육 기반 확충 : 장애인생활체육지도사 확대 배치를 통해 지역 기반의 체육 참여를 촉진하고, 어울림생활체육대회의 정례화 및 통합체육교실 운영을 통해 사회 통합형 체육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 전문체육 경쟁력 강화 : 장애인 리그전 종목 확대 및 전국체전의 지속 개최, 국제종합대회 등 대회 참가, 이천선수촌 운영 지원 등이 주요 전략으로 추진된다.

3. 외부요인

  • 사회적 환경 :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차별적 인식 존재, 등록 장애인 수 및 장애인 고령인구 증가, 장애인 사회참여 욕구 강화 등
  • 경제적·국제적 환경 : 2023년 코로나 종식 선언 이후 장애인체육 사업 추진 활성화 및 2024년 파리패럴림픽 및 데플림픽 등 종합국제대회 정상 개최 등

프로그램 예산 편성 및 평가

지난 3년간의 장애인체육 진흥 관련 예산 및 올해(2024)와 내년 예산 (단위 : 백만원)

회계

구분

'21 예산 '22 예산 '23 예산 '24 예산 '25 예산안
(1) 장애인체육 진흥

(5531)

일반회계 223 199 198 221 209
장애인체육 육성지원

(301)

일반회계 223 199 198 221 209
(2) 장애인체육 육성

(5561)

국민체육

진흥기금

90,911 89,924 96,940 110,656 115,266
장애인체육단체

운영지원 (300)

국민체육

진흥기금

30,124 27,473 31,105 37,594 40,954
장애인생활체육지원

(301)

국민체육

진흥기금

26,894 27,521 28,058 28,575 29,600
장애인전문체육 및

국제체육지원 (303)

국민체육

진흥기금

33,893 34,390 37,777 44,487 44,712

장애인체육 육성을 위한 예산 증액은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평가할 수 있다. 장애인체육은 장애인의 건강 증진과 사회적 참여 확대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활체육 참여율 증대, 국제대회 경쟁력 강화, 지역 간 체육활동 격차 해소 등 다양한 목표를달성하기 위한 재정적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예산 증액의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장애인 체육활동의 포괄성 확대 : 재정 확대는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을 끌어올리며, 농어촌 및 소외지역의 장애인들에게 체육활동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지역 간 격차를 줄이고 사회적 포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고 국제대회 참가와 같은 전문체육 영역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2. 사회적 통합과 안정성 증대 : 체육활동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사회적 공간을 제공하며, 이는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포용적 문화를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
  3. 국제적 위상 강화 : 파리패럴림픽, 데플림픽 등 국제종합대회 성과는 국가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지원하는 예산 증액은 국가적 차원의 긍정적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프로그램 성과 및 평가

장애인체육 육성 프로그램의 핵심 성과지표로 활용되는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장애인 체육활동 접근성과 참여 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장애인이 최근 1년간 재활치료 외의 목적으로 주 1회 이상 1회당 30분 이상 집 밖에서 운동하는 자의 비율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건강 증진, 사회적 통합,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실적을 살펴보면,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2021년 20.2%에서 2023년 26.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매년 약 2%p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정부의 생활체육 지도자 확대 배치, 통합형 체육교실 운영, 어울림 생활체육대회 정례화 등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목표가 2025년 38.3%, 2026년 40.5%, 2027년 42.7%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추세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