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 사업
용어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LINC(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사업, LINC+사업
개요
우리나라 교육부가 주관하여 2004년부터 시행중인 교육 사업으로, 산학협력을 통한 산학연 각 주체의 역량 향상, 지역사회 발전, 고용 증진 등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에 따라 기술혁신형, 현장밀착형 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원한다.
기술혁신형 | 현장밀착형 | |
---|---|---|
지원대상 | 학부, 대학원 | 학부 중심 |
지원 초점 | 연구인력 양성
기술개발 지원 기술사업화 지원 |
기술인력 양성 지원
현장 애로기술 개발 기술이전 지원 |
출처: 김대중(2018, pp. 31-32)에서 재정리.
추진 경과
주요 성과
관련 이슈 및 연구 동향
연구사례 (연도순-1저자 가나다순)
- 김종호(2012)는 사회통합, 공생발전의 관점에서 LINC 사업을 중심으로 산학협력 지원사업의 양상을 분석하고, 지역단위 인재양성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문제점, 과제로 정부 외 주체들의 주도성, 자율성 부재로 인한 낮은 지속가능성, 산학협력모델의 다양성 부족, 유관부처 간 협력 강화 등이 지적되었다.
- 김태운과 김태영(2016)은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LINC 사업의 목적 중 산학협력 기반 구축 관련 SYSTEM 분야 정성지표를 대상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상미 등(2016)은 지원대상 대학을 분석단위로 하여 5개 연도(2011-2015), 281개 관측치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통해 LINC 사업의 협릭기반 조성, 맞춤형 인재양성, 기술 공유 및 사업화 성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LINC 사업의 효과성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고용증진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 김대중(2018)은 5개 권역(수도권, 충청권, 호남제주권, 대경강원권, 동남권) 소속 현장밀착형 지원을 받은 42개 대학을 대상으로 2013, 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LINC 사업에 의한 산학협력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장성, 지역 간 격차 해소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문광민(2018)은 유전매칭(genetic matching), 이중차분(difference-in-difference) 기법 등을 활용하여 산학협력의 효율성 관점에서 LINC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업 이전 대비 1단계 사업에서는 효율성의 유의미한 증가가 확인되었으나, 1단계 대비 2단계 사업에서는 유의미한 효율성 증가를 지지하는 통계적 근거를 확인할 수 없었다.
참고문헌
- 김대중. (2018).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정책효과 실증분석: LINC 2단계 사업이 지역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8(3): 27-47.
- 김종호. (2012). 사회통합과 공생발전을 위한 지역인력양성정책: 산학협력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6(1): 1~22.
- 김태운, & 김태영.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 (LINC) 사업의 정성적 평가지표에 대한 시론적 고찰: SYSTEM 분야 지표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9(1), 105-136.
- 문광민. (2018). 정부의 대학 산학협력 재정지원은 효과적인가?: Game-교차효율성 측정모형과 유전 매칭 (genetic matching) 을 적용한 산학협력 선도대학 (LINC) 육성사업에 따른 대학의 산학협력 효율성 변화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9(1), 53-82.
- 이상미, 임은혁, 김한기, 김봉문, 김창호, 노윤정, & 이현정.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 (LINC) 육성사업의 효과성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4), 27-49.
같이 보기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 사업(LINC+ 사업)
대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