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기상청 조직

Public Policy Wiki
수뭉이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20일 (목) 13:01 판 (기상청 소개와 연혁 작성)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기상청 소개 및 연혁

기상청이란 대기 관측 및 분석을 통해 날씨를 파악하여 전달하는 기상예보를 주 업무로 하는 기관[1]으로, 이러한 지상기상관측과 더불어 고층, 해양, 항공, 레이더, 지진과 같은 기상 관측과 정보를 제공하는 우리나라의 중앙행정기관[2]이다. 행정부의 19부 3처 19청 중에서 청에 해당하며, 기상청은 환경부에 소속[3]되어 있다.


이러한 기상청의 조직 관련 연혁은 '국립중앙관상대'라는 이름으로 1949년에 첫 발축[4]되었고, 1961년 『기상업무법』의 제정[4]을 통해 법률에 기반을 둔 행정기관으로서의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에 1963년에 '중앙관상대'로 명칭이 변경[4]되었으며, 1964년에는 기상청의 업무를 골자로 규정하는 『기상현업업무규정』이 제정[4]되기도 하였고, 1982년에는 '중앙기상대'로 또다시 명칭이 변경[4]되었다가, 1990년에 행정청 조직인 '기상청'으로[4]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후 2005년에 차관급 기관으로 격상[4]되었고, 과거 제정된 기상업무법을 『기상법』으로 개정[4]하였으며, 추가로 기상관측 표준화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자료의 공동 활용을 도모하는[5] 『기상관측표준화법』이 같은 해에 제정[4]되었다. 이후 2009년에는 『기상산업진흥법』, 2014년에는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이 제정[4]되며, 예보 및 특보 등의 업무 뿐만 아니라 기상관련 상품 및 용역과 관련하여 이를 지원하고 육성하는 업무[6]와 지진 및 화산 등을 관측하는 업무 또한 법률에 기반을 둘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업무 변천의 연혁으로는 1964년에는 특보, 그 다음해에는 주간예보[4]와 예측 선행 시간이 10일 이상의 기간의 날씨를 예보[7]하는 장기예보가 1965년에 발표[4]되었고, 지형적 특성에 의해 특정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기상 현상[8]을 예보하는 국지기상예보가 1983년에 시작[4]하였으며, 1984년에는 기상특보 예고제가 시행되기 시작[4]하였다. 1987년에는 자동기상관측(AWS)업무를 시작[4]하기도 하였다. 1988년에는 남극세종지기에서의 기상관측도 시작되었고, 1990년에 5일 예보제가 시작되었다. 더불어 1993년에는 주간예보를 매일 발표하기 시작하였으며, 1999년 슈퍼컴퓨터 1호기의 도입 및 2000년에는 기상관측선인 기상2000호의 운항이 개시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관측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후 2008년에는 국가태풍센터의 신설을 통해 태풍에 관한 관측도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동네예보가 시작되었다. 더불어 2010년에는 천리안위성을 발사함으로서 ~ 고, 같은 해에 기상레이더센터가 신설 되었다. 2012년에는 우주기상에 관한 예보 및 특보 대국민 서비스가 실시되었고, 2013년에는 10일간의 날씨를 예보하는 중기예보가 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상청의 국제적 차원에 관한 연혁으로는 1956년에는 당시 '국립중앙관상대'였던 기상청이 68번째 회원국으로 세계기상기구(WMO)에 가입[4]을 하게 되었는데, 이때 세계기상기구(WMO)는 기상 및 기후 관측과 공유를 하는 UN 산하 국제기구[9]이다.

  1. 기상청, "기상청 소개", 2024.06.20. 검색. <https://www.kma.go.kr/kma/org/intro.jsp>
  2. 정부24, "기상청", 2024.06.20.검색. <https://www.gov.kr/portal/orgInfo/1360000>
  3. 정부24, "정부/지자체조직도", 2024.06.20.검색. <https://www.gov.kr/portal/orgInfo>
  4.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기상청, "연혁",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org/history.jsp#headsect>
  5. 국립법령정보센터, "기상관측표준화법",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상관측표준화법>
  6. 국가법령정보센터, "기상산업진흥법", 2024.06.20.검색. <https://www.law.go.kr/법령/기상산업진흥법>
  7. 기상학백과, "장기예보", 네이버 지식백과, 2024.06.20.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4656&docId=5702151&categoryId=64656>
  8. 기상백과, "국지기상", 네이버지식백과, 2024.06.20.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443&docId=1001615&categoryId=42443>
  9. 기상청, "세계기상정보시스템", 2024.06.20.검색. <https://www.kma.go.kr/kma/biz/ict04.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