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서울청년센터: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LJY (토론 | 기여)
새 문서: == 개념 == 서울청년센터 == 근거법령 == https://www.law.go.kr/자치법규/서울특별시청년기본조례/(8862,20230724)/제20조 [시행 2023. 7. 24.] [서울특별시조례 제8862호, 2023. 7. 24., 타법개정] * '''제20조(청년지원기관의 설치ㆍ운영)''' ① 시장은 청년정책의 추진을 위해 ‘서울광역청년센터’, 자치구별 ‘서울청년센터’ 등 청년지원기관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23.7.1...
 
J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념 ==
== 개념 ==
서울청년센터
서울청년센터는 서울의 자치구 청년센터 근방에 사는 청년이 필요로 하는 자원과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청년지원기관이다.


== 근거법령 ==
== 근거법령 ==
https://www.law.go.kr/자치법규/서울특별시청년기본조례/(8862,20230724)/제20조
'''[https://www.law.go.kr/자치법규/서울특별시청년기본조례/(8862,20230724)/제20조 서울특별시청년기본조례] :''' 시행일, 2023. 7. 24.
* '''제20조(청년지원기관의 설치ㆍ운영)''' ① 시장은 청년정책의 추진을 위해 ‘서울광역청년센터’, 자치구별 ‘서울청년센터’ 등 청년지원기관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23.7.18.>
 
  ③ 자치구별 서울청년센터는 다음 각 호의 기능을 수행한다. <개정 2023.7.18.>
 
  1. 청년지원정보 집적ㆍ제공 및 분야별 종합상담 사업
 
  2.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을 위한 사업
 
  3. 청년의 심리적 안정 및 자립지원, 취약계층 청년 지원 등 사회안전망 사업
 
  4. 지역단체 및 시설 등과의 연계 및 대외 협력 사업
 
  5. 생활권 기반 청년지원사업 추진을 위한 공간 지원


[시행 2023. 7. 24.] [서울특별시조례 제8862호, 2023. 7. 24., 타법개정]
  6. 지역별 청년 활동 공간 및 기반 제공


* '''제20조(청년지원기관의 설치ㆍ운영)''' ① 시장은 청년정책의 추진을 위해 ‘서울광역청년센터’, 자치구별 ‘서울청년센터’ 등 청년지원기관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23.7.18.>
  7. 그 밖에 청년의 생활권 기반 정책 접근성 확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② 서울광역청년센터는 다음 각 호의 기능을 수행한다. <개정 2023.7.18.>
  ④ 시장은 청년지원기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관련 법인이나 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


  1. 청년의 구직활동 지원을 위한 능력개발 및 진로모색 사업
  ⑤ 시장은 예산범위 내에서 청년지원기관에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고, 자치구에서 ‘서울청년센터’ 등을 설치ㆍ운영하는 경우 예산의 범위에서 설치ㆍ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2. 청년의 심리적 안정 및 자립지원, 취약계층 청년 지원 등 사회안전망 사업
== 추진배경 ==
{| class="wikitable"
|+서울시 청년정책의 변천과 시기별 특성<ref>정세정, 서울시 청년정책 추진체계 개선 방안 연구(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13.</ref>
!시기구분
!청년정책 형성기
민선 5기
(2011.10~2014.6)
!청년정책 제도화기
민선 6기
(2014.7~2018.6)
!청년정책 발전기
민선 7기
(2018.7~2023.12.현재)
|-
|법제도 변화
|청년일자리 기본조례 제정
|서울시 청년기본조례 제정
|청년기본법 제정, 시행청년 참여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
|-
|청년정책변화
| - 미래혁신일자리 발굴
- 청년고용 교육, 훈련정채 추진
| - 2020 서울형 청년보장 발표
- 청년활동지원사업(청년수당) 실시
| - 청년자치정부 출범
- 청년자율예산제 도입
|-
|청년정책추진, 전달체계 관련 변화
| - 청년일자리팀 신설
- 청년허브 신설


  3. 서울청년센터 운영 지원 및 성과관리ㆍ평가
- 청정넷 활동 시작
| - 청년정책담당간 신설(1과 3팀)
- 청년의회(청정넷)


  4. 청년지원 전문인력 육성사업
- 청년활동지원신터, 무중력지대, 교류센터 설치
| - 청년청 신설(1과 7팀)
- 청년의회 → 청년시민회으로 확대


  5. 지역단체 시설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및 대외 협력 사업
- '''서울청년센터 개관'''
|-
|의의
|서울시 청년정책의 형성기로 추진체계, 전달체계의 구체적이 구분 없이 청년정책의 독자성을 갖추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청년 정책 생태계를 조성하는 역할을 했다.
|청년의 네트워크와 혁신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던 청년허브와는 다르게 청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원기관이 등장했다. 청년정책 전달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청년지원기관인 청년허브, 청년활동지원센터, 무중력지대, 서울청년센터로 나누어 각각의 기능을 분화하였다.다양한 조직 개편을 통해 서울시에서 청년 정책이 중점 사업으로 여겨짐을 보여주었다.
|}
2024년 1월부터 서울청년센터의 명칭이 '서울청년센터 오랑'에서 '서울청년센터 OO(자치구명)'으로 변경된다. 2023년 7월 중순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 조례까 개정되면서 청년정책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서울시 청년지원기관의 유형 기능을 개펴나고 그에 따른 명칭을 변경한 결과이다.<ref>이창현, ""청년공간 효울화"···서울시, 청년센터'오랑'개편" ''청년일보'', 2023년 9월 2일, https://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135059.</ref>


  6. 국내외 청년 네트워크 및 교류 지원
== 구성과 역할 ==


  7. 청년 커뮤니티 및 단체활동 지원, 공간운영 지원을 위한 사업
=== 1. 구성 ===


  8. 정책 수립ㆍ운영을 위한 연구조사 자료ㆍ정보 집적과 공유
* '''(구조)'''서울시 청년정책의 전달체계는 서울시-자치구(행정),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자치구 서울청년센터(민간위탁)으로 구성된다. 민간위탁은 시의 민간위탁과 구의 민간위탁으로 나뉜다. 시 민간위착의 경우 서울시 청년청이 직접 예산을 지원하고 지도감독하며 청년센터는 청년청으로 시행보고를 한다. 반면 구 민간위탁의 경우 서울시 청년청이 자치구에 예산을 지원하고 사업가이드를 제공하며 사업을 평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자치구가 청년센터를 지도 감독한다.


  9. 그 밖에 청년지원에 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 '''(위치)'''2023년 12월 기준으로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광진구, 성동구, 마포구, 영등포구,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 강동구, 은평구, 강북구, 강서구에서 개소를 완료하여 총 14개의 센터가 있다.


  ③ 자치구별 서울청년센터는 다음 각 호의 기능을 수행한다. <개정 2023.7.18.>
=== 2. 역할 ===
{| class="wikitable"
|+서울청년센터의 역할
!핵심목표
!핵심전략
!표준사업
|-
|<nowiki>- 청년의 공공자원에 대한 접근성 강화</nowiki>


  1. 청년지원정보 집적ㆍ제공 및 분야별 종합상담 사업
- 청년관계망 확대
|<nowiki>- 청년의 정보·정책 접근성 증진</nowiki>


  2.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을 위한 사업
- 청년지원 인력의 역량강화


  3. 청년의 심리적 안정 및 자립지원, 취약계층 청년 지원 등 사회안전망 사업
- 청년의 자기이해 증진


  4. 지역단체 및 시설 등과의 연계 및 대외 협력 사업
- 청년의 교류활동 확대
|<nowiki>- 종합상담과 자원연계</nowiki>


  5. 생활권 기반 청년지원사업 추진을 위한 공간 지원
- 청년지원 정보 집적과 자원 개발


  6. 지역별 청년 활동 공간 및 기반 제공
-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7. 그 밖에 청년의 생활권 기반 정책 접근성 확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 청년공간 운영


  ④ 시장은 청년지원기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관련 법인이나 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
- 지역의 청년협력망 구축
|}


  ⑤ 시장은 예산범위 내에서 청년지원기관에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고, 자치구에서 ‘서울청년센터’ 등을 설치ㆍ운영하는 경우 예산의 범위에서 설치ㆍ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 3. 운영 프로그램 ===


== 추진배경 ==
* '''상담오랑''' : 청년지원매니저에게 청년 정책이나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정보를 문의하고 안내받을 수 있다.
* '''프로그램 오랑''' : 청년들의 소통, 그룹 상담, 지역 이슈에 관한 토론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 '''동네 정보퐁퐁''' : 필요한 지역정보나 오랑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문자로 제공한다. 회원가입 시 청년지원매니저가 큐레이션 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 연혁 ==
=== 4. 구체적 이용 흐름 ===
{| class="wikitable"
|+서울청년센터 이용 흐름<ref>정세정, 서울시 청년정책 추진체계 개선 방안 연구(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54.</ref>
!종합상담
!정보제공
!프로그램 제공, 연계/후속 관리
|-
| rowspan="4" |- 멤버십 신청서 작성


== 정책 ==
-종합상담 진행 : 매니저, 센터 소개 / 온오프라인 상담(욕구 파악)


== 연구동향 ==
- 유형분류(욕구 기준)
|'''(1유형)''' 직접 정보 제공
|청년센터의 커뮤니티 지원 프로그램에 연계
|-
|'''(2유형)''' 전문기관 연계
| - 심리상담 : 청년활동지원센터, 심리지원동북센터, 복건복지상담센터 등
- 가족상담 : 건강가정지원센터
- 고민상담 : 온라인고민상담소 하이데어
- 분야별 상담 : 유니온센터(노동), 민달팽이 유니온·주거복지센터(주가), 청년지감트레이닝센터(금융) 등
|-
|'''(3유형)''' 위기군
| - 정신건강 : 정신건강복지센터, 국립정신겅강센터
- 자살예방 : 자살예방센터
|-
|'''(4유형)''' 청년수당 문의
| - 서울시청년청, 청년활동지원센터 활력사업단에 상담 연결
|}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정세정, 서울시 청년정책 추진체계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사용설명서. 서울: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2021.
* 이창현. ""청년공간 효울화"···서울시, 청년센터'오랑'개편" ''청년일보.'' 2023년 9월 2일. https://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135059.
== 각주 ==
<references />
[[분류:정책사업]]
[[분류:사회복지정책]]

2024년 3월 4일 (월) 10:52 기준 최신판

개념

서울청년센터는 서울의 자치구 청년센터 근방에 사는 청년이 필요로 하는 자원과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청년지원기관이다.

근거법령

서울특별시청년기본조례 : 시행일, 2023. 7. 24.

  • 제20조(청년지원기관의 설치ㆍ운영) ① 시장은 청년정책의 추진을 위해 ‘서울광역청년센터’, 자치구별 ‘서울청년센터’ 등 청년지원기관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23.7.18.>

  ③ 자치구별 서울청년센터는 다음 각 호의 기능을 수행한다. <개정 2023.7.18.>

  1. 청년지원정보 집적ㆍ제공 및 분야별 종합상담 사업

  2.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을 위한 사업

  3. 청년의 심리적 안정 및 자립지원, 취약계층 청년 지원 등 사회안전망 사업

  4. 지역단체 및 시설 등과의 연계 및 대외 협력 사업

  5. 생활권 기반 청년지원사업 추진을 위한 공간 지원

  6. 지역별 청년 활동 공간 및 기반 제공

  7. 그 밖에 청년의 생활권 기반 정책 접근성 확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④ 시장은 청년지원기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관련 법인이나 단체 등에 위탁할 수 있다.

  ⑤ 시장은 예산범위 내에서 청년지원기관에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고, 자치구에서 ‘서울청년센터’ 등을 설치ㆍ운영하는 경우 예산의 범위에서 설치ㆍ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추진배경

서울시 청년정책의 변천과 시기별 특성[1]
시기구분 청년정책 형성기

민선 5기 (2011.10~2014.6)

청년정책 제도화기

민선 6기 (2014.7~2018.6)

청년정책 발전기

민선 7기 (2018.7~2023.12.현재)

법제도 변화 청년일자리 기본조례 제정 서울시 청년기본조례 제정 청년기본법 제정, 시행청년 참여 활성화 지원 조례 제정
청년정책변화 - 미래혁신일자리 발굴

- 청년고용 교육, 훈련정채 추진

- 2020 서울형 청년보장 발표

- 청년활동지원사업(청년수당) 실시

- 청년자치정부 출범

- 청년자율예산제 도입

청년정책추진, 전달체계 관련 변화 - 청년일자리팀 신설

- 청년허브 신설

- 청정넷 활동 시작

- 청년정책담당간 신설(1과 3팀)

- 청년의회(청정넷)

- 청년활동지원신터, 무중력지대, 교류센터 설치

- 청년청 신설(1과 7팀)

- 청년의회 → 청년시민회으로 확대

- 서울청년센터 개관

의의 서울시 청년정책의 형성기로 추진체계, 전달체계의 구체적이 구분 없이 청년정책의 독자성을 갖추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청년 정책 생태계를 조성하는 역할을 했다. 청년의 네트워크와 혁신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던 청년허브와는 다르게 청년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원기관이 등장했다. 청년정책 전달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청년지원기관인 청년허브, 청년활동지원센터, 무중력지대, 서울청년센터로 나누어 각각의 기능을 분화하였다.다양한 조직 개편을 통해 서울시에서 청년 정책이 중점 사업으로 여겨짐을 보여주었다.

2024년 1월부터 서울청년센터의 명칭이 '서울청년센터 오랑'에서 '서울청년센터 OO(자치구명)'으로 변경된다. 2023년 7월 중순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 조례까 개정되면서 청년정책체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서울시 청년지원기관의 유형 및 기능을 개펴나고 그에 따른 명칭을 변경한 결과이다.[2]

구성과 역할

1. 구성

  • (구조)서울시 청년정책의 전달체계는 서울시-자치구(행정),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자치구 서울청년센터(민간위탁)으로 구성된다. 민간위탁은 시의 민간위탁과 구의 민간위탁으로 나뉜다. 시 민간위착의 경우 서울시 청년청이 직접 예산을 지원하고 지도감독하며 청년센터는 청년청으로 시행보고를 한다. 반면 구 민간위탁의 경우 서울시 청년청이 자치구에 예산을 지원하고 사업가이드를 제공하며 사업을 평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자치구가 청년센터를 지도 및 감독한다.
  • (위치)2023년 12월 기준으로 노원구, 도봉구, 동대문구, 광진구, 성동구, 마포구, 영등포구, 금천구, 관악구, 서초구, 강동구, 은평구, 강북구, 강서구에서 개소를 완료하여 총 14개의 센터가 있다.

2. 역할

서울청년센터의 역할
핵심목표 핵심전략 표준사업
- 청년의 공공자원에 대한 접근성 강화

- 청년관계망 확대

- 청년의 정보·정책 접근성 증진

- 청년지원 인력의 역량강화

- 청년의 자기이해 증진

- 청년의 교류활동 확대

- 종합상담과 자원연계

- 청년지원 정보 집적과 자원 개발

- 커뮤니티 프로그램 운영

- 청년공간 운영

- 지역의 청년협력망 구축

3. 운영 프로그램

  • 상담오랑 : 청년지원매니저에게 청년 정책이나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의 정보를 문의하고 안내받을 수 있다.
  • 프로그램 오랑 : 청년들의 소통, 그룹 상담, 지역 이슈에 관한 토론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 동네 정보퐁퐁 : 필요한 지역정보나 오랑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문자로 제공한다. 회원가입 시 청년지원매니저가 큐레이션 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한다.

4. 구체적 이용 흐름

서울청년센터 이용 흐름[3]
종합상담 정보제공 프로그램 제공, 연계/후속 관리
- 멤버십 신청서 작성

-종합상담 진행 : 매니저, 센터 소개 / 온오프라인 상담(욕구 파악)

- 유형분류(욕구 기준)

(1유형) 직접 정보 제공 청년센터의 커뮤니티 지원 프로그램에 연계
(2유형) 전문기관 연계 - 심리상담 : 청년활동지원센터, 심리지원동북센터, 복건복지상담센터 등

- 가족상담 : 건강가정지원센터 - 고민상담 : 온라인고민상담소 하이데어 - 분야별 상담 : 유니온센터(노동), 민달팽이 유니온·주거복지센터(주가), 청년지감트레이닝센터(금융) 등

(3유형) 위기군 - 정신건강 : 정신건강복지센터, 국립정신겅강센터

- 자살예방 : 자살예방센터

(4유형) 청년수당 문의 - 서울시청년청, 청년활동지원센터 활력사업단에 상담 연결

참고문헌

  • 정세정, 서울시 청년정책 추진체계 개선 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사용설명서. 서울: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2021.
  • 이창현. ""청년공간 효울화"···서울시, 청년센터'오랑'개편" 청년일보. 2023년 9월 2일. https://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135059.

각주

  1. 정세정, 서울시 청년정책 추진체계 개선 방안 연구(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13.
  2. 이창현, ""청년공간 효울화"···서울시, 청년센터'오랑'개편" 청년일보, 2023년 9월 2일, https://www.youthdaily.co.kr/news/article.html?no=135059.
  3. 정세정, 서울시 청년정책 추진체계 개선 방안 연구(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