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학생교육과정 운영지원: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NM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NMN (토론 | 기여)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2023년 성과보고서'''


= '''2023년 기준 성과보고서''' =


'''(1) 프로그램 목표 개요'''


□ 프로그램목표 주요내용


【학교교육과정 운영지원】
== '''(1) 프로그램 목표 개요''' ==


ㅇ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이끌어갈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및 교수・학습 및 평가 혁신으로 학습의 질 개선
=== □  프로그램목표 주요내용 ===


==== 【학교교육과정 운영지원】 ====


-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 운영 지원)''' 국가 수준의 기초학력 보장 지원을 위한 전담기관 운영으로 모든 학생의 기초학력을 보장하는 국가 교육책임제 실현




※ '''(주요역할)''' 제도개선 연구, 실태조사, 교수‧학습자료 개발, 시도교육청 컨설팅 등


ㅇ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이끌어갈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및 교수・학습 및 평가 혁신으로 학습의 질 개선


-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022 개정 교육과정 고시(’22.12.22.)에 따른 평가기준, 교원 연수자료, 교수·학습자료 개발 등
  -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 운영 지원)''' 국가 수준의 기초학력 보장 지원을 위한 전담기관 운영으로 모든 학생의 기초학력을 보장하는 국가 교육책임제 실현
 
  ※ '''(주요역할)''' 제도개선 연구, 실태조사, 교수‧학습자료 개발, 시도교육청 컨설팅 등
 
  -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022 개정 교육과정 고시(’22.12.22.)에 따른 평가기준, 교원 연수자료, 교수·학습자료 개발 등
- '''(직업계고 교육과정 개정)''' 2022 교육과정 개정 고시(2022.12.22.)에 따른 2023년 직업계고 교육과정 후속지원 사항에 대한 정책연구 추진
  - '''(직업계고 교육과정 개정)''' 2022 교육과정 개정 고시(2022.12.22.)에 따른 2023년 직업계고 교육과정 후속지원 사항에 대한 정책연구 추진




ㅇ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보급 및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만들어가는 교과서 운영‧지원으로 학생 맞춤형 교수‧학습 지원
ㅇ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보급 및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만들어가는 교과서 운영‧지원으로 학생 맞춤형 교수‧학습 지원


- 개정 교육과정을 실현하며 학습 부담을 경감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교과서 개발‧보급


- 개정 교육과정을 실현하며 학습 부담을 경감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교과서 개발‧qh급




ㅇ 미래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교원의 창의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소외계층 학생 대상 맞춤형 영재교육 지원
ㅇ 미래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교원의 창의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소외계층 학생 대상 맞춤형 영재교육 지원


- '''(창의교육 역량 강화 지원)''' 창의교육 콘텐츠 개발ㆍ확산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및 지능정보사회에 필요한 미래사회 핵심 역량을 함양한 인재 양성
- '''(영재교육 지원사업)''' 미래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운영 기반 마련 및 소외계층 맞춤형 영재교육 지원


- '''(창의교육 역량 강화 지원)''' 창의교육 콘텐츠 개발ㆍ확산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및 지능정보사회에 필요한 미래사회 핵심 역량을 함양한
인재 양성
- '''(영재교육 지원사업)''' 미래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운영 기반 마련 및 소외계층 맞춤형 영재교육 지원




ㅇ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및 미래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교육 도입의 기반 마련
ㅇ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및 미래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교육 도입의 기반 마련


- '''(소프트웨어인재양성기반구축)''' 초·중등 정보교육 SW·AI 교육 내실화,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지원 등을 통해 SW·AI 인재양성 기반 마련
- '''(과학기술인재육성사업)'''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 구축의 일환으로 과학‧수학교육, 융합교육 운영 지원 및 학생‧교사활동 확대
- '''(융합형과학기술인재양성기반구축)'''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실생활 문제해결력 등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및 교원의 융합교육 역량 지원 강화


- '''(소프트웨어인재양성기반구축)''' 초·중등 정보교육 SW·AI 교육 내실화,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지원 등을 통해 SW·AI 인재양성 기반 마련


- '''(과학기술인재육성사업)'''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 구축의 일환으로 과학‧수학교육, 융합교육 운영 지원 및 학생‧교사활동 확대


'''【 교육기부 활성화 】'''


- '''(융합형과학기술인재양성기반구축)'''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실생활 문제해결력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교원의 융합교육 역량 지원 강화
'''(교육기부 활성화)''' 기업, 대학, 공공기관 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유·초·중등 교육활동에 활용 교육기부에 대한 범사회적 관심 제고 등
 


'''【 교육기부 활성화 】'''


ㅇ '''(교육기부 활성화)''' 기업, 대학, 공공기관 등 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유·초·중등 교육활동에 활용 및 교육기부에 대한 범사회적 관심 제고 등




59번째 줄: 52번째 줄:


ㅇ '''(전국학부모지원센터 운영 지원)''' 교육주체로서 학부모의 건강한 학교 교육 참여를 지원하고, 자녀교육 역량강화를 통한 학생 성장 지원
ㅇ '''(전국학부모지원센터 운영 지원)''' 교육주체로서 학부모의 건강한 학교 교육 참여를 지원하고, 자녀교육 역량강화를 통한 학생 성장 지원


ㅇ '''(단체교섭 및 건전노사관계 구축)''' 교원노조와의 협력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교원의 임금, 근무조건, 후생복지 등 향상 도모
ㅇ '''(단체교섭 및 건전노사관계 구축)''' 교원노조와의 협력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교원의 임금, 근무조건, 후생복지 등 향상 도모




66번째 줄: 62번째 줄:


ㅇ 학교교육활동 전반에서 지속가능한 미래사회 대응에 필요한 가치(책임, 존중)와 역량(디지털 시민성, 환경감수성 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전인적 성장 지원
ㅇ 학교교육활동 전반에서 지속가능한 미래사회 대응에 필요한 가치(책임, 존중)와 역량(디지털 시민성, 환경감수성 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전인적 성장 지원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 2021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 2021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단위 : 백 만원, %)
(단위 : 백 만원, %)
!구분
!구분
167번째 줄: 163번째 줄:
|303
|303
|94.6
|94.6
|-
|
| colspan="2" |소계
|32,650
|337
|0
|337
|336
|99.7
|}
|}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 2022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 2022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단위 : 백 만원, %)
(단위 : 백 만원, %)
!구분
!구분
184번째 줄: 188번째 줄:
| rowspan="9" |22년
| rowspan="9" |22년
| rowspan="9" |학교
| rowspan="9" |학교
교육과정
교육
운영지원
 
과정
운영
 
지원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543
|2,543
265번째 줄: 273번째 줄:
|939
|939
|93.2
|93.2
|-
|
| colspan="2" |소계
|35,440
|586
|0
|36,026
|34,310
|95.2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2023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 2023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단위 : 백 만원, %)
(단위 : 백 만원, %)
!구분
!구분
283번째 줄: 299번째 줄:
| rowspan="9" |23년
| rowspan="9" |23년
| rowspan="9" |학교
| rowspan="9" |학교
교육과정
교육
운영지원
 
과정
운영
 
지원
|교육과정 개정 및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후속지원
364번째 줄: 384번째 줄:
|905
|905
|89.8
|89.8
|-
|
| colspan="2" |소계
|34,483
|996
|3,472
|38,951
|36,773
|94.4
|}
|}






 
==  '''(2) 성과지표 달성 현황''' ==
'''(2) 성과지표 달성 현황'''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 class="wikitable sortable mw-collapsible"
|+성과지표 달성 현황
|+성과지표 달성 현황
381번째 줄: 409번째 줄:
!'23년
!'23년
|-
|-
|교과용도서
| rowspan="3"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수정·보완
처리율(%)
처리율(%)
(점)
(점)
|ㅇ 측정산식 : (수정보완처리
| rowspan="3" |ㅇ 측정산식 : (수정보완처리탑재 건수/수정보완요청건수)×100
탑재 건수/수정보완
 
요청건수)×10
 
▪ 측정방법
▪ 측정방법


- 측정대상기간 : ’23. 1. 1.
- 측정대상기간 : ’23. 1. 1.~’23. 12.31.
 
’23. 12. 31.


- 실적치 집계·분석 완료  
- 실적치 집계·분석 완료 시점 : ’23. 12. 31.  
 
시점 : ’23. 12. 31.


- 측정수행기관 :
- 측정수행기관 :
404번째 줄: 424번째 줄: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사업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사업


민간위탁기관(한국교과
민간위탁기관(한국교과서연구재단)


서연구재단)
- 측정대상 : 교과용도서수정·보완 요청 사항 전체
|목표


- 측정대상 : 교과용도서
|신규


수정·보완 요청 사항 전체
|목표
실적
달성률(%)
|신규
|신규
신규
 
-
|신규
신규
-
|95
|95
99.6
 
104.8
|97
|97
98.3
101.3
|-
|-
|영재키움  
|실적
|신규
|신규
|99.6
|98.3
|-
|달성률(%)
| -
| -
|104.8
|101.3
|-
| rowspan="3" |영재키움  
프로젝트
프로젝트
참가학생
참가학생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
(점)
(점)
|ㅇ 측정산식 : 리커트 5점
| rowspan="3" |ㅇ 측정산식 : 리커트 5점척도로 측정한 값을 100분위 점수로 환산한 값
 
척도로 측정한 값을  
 
100분위 점수로 환산한 값
 
▪ 측정방법
▪ 측정방법


- 측정대상기간 : ’23. 3.
- 측정대상기간 : ’23. 3.1.~’23. 11. 30.


1.~’23. 11. 30.
-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nowiki>:</nowiki> ’23.12월 초 


-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예정  
 
<nowiki>:</nowiki> ’23.12월 초 예정


- 측정수행기관 :
- 측정수행기관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측정대상 및 방법 :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학생 약 600여 명을
- 측정대상 및 방법 : 영재키움 프로젝트


대상으로 검사 실시
참가학생 약 600여 명을 대상으로 검사 실시


- 조사항목 : 자기효능감
- 조사항목 : 자기효능감관련 설문 문항(28개)  
 
관련 설문 문항(28개)
|목표
|목표
실적
실적
달성률(%)
달성률(%)
|신규
|신규
신규
신규
-
-
|75
|75
78
78
104.0
104.0
|79
|79
80
80
101.3
101.3
|82
|82
82
82
100.0
100.0
|-
|-
|창의‧융합형
|실적
|신규
|78
|80
|82
|-
|달성률(%)
| -
|104.0
|101.3
|100.0
|-
| rowspan="3" |창의‧융합형


정보교육
정보교육
490번째 줄: 514번째 줄:


(점)
(점)
|ㅇ 측정방법 (자료수집
| rowspan="3" |ㅇ 측정방법 (자료수집방법/출처)
 
▪ 측정대상기간 : ‘23.3.1.~ ’23.11.30.
방법/출처)
 
▪ 측정대상기간 : ‘23.3.1.
 
~ ’23.11.30.
 
▪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nowiki>:</nowiki> ’23. 11월말(예정)
 
▪ 측정수행기관 :
 
한국과학창의재단


측정대상 표본수 및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nowiki>:</nowiki> ’23. 11월말(예정)


선정방법 : 창의융합형
▪ 측정수행기관 : 한국과학창의재단


정보교육실 운영교
▪ 측정대상 표본수 및 선정방법 :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운영교전수조사


전수조사
▪ 조사대상 :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각종 교육과정을 경험한 학생 및 교사 대상으로 설문 조사 실시


조사대상 : 창의융합형
조사항목 :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인프라


정보교육실에서 각종
만족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  
 
교육과정을 경험한 학생 및
 
교사 대상으로 설문
 
조사 실시
 
▪ 조사항목 :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인프라
 
만족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  


만족도 등
만족도 등
|목표
|목표
실적
실적
달성률(%)
달성률(%)
|신규
|신규
신규
신규
-
-
|신규
|신규
신규
신규
-
-
|3.5
|3.5
4.4
4.4
125.7
125.7
|4.0
|4.0
4.4
4.4
110.0
110.0
|-
|실적
|신규
|신규
|4.4
|4.4
|-
|달성률(%)
| -
| -
|125.7
|110.0
|}
|}
'''□ 성과지표 및 목표치 적정성'''




ㅇ (교과용도서)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처리율(%)


'''□ 성과지표 및 목표치 적정성'''


- 학계‧현장의 수정 요구 등을 상시‧적시에 반영하여 현장 적합성 제고하는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 구축·운영을 통해 교과용도서의 품질 관리 제고
ㅇ '''(교과용도서)'''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처리율(%)
- 학계‧현장의 수정 요구 등을 상시‧적시에 반영하여 현장 적합성 제고하는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 구축·운영을 통해 교과용도서의 품질 관리 제고
  <nowiki>*</nowiki> 수정‧보완 요구 → 접수 → 검토 → 수정‧보완(승인) → 현장 안내 등 후속 조치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 www.textbook.or.kr)
    ※ (수정보완처리 탑재건 수 / 수정‧보완 요청건 수) x 100




<nowiki>*</nowiki> 수정‧보완 요구 → 접수 → 검토 → 수정‧보완(승인) → 현장 안내 등 후속 조치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 www.textbook.or.kr)
ㅇ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자기 효능감)''' ’22년 목표치(79점) 대비 실적(80점) 달성비율(101.3%)을 고려하여 ’22년 실적값(80점)에 ’22년 초과달성비율(1.3%)의 2배 수준인 2.5% 가량을 반영하여 설정




※ (수정보완처리 탑재건 수 / 수정‧보완 요청건 수) x 100


ㅇ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 만족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을 활용한 SW· I 교과 융합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만족도 조사 ’22년 목표치 (3.5점)의 초과달성비율(25.7%)의 절반 수준인 13% 가량 상향 설정(4.0점)


ㅇ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자기 효능감) ’22년 목표치(79점) 대비 실적(80점) 달성비율(101.3%)을 고려하여 ’22년 실적값(80점)에 ’22년 초과달성비율(1.3%)의 2배 수준인 2.5% 가량을 반영하여 설정




ㅇ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 만족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을 활용한 SW· I 교과 융합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만족도 조사 ’22년 목표치 (3.5점)의 초과달성비율(25.7%)의 절반 수준인 13% 가량 상향 설정(4.0점)




576번째 줄: 589번째 줄:


ㅇ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처리
ㅇ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처리
- '''(자료수집 방법)'''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을 통한 수정·보완 요청 사항 처리 탑재 건 수 확인
- '''(품질확인)''' 수집된 수정‧보완 대조표를 근거로 각 연도별 발행된 교과용도서의 수정·보완 전후 내용 확인
ㅇ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자기효능감)'''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720명) 대상 학업적 자기효능감 조사 실시(5점 척도, 28문항)
✤ (조사 기간) ’24.1.22(월) ~ 1.24(수)
✤ (조사 대상)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학생 720명
✤ (조사 방법) 온라인 링크 접속을 통한 개별 설문(28문항, 리커트 척도)
✤ (조사 목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정을 통한 기존 프로그램 개선 및 신규 프로그램 수요 파악
✤ (조사 결과) 학생 자기효능감(4.10점) / 5점 만점
{| class="wikitable"
|+
!구분
!평균(1,008명)
!학생(941명)
!교사(67명)
|-
|만족도 점수 (5점 만점)
|4.42점
|4.39점
|4.85점
|}
ㅇ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 만족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에 대한 운영학교의 사용자(학생·교사) 설문조사(5점 척도)
✤ (조사 기간) ’23. 11. 31.(월) ~ 11. 27.(월)
✤ (조사 대상)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운영 교(17교), 수혜 학생 및 교사(1,008명)
  ※ 계속 운영 교(14교) 및 신규 교(3교)의 학생 941명, 교사 67명
✤ (조사 방법) 대상교에 공문발송 등을 통한 개별 온라인 설문(10~13문항, 대상별 상이) 시행
✤ (조사 목적)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공간에서의 교수학습 혁신 체감도, 사업추진 및 확산 등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향후 선도학교 지원 방안 개선 및 SW·AI 교육정책 개선에 반영
✤ (만족도 결과) 교사(4.85점), 학생 만족도(4.39점) / 5점 만점
{| class="wikitable"
|+
!구분
!평균 (1,008명)
!학생(941명)
!교사(67명)
|-
|만족도 점수 (5점 만점)
|4.42점
|4.39점
|4.85점
|}
== '''(3) 사업성과 분석''' ==
1) 사업운영의 우수성
□ 목표달성 과정 및 방법
【 학교교육과정 운영지원 】
ㅇ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정책연구, 교원 연수자료 개발, 정보센터 운영 등을 통해 새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 지원
- (정책연구) 교육과정 총론(초, 중, 고, 특수교육) 해설서, 범교과학습주제, 평가 기준 등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후속지원 연구 추진(10개 과제)
<nowiki>*</nowiki> (연구과제) 총론 해설서(초, 중, 고, 특수교육), 창의적체험활동 해설서, 초·중학교 평가기준 개발, 수업·평가 개선방안 연구, 범교과학습주제 등 과제 추진(~’24.2월, 일부 과제의 경우 ’24. 6월 내 완료 예정)
- (교원 연수자료 개발)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별 교원 연수자료를 개발(32종)
<nowiki>*</nowiki> 총론 3종, 교과교육과정 23종, 영상콘텐츠 5종, 활용 가이드 1종 개발
-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C) 운영)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국내·외 초·중등 교육과정 관련 정보 제공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위탁을 통해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www.ncic.or.kr) 운영(~’23.12월)
ㅇ (교과용도서 개발 및 보급) 현장적합성 검토* 및 교과용도서심의회 운영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취지를 담으면서도 현장 적합성 높은 초등 국정도서 개발·보급
<nowiki>*</nowiki> 개발 중인 교과용도서를 일부 학교 현장에 사전 적용해봄으로써 해당 도서의 내용 오류, 활동의 타당성 및 현장 적용 가능성 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
-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교과용도서 내용 수정에 대한 국가‧사회적 요구 등을 검토하고 수정사항 신속 반영 등 체계적 질 관리 체제 운영
※ 초 (국정80책, 검정848책, 인정62책), 중(검정355책, 인정391책), 고(검정288책, 인정895책) / 총2,919책
- (우수사례 발굴) 디지털 전환 시기 질문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서 개발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학습자 맞춤 교과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포럼 개최
ㅇ (영재교육 지원사업) 영재교육 관련 정책연구를 실시하고, 창의인재 관리시스템 및 교육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영재교육 운영 기반 마련
- (정책연구 수행) 영재교육 효과성 및 사회적 성과 분석을 위한 25년간의 영재교육 종단연구*(’17, ’22) 및 고도영재 발굴‧판별‧지원 체계 마련 연구,영재학교 성과평가 편람 개발 및 과학고 조기졸업 제도 개선 연구, 영재
교육 수혜자 사회 공헌 지표 개발 연구 등 다양한 정책연구 수행
<nowiki>*</nowiki> 8개 영재학교 ’17년도 신입생(813명), ’22년도 신입생(837명) 대상 25년간 추적 조사‧연구
- (국가 창의인재관리시스템 운영) 국가 영재교육 운영 정보의 종합적 수집을 통한 중장기 영재교육 성과 분석과 정책수립의 기반 데이터 구축*, 영재교육 정보의 대국민 온라인 서비스** 제공
<nowiki>*</nowiki> 국가 영재교육통계 산출 : 통계청 작성 승인 국가영재교육 통계로서 매년 통계연보 발간 및 국가통계포털(KOSIS) 탑재, 대국민 제공
<nowiki>**</nowiki> 영재교육 기관알리미 제공 : 전국 1,431개 초·중등 영재교육기관별 온라인 정보 제공
※ 국가창의인재관리 시스템 구축 : 영재학교 학생의 교육 성과, 진학 정보 DB 구축을 통한 영재교육의 연계성 및 효과성 측정의 기반 마련
- (영재교육 교류협력체제 구축) 영재교육 관계자 간 정책 협력 강화 및 공감대 조성을 위한 정책협의회 지속 개최
※ ’23년 12월 기준 총 91회 실시
- (영재교육 운영 현황 모니터링) 영재학교‧과학고 등 영재교육기관 운영 내실화 지원 및 운영 현황 모니터링 실시
- (소외계층 맞춤형 영재교육) 영재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학생에 대해 멘토 교사 - 학생 간 1:1 ‘맞춤형 영재성장 지원 프로그램’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창의융합캠프’ 등 지원*
<nowiki>*</nowiki> ('19) 458명→('20) 516명→('21) 600명→('22) 672명→('23) 720명(초4∼고3 학생)
ㅇ (창의교육 역량 강화 지원) 창의교육 실천 프로그램 개발(139종) 및 학교 현장 적용(초·중등 164개교, 학생 7,405명), 교원 연수 2,431명 참여 등
- 7개 창의교육 거점센터 운영을 통해 창의교육 실천 프로그램 학교 현장 적용, 초·중등 교원 연수·컨설팅을 통한 교원의 창의교육 전문성 강화
ㅇ (과학기술인재육성사업) 과학‧수학‧정보 교육 활성화 및 교과 간 융합교육 촉진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 창의력 등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
§ 과학교육 내실화
- 첨단과학기술 활용 과학탐구활동 및 융·복합 역량 함양을 위해 온·오프라인 실험이 가능한 지능형 과학실 구축·지원(’23 신규 43교, 기존 75교)
※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118교) 대상 과학교육 관련 지표 검사를 통해 지능형 과학실에 대한 긍정적 만족도 결과(학생·교원 평균 91점) 산출
- 지능형 과학실 권역별 발전협의체를 통해 과학 교원의 첨단기술 활용 교수 학습 역량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현장 맞춤형 지능형 과학실 지원
※ 수업 박람회(1,203명 참여), 권역별 토크쇼(4회), 핵심교원 온·오프라인 연수(7회)
- 실생활 데이터‧첨단과학기술 활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학탐구 온라인 플랫폼 ‘지능형 과학실 ON’ 운영 개시(’23. 3월)
※ 시뮬레이션 콘텐츠 20종, 공동탐구 콘텐츠 9종, 플랫폼 안내자료 등 개발 및 공유·확산
- 지역 및 사회‧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과학기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다리 프로젝트 사업* 운영
<nowiki>*</nowiki> (사제동행팀) 교사·학생으로 구성된 125팀, (스타브릿지센터) 첨단과학 기술지원 및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을 위한 4개 센터
§ 수학교육 내실화
- 시도 수학점핑(나눔)학교(1,651교), 수학 나눔성장 사제동행팀(70팀, 과학창의재단) 운영을 통해 개별 학생 대상 맞춤형 학습지원 활성화
- 지능형 수학교실 구축·운영 사업*을 통해 탐구 중심 수학 수업 방식으로의 개선을 위한 선도모델 확립·확산
<nowiki>*</nowiki> 국립부설학교 지능형 수학교실 구축·운영 지원(신규 3교, 계속 8교)
- 현장 수요를 반영하여 온·오프라인 맞춤형 교원연수(7종) 운영을 통해 수학 교원의 교수학습 역량 및 전문성 제고 지원
※ 인공지능 수학, 알지오매스(AlgeoMath) 등 총 657명 이수(만족도 4.45점)
§ 융합형 인재 역량 강화
-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력‧문제해결력 등 핵심 역량 함양 및 관련 분야 진로 흥미를 높이는 융합형 연구과제(STEAM R&E) 지원(120팀)
※ 연구활동비 지원, 전문가 밀착 컨설팅 운영 및 지도교사 지원 강화, 우수과제 장관 상장 수여(12팀)
- 학생의 창의적인 발상 구현을 돕는 국립학교 내 무한상상실 운영(특수 5교, 고 9교) 및 안전 환경 조성* 지원




- (자료수집 방법)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을 통한 수정·보완 요청 사항 처리 탑재 건 수 확인
<nowiki>*</nowiki> 기존 운영 중인 무한상상실(초·중·고 32교) 내 집진·환기·방음 등 필요한 설비 구축




- (품질확인) 수집된 수정‧보완 대조표를 근거로 각 연도별 발행된 교과용도서의 수정·보완 전후 내용 확인
- 대학‧공공기관·기업 등 학교밖 자원을 활용하여 현장체험과 진로 탐색 활동을 연계한 학교밖 융합교육(STEAM) 운영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자기효능감)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720명) 대상 학업적 자기효능감 조사 실시(5점 척도, 28문항)
※ 체험학생 수 : (’21년) 2,876명 → (’22년) 3,246명 → (’23년) 2,406명

2024년 11월 13일 (수) 11:48 기준 최신판

2023년 기준 성과보고서

(1) 프로그램 목표 개요

□ 프로그램목표 주요내용

【학교교육과정 운영지원】

ㅇ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이끌어갈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정 및 교수・학습 및 평가 혁신으로 학습의 질 개선

 -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 운영 지원) 국가 수준의 기초학력 보장 지원을 위한 전담기관 운영으로 모든 학생의 기초학력을 보장하는 국가 교육책임제 실현
 ※ (주요역할) 제도개선 연구, 실태조사, 교수‧학습자료 개발, 시도교육청 컨설팅 등
 -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022 개정 교육과정 고시(’22.12.22.)에 따른 평가기준, 교원 연수자료, 교수·학습자료 개발 등
 - (직업계고 교육과정 개정) 2022 교육과정 개정 고시(2022.12.22.)에 따른 2023년 직업계고 교육과정 후속지원 사항에 대한 정책연구 추진


ㅇ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보급 및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만들어가는 교과서 운영‧지원으로 학생 맞춤형 교수‧학습 지원

- 개정 교육과정을 실현하며 학습 부담을 경감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교과서 개발‧보급


ㅇ 미래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교원의 창의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소외계층 학생 대상 맞춤형 영재교육 지원

- (창의교육 역량 강화 지원) 창의교육 콘텐츠 개발ㆍ확산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및 지능정보사회에 필요한 미래사회 핵심 역량을 함양한 인재 양성
- (영재교육 지원사업) 미래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영재교육 운영 기반 마련 및 소외계층 맞춤형 영재교육 지원


ㅇ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 및 미래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교육 도입의 기반 마련

- (소프트웨어인재양성기반구축) 초·중등 정보교육 SW·AI 교육 내실화,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지원 등을 통해 SW·AI 인재양성 기반 마련
- (과학기술인재육성사업)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기반 구축의 일환으로 과학‧수학교육, 융합교육 운영 지원 및 학생‧교사활동 확대
- (융합형과학기술인재양성기반구축)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실생활 문제해결력 등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및 교원의 융합교육 역량 지원 강화


【 교육기부 활성화 】

(교육기부 활성화) 기업, 대학, 공공기관 등 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유·초·중등 교육활동에 활용 및 교육기부에 대한 범사회적 관심 제고 등



【 유초중등 교육협력 】

(전국학부모지원센터 운영 지원) 교육주체로서 학부모의 건강한 학교 교육 참여를 지원하고, 자녀교육 역량강화를 통한 학생 성장 지원


(단체교섭 및 건전노사관계 구축) 교원노조와의 협력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교원의 임금, 근무조건, 후생복지 등 향상 도모



【 인성교육 진흥 】

ㅇ 학교교육활동 전반에서 지속가능한 미래사회 대응에 필요한 가치(책임, 존중)와 역량(디지털 시민성, 환경감수성 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전인적 성장 지원


< 2021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단위 : 백 만원, %)
구분 단위사업명 세부사업명 예산 전년이월 이·전용 등 예산현액 (A) 결산 (B) 집행률(B/A)
21년 학교교육과정

운영지원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288 226 0 2,514 2,060 81.9
교과용도서 개발 및 보급 2,215 111 0 2,326 2,148 92.4
영재교육

지원사업

1,788 0 0 1,788 1,788 100.0
창의교육

역량 강화 지원

2,143 0 0 2,143 2,143 100.0
과학기술

인재육성 사업

10,684 0 0 10,684 10,684 100.0
융합형과학기술인재양성기반구축(R&D) 2,725 0 0 2,725 2,725 100.0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기반구축

1,639 0 0 1,639 1,639 100.0
국가기초

학력지원 센터 운영 지원

1,000 0 0 1,000 616 61.6
직업계고

교육과정 개정

320 0 0 320 303 94.6
소계 32,650 337 0 337 336 99.7
< 2022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단위 : 백 만원, %)
구분 단위사업명 세부사업명 예산 전년이월 이·전용 등 예산현액 (A) 결산(B) 집행률
22년 학교

교육

과정 운영

지원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543 281 0 2,824 2,451 86.8
교과용도서

개발 및 보급

4,868 41 0 4,909 3,878 79.0
영재교육

지원사업

2,106 0 0 2,106 2,068 98.2
창의교육 역량 강화 지원 1,929 0 0 1,929 1,929 100.0
과학기술

인재육성사업

10,150 0 0 10,150 10,150 100.0
융합형과학기술

인재양성기반 구축(R&D)

2,725 0 0 2,042 2,042 100.0
소프트웨어

인재양성기반구축

2,042 0 0 2,042 2,042 100.0
국가기초학력지원

센터 운영 지원

1,000 264 0 1,264 1,247 98.7
직업계고

교육과정 개정

1,008 0 0 1,008 939 93.2
소계 35,440 586 0 36,026 34,310 95.2
< 2023 프로그램 예산집행 현황 > (단위 : 백 만원, %)
구분 단위사업명 세부사업명 예산 전년

이월

이·전용 등 예산현액 (A) 결산 (B) 집행률 (B/A)
23년 학교

교육

과정 운영

지원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289 112 0 2,401 1,586 66.1
교과용도서 개발 및 보급 4,868 847 0 5,715 4,708 82.4
영재교육 지원사업 2,201 38 0 2,239 2,229 99.6
창의교육 역량강화

지원

1,918 0 0 1,918 1,918 100.0
과학기술

인재육성사업

9,502 0 0 9,502 9,502 100.0
융합형과학기술

인재양성기반구축(R&D)

2,725 0 0 2,725 2,725 100.0
소프트웨어

인재양성기반구축

2,552 0 0 2,552 2,552 100.0
국가기초

학력지원센터 운영지원

1,000 0 0 1,000 1,000 100.0
직업계고

교육과정 개정

1,008 0 0 1,008 905 89.8
소계 34,483 996 3,472 38,951 36,773 94.4


(2) 성과지표 달성 현황

성과지표 달성 현황
성과지표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목표대비 달성률 '20년 '21년 '22년 '23년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처리율(%) (점)

ㅇ 측정산식 : (수정보완처리탑재 건수/수정보완요청건수)×100

▪ 측정방법

- 측정대상기간 : ’23. 1. 1.~’23. 12.31.

- 실적치 집계·분석 완료 시점 : ’23. 12. 31.

- 측정수행기관 :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사업

민간위탁기관(한국교과서연구재단)

- 측정대상 : 교과용도서수정·보완 요청 사항 전체

목표 신규 신규 95 97
실적 신규 신규 99.6 98.3
달성률(%) - - 104.8 101.3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학생 자기효능감 (점)

ㅇ 측정산식 : 리커트 5점척도로 측정한 값을 100분위 점수로 환산한 값

▪ 측정방법

- 측정대상기간 : ’23. 3.1.~’23. 11. 30.

-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 ’23.12월 초

예정

- 측정수행기관 :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측정대상 및 방법 :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학생 약 600여 명을 대상으로 검사 실시

- 조사항목 : 자기효능감관련 설문 문항(28개)

목표

실적

달성률(%)

신규

신규

-

75

78

104.0

79

80

101.3

82

82

100.0

실적 신규 78 80 82
달성률(%) - 104.0 101.3 100.0
창의‧융합형

정보교육

학생‧교사

만족도

(점)

ㅇ 측정방법 (자료수집방법/출처)

▪ 측정대상기간 : ‘23.3.1.~ ’23.11.30.

▪ 실적치 집계 완료 시점 : ’23. 11월말(예정)

▪ 측정수행기관 : 한국과학창의재단

▪ 측정대상 표본수 및 선정방법 :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운영교전수조사

▪ 조사대상 :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각종 교육과정을 경험한 학생 및 교사 대상으로 설문 조사 실시

▪ 조사항목 :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인프라

만족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

만족도 등

목표

실적

달성률(%)

신규

신규

-

신규

신규

-

3.5

4.4

125.7

4.0

4.4

110.0

실적 신규 신규 4.4 4.4
달성률(%) - - 125.7 110.0


□ 성과지표 및 목표치 적정성

(교과용도서)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처리율(%)

- 학계‧현장의 수정 요구 등을 상시‧적시에 반영하여 현장 적합성 제고하는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 구축·운영을 통해 교과용도서의 품질 관리 제고
  * 수정‧보완 요구 → 접수 → 검토 → 수정‧보완(승인) → 현장 안내 등 후속 조치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 www.textbook.or.kr)
   ※ (수정보완처리 탑재건 수 / 수정‧보완 요청건 수) x 100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자기 효능감) ’22년 목표치(79점) 대비 실적(80점) 달성비율(101.3%)을 고려하여 ’22년 실적값(80점)에 ’22년 초과달성비율(1.3%)의 2배 수준인 2.5% 가량을 반영하여 설정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 만족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을 활용한 SW· I 교과 융합 수업에 대한 학생·교사 만족도 조사 ’22년 목표치 (3.5점)의 초과달성비율(25.7%)의 절반 수준인 13% 가량 상향 설정(4.0점)



□ 자료수집 방법 및 품질확인


ㅇ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처리

- (자료수집 방법)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온라인 시스템을 통한 수정·보완 요청 사항 처리 탑재 건 수 확인
- (품질확인) 수집된 수정‧보완 대조표를 근거로 각 연도별 발행된 교과용도서의 수정·보완 전후 내용 확인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자기효능감)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 학생 (720명) 대상 학업적 자기효능감 조사 실시(5점 척도, 28문항)

✤ (조사 기간) ’24.1.22(월) ~ 1.24(수)
✤ (조사 대상) 영재키움 프로젝트 참가학생 720명
✤ (조사 방법) 온라인 링크 접속을 통한 개별 설문(28문항, 리커트 척도)
✤ (조사 목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정을 통한 기존 프로그램 개선 및 신규 프로그램 수요 파악
✤ (조사 결과) 학생 자기효능감(4.10점) / 5점 만점
구분 평균(1,008명) 학생(941명) 교사(67명)
만족도 점수 (5점 만점) 4.42점 4.39점 4.85점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 만족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활용 수업에 대한 운영학교의 사용자(학생·교사) 설문조사(5점 척도)

✤ (조사 기간) ’23. 11. 31.(월) ~ 11. 27.(월)
✤ (조사 대상)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운영 교(17교), 수혜 학생 및 교사(1,008명)
  ※ 계속 운영 교(14교) 및 신규 교(3교)의 학생 941명, 교사 67명


✤ (조사 방법) 대상교에 공문발송 등을 통한 개별 온라인 설문(10~13문항, 대상별 상이) 시행
✤ (조사 목적)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공간에서의 교수학습 혁신 체감도, 사업추진 및 확산 등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향후 선도학교 지원 방안 개선 및 SW·AI 교육정책 개선에 반영
✤ (만족도 결과) 교사(4.85점), 학생 만족도(4.39점) / 5점 만점
구분 평균 (1,008명) 학생(941명) 교사(67명)
만족도 점수 (5점 만점) 4.42점 4.39점 4.85점

(3) 사업성과 분석

1) 사업운영의 우수성


□ 목표달성 과정 및 방법


【 학교교육과정 운영지원 】

ㅇ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지원)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정책연구, 교원 연수자료 개발, 정보센터 운영 등을 통해 새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 지원

- (정책연구) 교육과정 총론(초, 중, 고, 특수교육) 해설서, 범교과학습주제, 평가 기준 등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후속지원 연구 추진(10개 과제)

* (연구과제) 총론 해설서(초, 중, 고, 특수교육), 창의적체험활동 해설서, 초·중학교 평가기준 개발, 수업·평가 개선방안 연구, 범교과학습주제 등 과제 추진(~’24.2월, 일부 과제의 경우 ’24. 6월 내 완료 예정)


- (교원 연수자료 개발)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별 교원 연수자료를 개발(32종)

* 총론 3종, 교과교육과정 23종, 영상콘텐츠 5종, 활용 가이드 1종 개발


-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C) 운영)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국내·외 초·중등 교육과정 관련 정보 제공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위탁을 통해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www.ncic.or.kr) 운영(~’23.12월)


ㅇ (교과용도서 개발 및 보급) 현장적합성 검토* 및 교과용도서심의회 운영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취지를 담으면서도 현장 적합성 높은 초등 국정도서 개발·보급


* 개발 중인 교과용도서를 일부 학교 현장에 사전 적용해봄으로써 해당 도서의 내용 오류, 활동의 타당성 및 현장 적용 가능성 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


- (교과용도서 수정‧보완) 교과용도서 내용 수정에 대한 국가‧사회적 요구 등을 검토하고 수정사항 신속 반영 등 체계적 질 관리 체제 운영


※ 초 (국정80책, 검정848책, 인정62책), 중(검정355책, 인정391책), 고(검정288책, 인정895책) / 총2,919책


- (우수사례 발굴) 디지털 전환 시기 질문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서 개발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학습자 맞춤 교과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포럼 개최

ㅇ (영재교육 지원사업) 영재교육 관련 정책연구를 실시하고, 창의인재 관리시스템 및 교육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영재교육 운영 기반 마련


- (정책연구 수행) 영재교육 효과성 및 사회적 성과 분석을 위한 25년간의 영재교육 종단연구*(’17, ’22) 및 고도영재 발굴‧판별‧지원 체계 마련 연구,영재학교 성과평가 편람 개발 및 과학고 조기졸업 제도 개선 연구, 영재

교육 수혜자 사회 공헌 지표 개발 연구 등 다양한 정책연구 수행


* 8개 영재학교 ’17년도 신입생(813명), ’22년도 신입생(837명) 대상 25년간 추적 조사‧연구


- (국가 창의인재관리시스템 운영) 국가 영재교육 운영 정보의 종합적 수집을 통한 중장기 영재교육 성과 분석과 정책수립의 기반 데이터 구축*, 영재교육 정보의 대국민 온라인 서비스** 제공


* 국가 영재교육통계 산출 : 통계청 작성 승인 국가영재교육 통계로서 매년 통계연보 발간 및 국가통계포털(KOSIS) 탑재, 대국민 제공

** 영재교육 기관알리미 제공 : 전국 1,431개 초·중등 영재교육기관별 온라인 정보 제공


※ 국가창의인재관리 시스템 구축 : 영재학교 학생의 교육 성과, 진학 정보 DB 구축을 통한 영재교육의 연계성 및 효과성 측정의 기반 마련


- (영재교육 교류협력체제 구축) 영재교육 관계자 간 정책 협력 강화 및 공감대 조성을 위한 정책협의회 지속 개최


※ ’23년 12월 기준 총 91회 실시

- (영재교육 운영 현황 모니터링) 영재학교‧과학고 등 영재교육기관 운영 내실화 지원 및 운영 현황 모니터링 실시

- (소외계층 맞춤형 영재교육) 영재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학생에 대해 멘토 교사 - 학생 간 1:1 ‘맞춤형 영재성장 지원 프로그램’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창의융합캠프’ 등 지원*


* ('19) 458명→('20) 516명→('21) 600명→('22) 672명→('23) 720명(초4∼고3 학생)


ㅇ (창의교육 역량 강화 지원) 창의교육 실천 프로그램 개발(139종) 및 학교 현장 적용(초·중등 164개교, 학생 7,405명), 교원 연수 2,431명 참여 등


- 7개 창의교육 거점센터 운영을 통해 창의교육 실천 프로그램 학교 현장 적용, 초·중등 교원 연수·컨설팅을 통한 교원의 창의교육 전문성 강화


ㅇ (과학기술인재육성사업) 과학‧수학‧정보 교육 활성화 및 교과 간 융합교육 촉진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 창의력 등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


§ 과학교육 내실화

- 첨단과학기술 활용 과학탐구활동 및 융·복합 역량 함양을 위해 온·오프라인 실험이 가능한 지능형 과학실 구축·지원(’23 신규 43교, 기존 75교)


※ 지능형 과학실 모델학교(118교) 대상 과학교육 관련 지표 검사를 통해 지능형 과학실에 대한 긍정적 만족도 결과(학생·교원 평균 91점) 산출


- 지능형 과학실 권역별 발전협의체를 통해 과학 교원의 첨단기술 활용 교수 학습 역량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현장 맞춤형 지능형 과학실 지원


※ 수업 박람회(1,203명 참여), 권역별 토크쇼(4회), 핵심교원 온·오프라인 연수(7회)


- 실생활 데이터‧첨단과학기술 활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학탐구 온라인 플랫폼 ‘지능형 과학실 ON’ 운영 개시(’23. 3월)


※ 시뮬레이션 콘텐츠 20종, 공동탐구 콘텐츠 9종, 플랫폼 안내자료 등 개발 및 공유·확산

- 지역 및 사회‧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누구나 과학기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다리 프로젝트 사업* 운영


* (사제동행팀) 교사·학생으로 구성된 125팀, (스타브릿지센터) 첨단과학 기술지원 및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을 위한 4개 센터


§ 수학교육 내실화


- 시도 수학점핑(나눔)학교(1,651교), 수학 나눔성장 사제동행팀(70팀, 과학창의재단) 운영을 통해 개별 학생 대상 맞춤형 학습지원 활성화


- 지능형 수학교실 구축·운영 사업*을 통해 탐구 중심 수학 수업 방식으로의 개선을 위한 선도모델 확립·확산


* 국립부설학교 지능형 수학교실 구축·운영 지원(신규 3교, 계속 8교)


- 현장 수요를 반영하여 온·오프라인 맞춤형 교원연수(7종) 운영을 통해 수학 교원의 교수학습 역량 및 전문성 제고 지원


※ 인공지능 수학, 알지오매스(AlgeoMath) 등 총 657명 이수(만족도 4.45점)


§ 융합형 인재 역량 강화


-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력‧문제해결력 등 핵심 역량 함양 및 관련 분야 진로 흥미를 높이는 융합형 연구과제(STEAM R&E) 지원(120팀)


※ 연구활동비 지원, 전문가 밀착 컨설팅 운영 및 지도교사 지원 강화, 우수과제 장관 상장 수여(12팀)


- 학생의 창의적인 발상 구현을 돕는 국립학교 내 무한상상실 운영(특수 5교, 고 9교) 및 안전 환경 조성* 지원


* 기존 운영 중인 무한상상실(초·중·고 32교) 내 집진·환기·방음 등 필요한 설비 구축


- 대학‧공공기관·기업 등 학교밖 자원을 활용하여 현장체험과 진로 탐색 활동을 연계한 학교밖 융합교육(STEAM) 운영


※ 체험학생 수 : (’21년) 2,876명 → (’22년) 3,246명 → (’23년) 2,406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