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플랫폼 스타트업과 전문가 단체 간 갈등: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1. 갈등 개요 == === 배경 및 주요 논쟁점 === * 배경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이후 사회 전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하며 전에 없던 새로운 갈등이 나타나고,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산업 발전이 지연되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갈등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배경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이후 사회 전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하며 전에 없던 새로운 갈등이 나타나고,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산업 발전이 지연되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갈등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 배경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이후 사회 전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하며 전에 없던 새로운 갈등이 나타나고,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산업 발전이 지연되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갈등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
* 주요 논쟁점 : | * 주요 논쟁점 | ||
- 플랫폼 스타트업: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값싸고 질 좋은 전문 서비스 제공, 기존 사업자들과 상생할 수 있음. | |||
- 전문가 단체: 기존 사업에 위협이 될 것, 전문 서비스는 전문자격인의 통제 필요 | |||
=== 관련 이슈 === | === 관련 이슈 === | ||
- '타다' vs 서울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 |||
- '로톡' vs 대한변호사협회 | |||
- '닥터나우' vs 대한약사협회 | |||
- '직방' vs 공인중개사협회 | |||
- '삼쩜삼' vs 한국세무사회 | |||
- '강남언니' vs 대한의사협회 | |||
== 2. 갈등 요약 == | |||
디지털 플랫폼을 매개로 하는 서비스들은 우리의 일상을 바꿔 놓았다. 장보기, 인테리어 업체 찾기, 처방전 받기, 택시 호출하기, 배달시키기 등 이전엔 직접 일일이 해야했던 일들이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플랫폼 비즈니스에도 새로운 문제점과 갈등이 생겼다. 시장 초기 진입 단계에서 신규 플랫폼 사업자들은 전통적 비즈니스 집단의 엄청난 규제와 반발 움직임을 경험하는데, 대표적으로 택시 업계와 첨예하게 대립하고 사업을 접었던 ‘타다’가 있다. 특히 최근 의료나 세무, 법률 같은 분야에서 기존의 전문가 단체와 신규 플랫폼 업체와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온라인 법률 플랫폼 ‘로톡’을 중심으로 플랫폼 스타트업과 전문가 단체 간 갈등을 알아보자면, 로톡은 변호사 정보를 제공하며 변호사와 의뢰자를 연결해 주는 리걸테크(Legal-Tech) 플랫폼으로 법률 정보가 필요한 소비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변호사를 직접 찾아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온라인 플랫폼이다. 중개 수수료를 받는 대신에 검색 상단에 변호사를 노출시켜주며 광고비를 받는 원리이다. 이것이 로톡의 주 수입원이고 가입 회원의 70%가 젊은 변호사였다. 하지만 서비스를 출시한 다음 해인 2015년부터 대한변호사협회를 포함해 변호사 단체들이 꾸준히 문제로 삼았고 수차례 고소, 고발을 당했다. 그 결과 로톡은 한때 약 4천여 명에 달했던 회원 변호사가 현재는 2천여 명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 |||
플랫폼과 기존 사업자 양쪽 주장의 주장을 들어보면, 플랫폼은 고객을 빼앗아 오는 것이 아니라 빅데이터, AI 같은 기술을 통해 소비자들이 값싸게 질 좋은 전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기존 사업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부여하고 시장 전체 규모를 키움으로써 상생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기존 사업자들은 자신들의 사업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또한 법률 및 의료 서비스 같은 전문 서비스는 전문자격인의 통제가 없으면 서비스의 질이 떨어져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을 받게 된다고 맞선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를 찾아보면, 외국에는 이미 리걸테크 분야에서 유니콘 기업이 20여 개나 나왔다고 한다. 로톡이 벤치마킹한 일본의 ‘벤고시닷컴'(변호사닷컴)은 챗GPT 기술을 활용한 무료 온라인 법률상담을 상반기 중에 내놓겠다고 선언했고, 미국의 리걸테크 기업들도 AI를 활용해 법률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하고 있다. 로톡과 변협이 이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이대로라면 국내 리걸테크 시장은 외국 기업들이 독식할 가능성이 크다. 지금처럼 계속 싸움하기보다는 공급자들도 플랫폼과 상생하여 그 안에서 이익을 내고 그 효용을 소비자들도 누릴 수 있고, 플랫폼도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상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
== 3. 해결방안 == | |||
[[파일:플랫폼 비즈니스 갈등 유형화 프레임워크.png|섬네일]] | |||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갈등 해결의 기본원칙인 공정한 해결책 도축에 따라 한 연구에서는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갈등 양상과 관리방식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비즈니스 갈등 유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프레임워크에는 4가지 유형이 있는데 1유형은 통제력이 낮은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사업영역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 갈등당사자 간 협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최종적인 사업영역의 결정은 공적 기관의 역할이라는 것이고, 2유형은 통제력이 높은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사업영역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제3자가 갈등당사자 간 원활한 협의를 이끌어 줄 필요가 있으며 최종적인 사업영역의 결정은 공적 기관의 역할이다, 3유형은 통제력이 낮은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이익 배분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 갈등당사자 간 협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당사자 간 협의를 통해 이익 배분의 방법 및 기준을 결정해야 한다, 4유형은 통제력이 높은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이익 배분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제3자가 갈등당사자 간 원활한 협의를 이끌어 줄 필요가 있으며 당사자 간 협의를 통해 이익 배분의 방법 및 기준을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
2024년 6월 18일 (화) 00:48 판
1. 갈등 개요
배경 및 주요 논쟁점
- 배경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이후 사회 전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하며 전에 없던 새로운 갈등이 나타나고,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산업 발전이 지연되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갈등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 주요 논쟁점
- 플랫폼 스타트업: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값싸고 질 좋은 전문 서비스 제공, 기존 사업자들과 상생할 수 있음.
- 전문가 단체: 기존 사업에 위협이 될 것, 전문 서비스는 전문자격인의 통제 필요
관련 이슈
- '타다' vs 서울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 '로톡' vs 대한변호사협회
- '닥터나우' vs 대한약사협회
- '직방' vs 공인중개사협회
- '삼쩜삼' vs 한국세무사회
- '강남언니' vs 대한의사협회
2. 갈등 요약
디지털 플랫폼을 매개로 하는 서비스들은 우리의 일상을 바꿔 놓았다. 장보기, 인테리어 업체 찾기, 처방전 받기, 택시 호출하기, 배달시키기 등 이전엔 직접 일일이 해야했던 일들이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플랫폼 비즈니스에도 새로운 문제점과 갈등이 생겼다. 시장 초기 진입 단계에서 신규 플랫폼 사업자들은 전통적 비즈니스 집단의 엄청난 규제와 반발 움직임을 경험하는데, 대표적으로 택시 업계와 첨예하게 대립하고 사업을 접었던 ‘타다’가 있다. 특히 최근 의료나 세무, 법률 같은 분야에서 기존의 전문가 단체와 신규 플랫폼 업체와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온라인 법률 플랫폼 ‘로톡’을 중심으로 플랫폼 스타트업과 전문가 단체 간 갈등을 알아보자면, 로톡은 변호사 정보를 제공하며 변호사와 의뢰자를 연결해 주는 리걸테크(Legal-Tech) 플랫폼으로 법률 정보가 필요한 소비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변호사를 직접 찾아 법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온라인 플랫폼이다. 중개 수수료를 받는 대신에 검색 상단에 변호사를 노출시켜주며 광고비를 받는 원리이다. 이것이 로톡의 주 수입원이고 가입 회원의 70%가 젊은 변호사였다. 하지만 서비스를 출시한 다음 해인 2015년부터 대한변호사협회를 포함해 변호사 단체들이 꾸준히 문제로 삼았고 수차례 고소, 고발을 당했다. 그 결과 로톡은 한때 약 4천여 명에 달했던 회원 변호사가 현재는 2천여 명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플랫폼과 기존 사업자 양쪽 주장의 주장을 들어보면, 플랫폼은 고객을 빼앗아 오는 것이 아니라 빅데이터, AI 같은 기술을 통해 소비자들이 값싸게 질 좋은 전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기존 사업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부여하고 시장 전체 규모를 키움으로써 상생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기존 사업자들은 자신들의 사업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또한 법률 및 의료 서비스 같은 전문 서비스는 전문자격인의 통제가 없으면 서비스의 질이 떨어져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을 받게 된다고 맞선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를 찾아보면, 외국에는 이미 리걸테크 분야에서 유니콘 기업이 20여 개나 나왔다고 한다. 로톡이 벤치마킹한 일본의 ‘벤고시닷컴'(변호사닷컴)은 챗GPT 기술을 활용한 무료 온라인 법률상담을 상반기 중에 내놓겠다고 선언했고, 미국의 리걸테크 기업들도 AI를 활용해 법률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하고 있다. 로톡과 변협이 이 문제를 해결하더라도 이대로라면 국내 리걸테크 시장은 외국 기업들이 독식할 가능성이 크다. 지금처럼 계속 싸움하기보다는 공급자들도 플랫폼과 상생하여 그 안에서 이익을 내고 그 효용을 소비자들도 누릴 수 있고, 플랫폼도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상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3. 해결방안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갈등 해결의 기본원칙인 공정한 해결책 도축에 따라 한 연구에서는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갈등 양상과 관리방식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비즈니스 갈등 유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프레임워크에는 4가지 유형이 있는데 1유형은 통제력이 낮은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사업영역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 갈등당사자 간 협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최종적인 사업영역의 결정은 공적 기관의 역할이라는 것이고, 2유형은 통제력이 높은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사업영역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제3자가 갈등당사자 간 원활한 협의를 이끌어 줄 필요가 있으며 최종적인 사업영역의 결정은 공적 기관의 역할이다, 3유형은 통제력이 낮은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이익 배분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 갈등당사자 간 협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당사자 간 협의를 통해 이익 배분의 방법 및 기준을 결정해야 한다, 4유형은 통제력이 높은 플랫폼과 기존 산업 간 이익 배분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제3자가 갈등당사자 간 원활한 협의를 이끌어 줄 필요가 있으며 당사자 간 협의를 통해 이익 배분의 방법 및 기준을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