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Public Policy Wik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록 목록
(최신 | 오래됨) (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3년 9월 29일 (금) 15:38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화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화폐의 개념과 특징 == 지역화폐는 국가의 공식화폐와 달리 소규모 공동체 안에서만 통용되는 화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특정지역에만 통용되는 화폐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법정화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또 하나의 지불수단으로 법정화폐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통화의 형태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지역 내 자원순환을 촉진함...)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9일 (금) 15:24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혁신센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혁신센터의 개념과 특징 == 지역혁신센터(Regional Innovation Center: RIC)는 지역의 전략산업 분야 및 대학 특성화 분야에 대한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대학을 중심으로 센터를 설치하여 지역 기술혁신을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RIC는 과거 산업통상자원부의 TIC(지역기술혁신센터)와 과학기술부의 RRC(지역협력연구센터)가 통합된 모델이다. 지역혁신센터는 다음...)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9일 (금) 15:05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특화센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특화센터의 개념과 특징 ==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전략산업 집적화단지 또는 혁신거점을 조성하여 장비 및 시설을 구축하고 제품 연구개발, 각종 시험·분석, 시제품생산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이다.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의 우수역량을 강화하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지역의 특화된 산업을 육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9일 (금) 14:58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특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특구의 개념 및 특징 == 지역특구 제도는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지역특화 발전 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 지역을 특구로 지정하여 선택적으로 규제특례를 적용하는 제도이다. 전국에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규제를 지역특성에 맞게 완화하거나 권한을 이양하여, 각 지역이 특색 맞게 발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9일 (금) 13:45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전략식품산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전략식품산업의 개념과 특징 == 지역전략식품산업은 농어촌지역에 있는 유·무형의 향토자원을 발굴·개발하고, 1·2·3차 산업으로 연계·발전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고, 농업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 및 농가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지역전략식품산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지역 특성에 맞는 전략품목 육성: 지역의 특색...)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23:22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자산화지원사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의 개념과 특징 ==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은 지역주민들이 지역에 필요한 공간을 공동으로 소유·운영할 수 있도록 매입·운영 자금을 보증 및 저리 대출해 주는 금융지원 사업이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376&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20:35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의무 공동도급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의무 공동도급제의 개념 및 특징 == 지역의무 공동도급제(이하 "지역공동도급제"라 한다)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도입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공사의 경우, 해당 지역에 소재한 업체가 일정 비율 이상 참여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지역공동도급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지역 중소기업의 참여 확대: 지역의무공동도급제는 지역 중소기업의 참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20:18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상생형 일자리사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상생형 일자리사업의 개념 및 특징 == 지역상생형 일자리사업은 통상적인 기업투자, 일자리 창출을 넘어 지역 경제주체인 노·사·민·정 간의 상생협약을 통해 적정 근로조건, 노사관계 안정, 생산성 향상, 원·하청 개선, 인프라·복지 협력을 도모하며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343&gbnCode=S51&s...)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20:10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발전지원기관별 포털시스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발전지원기관별 포털시스템의 개념 == 지역발전지원기관별 포털시스템은 지역의 다양한 발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지역의 산업, 문화, 관광, 국토, 기타 분야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지역발전지원기관별 포털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다양한 주체의 협력체계 기반: 지역발전지원기관은 중앙부처, 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3:06 JK 토론 기여님이 지역문제해결플랫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의 개념 및 특징 ==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민간,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참여하여 지역단위의 협업체계를 구성·운영하는 협업 플랫폼이다. 기존의 관 주도, 중앙정부 중심, 예산 투입 위주의 해결방식을 탈피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지자체가 지원, 공공기관 등의 자원을 연계하는 민·관협...)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2:59 JK 토론 기여님이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지원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지원금의 개념 및 목적 == 지방자치단체 자율통합 지원금은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35조에 따라 통합된 지방자치단체에 통합되기 직전 연도의 폐지되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보통교부세 총액의 100분의 6을 추가로 지원하는 제도를 말한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268&gbnCode=S51&s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2:50 JK 토론 기여님이 주택바우처 제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주택바우처 제도의 개념 == 주택바우처 제도는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임대료를 보조하는 제도이다. 주택바우처는 쿠폰, 증서 등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임차인에게 임대료를 보조해 주는 방식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제도는 저소득층의 임대료가 소득의 일정 수준을 넘을 경우, 임대료의 일부를 쿠폰 형태로 지원하는 제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2:44 JK 토론 기여님이 주민결연제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주민결연제도의 개념 및 개요 == 주민결연제도란 지역주민과 공공기관, 민간단체가 자발적으로 결연하여 지역의 공공시설 관리, 취약계층 돌봄 등 지역 발전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는 제도를 말한다. 본 제도는 2013년 7월에 발표된 ‘지역희망(HOPE) 프로젝트’의 세부 과제로서 최초 제안되었다. 미국 보스톤시의 ‘소화전 입양’, 호놀룰루의 ‘쓰나미경보기 입양...)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2:36 JK 토론 기여님이 정보화마을사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정보화마을사업의 개념 == 정보화마을사업은 2001년부터 안전행정부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추진해 온 사업으로, 농어촌지역을 비롯한 정보소외지역에 정보생활화를 유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하며, 지역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고양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정보화마을사업의 추진 배경 == 정보화마을사업은 인터넷 새마을운동의 일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2:06 JK 토론 기여님이 자원순환 도시농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자원순환 도시농업의 개념 및 특징 == 자원순환 도시농업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하여 도시농업을 영위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폐기물, 빗물 등의 유기성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퇴비, 비료, 에너지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자원순환을 촉진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도시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자...)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1:13 JK 토론 기여님이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개념 및 사업 대상 ==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은 농산어촌의 농촌어메니티(rural amenities) 증진 및 계획적인 개발을 통하여 인구 유지 및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별 특색 있는 자원의 개발을 통하여 지역주민 소득증대와 더불어 기초생활수준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264&gbnCo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0:58 JK 토론 기여님이 아동친화도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의 개념 ==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Child Friendly Cities, CFC)는 유엔아동권리협약(UNCRC)을 준수하여 불평등과 차별을 없애고 18세 미만의 모든 아동의 권리를 온전히 보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308&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0:32 JK 토론 기여님이 시가화조정구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시가화조정구역의 개념 == 시가화조정구역은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 방지 및 계획적·단계적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대하여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도시·군관리계획에 의해 결정·고시한 구역을 말한다.<ref>[https://www.nabis...)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10:22 JK 토론 기여님이 성장촉진지역개발사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성장촉진지역 개발사업의 개념 == 성장촉진지역 개발 사업의 대상이 되는 성장촉진지역은 생활환경이 열악하고 개발수준이 현저하게 저조하여 해당 지역의 경제적·사회적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도로, 상수도 등의 지역사회기반시설의 구축 등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특별한 배려가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소득, 인구, 재정상태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05:30 JK 토론 기여님이 새마을운동 세계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새마을운동 세계화의 개념 및 유형 == 새마을운동의 세계화는 한국의 새마을운동 경험을 개발도상국에 전파하여 빈곤퇴치와 경제발전을 돕기 위한 국제개발협력 사업이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 한국의 경제개발을 이끌었던 성공적인 개발 모델로, 근면·자조·협동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자립을 이루고 빈곤을 퇴치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사업은 농촌 개발, 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05:21 JK 토론 기여님이 산학협력 중심대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산학협력 중심대학의 개념 == 산학협력 중심대학(HUNIC, Hub UNiversity for Industrial Collaboration)은 참여정부의 ‘新산학협력 비전 및 추진 전략(2003년 9월 25일)’에 따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주관하고 교육인적자원부와 산업자원부의 정책협력으로 혁신주도형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각 지역별로 산학협력 체제의 구축 및 확산을 선도하기 위한 사업이다.<ref>[https://www.n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8일 (목) 05:12 JK 토론 기여님이 산학연통합정보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산학연통합정보망의 개념과 목적 == 산학연통합정보망은 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 사업의 온라인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사업 주체 간 정보교류와 네트워킹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망이다. 정보망이 지원하고 있는 사업의 이름을 빌려 산업클러스터 통합정보망으로 불리기도 한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204&gbnCode=S51&searchCode=&searchCo...)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5일 (월) 08:00 JK 토론 기여님이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의 개념 ==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은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11조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중기 계획이다. 이 계획은 성장유망산업 현황, 지역별 성장유망산업 발전전략, 산업의 집적 및 연계 촉진 방안, 산업집적지 경쟁력 제고 방안 등을 제시하며,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산업정책 수립 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23:06 JK 토론 기여님이 산업단지 캠퍼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산업단지 캠퍼스의 개념과 특징 == 산업단지 캠퍼스는 산업단지 내 또는 산업집적지에 대학·대학원의 일부를 이전하여 교육-R&D-고용이 연계된 대학-기업이 물리적·화학적으로 일체화된 캠퍼스를 의미한다. 산업단지캠퍼스는 산학융합연구실, 장비지원센터, Business Lab 등 필수시설과 대학과 기업의 여건 및 산업단지 특색을 고려한 선택시설로 구성하여 운영할...)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22:59 JK 토론 기여님이 사회적경제혁신타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사회적경제혁신타운 개념 및 정의 ==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은 사회적경제 기업의 협업·네트워킹·혁신을 위한 인적·물적 거점이다. 즉, 사회적경제 기업이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공간과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사회적경제'는 구성원간 협력·자조를 바탕으로 재화·용역의 생산 및 판매를 통...)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21:55 JK 토론 기여님이 뿌리산업특화단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뿌리산업 특화단지 사업의 개념과 특징 == 뿌리산업 특화단지 사업은 뿌리기업이 단지 내에서 공동으로 추진하는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뿌리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뿌리기업은 자동차, 조선, IT 등 최종 제품의 생산을 위해 필요한 부품, 소재, 금형 등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제조업 기반을 이루는 중요한 산업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17:41 JK 토론 기여님이 문화산업지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문화산업지구의 개념과 특징 == 문화산업지구는 문화산업 관련 기업, 대학, 연구소, 개인 등이 집적하여 문화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조성된 지구를 말한다. 문화산업지구는 크게 문화산업단지, 문화산업진흥지구, 문화산업투자진흥지구로 구분된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67&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17:32 JK 토론 기여님이 마을협정제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마을협정제도의 개념 == 마을협정제도 혹은 마을협약제도는 지역 주민의 주도하여 지역의 경관과 디자인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해 일정 구역에 대한 토지이용 규제를 적용하는 제도이다. 마을협정제도는 지구단위계획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인의 발의에 의해 양호한 지역 환경을 조성·보전한다는 측면에서 보다 선진화된 개념의 제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16:58 JK 토론 기여님이 마을기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마을기업의 개념 == 마을기업은 지역의 특화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으로, 지역공동체의 활성화와 안정적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지역 특화자원 활용: 지역의 자연자원, 인적자원, 문화자원 등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하여 사업을 운영한다. * 지역주민 주도: 마을기업은 지역주민이 주주 및 이사로 참여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03:08 JK 토론 기여님이 로컬크리에이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로컬크리에이터의 개념 == 로컬크리에이터는 지역을 뜻하는 로컬(local)과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람을 뜻하는 크리에이터(Creator)가 합성된 신조어로, 지역의 자연과 문화 특성을 소재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결합하여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스타트업을 말한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360&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02:56 JK 토론 기여님이 동해안 에너지벨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동해안 에너지벨트의 개념과 공간적 범위 == 동해안 에너지벨트는 동해안 지역의 풍부한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추진하는 국가 프로젝트이다. 동해안 지역은 풍력, 태양광, 해양 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또한, 동해안 지역은 해운, 항공, 철도 등 교통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어 에너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02:38 JK 토론 기여님이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의 개념 ==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은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으로, 상대적으로 경제적·사회적·문화적으로 소외된 지역의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특별·광역시의 구·군 및 시 지역 중 도농복합형태의 시를 제외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며, 다만, 도농복합시 중에서 지방자치법 제3조 제3항에...)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4일 (일) 02:28 JK 토론 기여님이 도시광산 프로젝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도시광산 프로젝트의 개념과 분류 == 도시광산 프로젝트에서 도시광산(Urban Mining)이라 함은 생활주변에 널리 분포된 폐기물에 함유된 금속자원을 회수하여 자원화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폐기물은 크게 사업계 폐기물과 생활계 폐기물로 분류되는데, 도시광산의 대상은 폐전자제품, 폐전선, 폐자동차, 폐가전 등 생활계 폐기물에 주로 집중되어 있다.자원의 대부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2일 (금) 09:55 JK 토론 기여님이 농촌관광마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농촌관광마을의 개념과 특징 == 농촌관광마을은 농촌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체험, 휴식, 관광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된 마을을 말한다. 농촌관광마을은 광의적으로는 녹색농촌체험마을, 농촌전통테마마을, 산촌생태마을 등을 포함하며, 「도시와 농어촌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에서는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과 사업을 갖추고, 국가 및 지...)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2일 (금) 08:56 JK 토론 기여님이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개념 및 운영 ==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은 생활권·영농권이 같은 3~5개 마을을 소권역으로 설정하여,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바탕으로 생활환경정비, 경관개선, 소득기반확충, 지역역량강화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농어촌의 정주여건 개선과 지역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종합적인 지원사업으로, 2005년부터 추진...)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2일 (금) 08:41 JK 토론 기여님이 농어촌뉴타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농어촌 뉴타운의 개념과 특징 == 농어촌 뉴타운은 도시민들이 귀농을 하고자 해도 농어촌의 열악한 생활환경, 자녀교육 및 복지, 영농기반, 친교기반 등의 미비로 귀농으로 연결되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맞춤형 영농지원, 양질의 자녀교육 및 복지환경, 쾌적하고 저렴한 주택공급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0일 (수) 21:06 JK 토론 기여님이 농가소득안정직불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농가소득안정직불제의 개념과 특징 == 농가소득안정직불제는 주요 농산물의 가격 하락이나 생산량 감소 등으로 주업농의 당해연도 농업소득이 기준소득보다 낮아질 경우 격차의 일부를 직불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가격이나 수량의 변화에 의해 경영 위험이 큰 일정규모 이상인 전업적인 농가를 대상으로 한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0일 (수) 21:01 JK 토론 기여님이 녹색기후기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녹색기후기금(GCF)의 설립과 특징 == 2010년 12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 멕시코 칸쿤회의에서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을 설립하고, 2020년까지 연간 1천억 달러 규모의 기금을 조성한다는 합의가 이루어졌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193&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20일 (수) 20:55 JK 토론 기여님이 기업도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기업도시의 개념과 특징 == 기업도시는 산업입지와 경제활동을 위하여 민간 기업이 산업·연구·관광·레저·업무 등의 주된 기능과 주거·교육·의료·문화 등의 자족적 복합기능을 고루 갖추도록 개발하는 도시를 말한다. 기업도시 유형에는 산업교역형, 지식기반형, 관광·레저형이 있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32&gbnCode=S51&search...)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20:47 JK 토론 기여님이 국가혁신클러스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국가혁신클러스터의 개념과 법적 근거 == 국가혁신클러스터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18조의2에 따라 지정·고시되는 지역으로 법률상의 명칭은 국가혁신융복합단지이다. 이 제도는 물적·인적 인프라가 갖추어진 기존의 구역 · 지구 · 단지 · 특구를 활용하여 새로운 경제적 · 산업적 상승효과의 발생을 촉진하고, 국가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20:32 JK 토론 기여님이 규제자유특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규제자유특구의 개념 == 규제자유특구는 지역을 단위로 지역과 기업이 직면한 신사업 관련 덩어리 규제를 패키지로 완화해 주는 제도로서, 이를 통해 지역으로의 투자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의 혁신성장과 균형발전을 도모하려는 취지이다. 또한, 지역특구법 제75조 제3항 및 제4항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지정ㆍ고시한 구역을 말한다.<ref>[http://r...)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20:22 JK 토론 기여님이 국토환경계획 연동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국토-환경계획 연동제의 개념과 특징 == 국토-환경계획 연동제는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이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과 계획내용에 대하여 상호 보완하고 협력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를 통해 국토계획은 친환경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환경계획은 국토의 공간구조, 지역 내 기능분담 방향 등을 고려하여 추진된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20:18 JK 토론 기여님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의 개요 ==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는 정부의 R&D투자 효율성 제고와 R&D사업의 성과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 동법 시행령 제20조에 근거하여 수행하고 있고, 이 중에서 평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20:04 JK 토론 기여님이 관광품질인증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관광품질인증제의 개념과 특징 == 관광품질인증제란 관광시설, 관광서비스, 관광상품 등이 제공하는 품질이 적정한지 정당한 절차를 통해 공적 기관(중립적인 기관)이 증명하는 제도이다. 일반적인 제품품질은 적합성(일이나 조건 따위에 꼭 알맞은 성질)을 측정하지만, 관광품질은 적정성(알맞고 바른 특성)을 측정한다는 것이 중요한 차이이다.<ref>[https://www.nabis...)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19:30 JK 토론 기여님이 경관농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경관농업의 개념과 특징 == 경관농업이란 농산물을 이용한 농촌경관을 지역관광의 자원으로 활용하여 농가소득 증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 경제적인 이득을 창출하는 농업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경관농업은 농촌의 자연스러운 특징을 살리는 농업으로 농촌체험 프로그램과 같은 관광객을 위한 프로그램과 연계되는 경우가 많다. 경관농업을 통해 지역 특산물 판매...)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18:04 JK 토론 기여님이 QWL 밸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QWL 밸리 사업의 개념과 특징 == QWL 밸리 사업은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선진국형 산업집적지로 재창조함으로써 근로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119&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NABIS 정책용어사...)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17:57 JK 토론 기여님이 LEADER(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행동연대) 프로그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LEADER 프로그램의 개념과 특징 == LEADER 프로그램은 유럽연합(EU)이 1991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농촌 개발 프로그램으로, 지역적, 다부문적, 참여적 접근 방식을 강조한다. LEADER는 "Liaisons Entre Actions de Development de l’Economie Rurale"의 약자로, 직역하면 "농촌 경제 발전을 위한 행동 연대"를 의미한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259&gbnCode=S51&se...)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17:36 JK 토론 기여님이 Compact Cit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콤팩트 시티의 개념과 특징 == 콤팩트 시티는 도시의 확산을 억제하고 주거, 직장, 상업 등 일상적인 도시기능들을 기성 시가지 내부로 유입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거 밀도와 토지의 혼합이용을 유도하는 도시계획 개념이다. 기존의 도시개발 모델이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확산형 도시계획 모델인 반면, 콤팩트 시티는 시가지 경계 안쪽으로 밀집된 개발을 통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17:30 JK 토론 기여님이 BID/TOD특정지구, 계획지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상업개선지구(BID)의 개념과 역할 == 도심의 상업지역의 경우, 도시의 외연적 확산과정에서 심각한 쇠퇴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상업개선지구(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 BID)의 개념이 나타났다. BID는 특정 지역의 건물주나 사업주로부터 세금을 제외한 추가 자금을 모금하여 정부에서 제공해 왔던 공공서비스를 민간과 정부가 함께 운영하...)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9월 19일 (화) 17:15 JK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최신 | 오래됨) (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